종합(beauty 1).jpg

경기 불황 속에서도 뷰티업계는 꾸준한 매출을 유지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의 대중화로 소위 ‘몸짱’이나 잘생기고 예쁜 사람들, 연예인들의 사진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일반인들 사이에서 스스로에 대한 불만족이 커지고 있는 것이 그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사진은 미용실에서 헤어관리를 받고 있는 한 여성.

 

‘잘생긴 사람이 돈도 잘 번다’ 인식... 외모에 따른 임금격차 ‘실재’

 

호주의 경기 불황이 이어지는 가운데서도 뷰티산업은 꾸준한 매출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5일(화), ABC 방송은 호주에서 지속적 성장세를 보이는 뷰티산업과 함께 오늘날 젊은이들이 더욱 신경을 쓰는 ‘외모’에 대한 시대 흐름을 진단, 눈길을 끌었다.

시장조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비스월드’(Ibisworld)의 바우 부옹(Bau Vuong) 산업 분석가는 “헤어스타일은 외모관리에서도 가장 필수적인 부분으로 여겨진다”며 “이것이 바로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도 헤어컷(haircut) 서비스 분야가 승승장구할 수밖에 없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부옹 분석가에 따르면 손톱 및 발톱 관리를 포함한 미용 산업 전반은 경기침체를 뚫고 올해 65억 달러 매출을 기록하며 호황을 누리고 있다.

시드니 뉴타운에 위치한 미용실 ‘Simply Stunning’의 스테파니 캐시먼(Stephanie Cashman)씨는 “최근 3~4년 동안 고가의 헤어시술을 받는 젊은 고객층(특히 18세)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면서 “과거에는 20~30대 고객들이 기본적인 아이브라우 왁싱 위주의 시술을 원했다면, 요즘에는 속눈썹 리프팅 및 레이저 시술까지 보다 복잡한 시술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녀는 “소셜 미디어와 연예인들이 하는 미용 시술에 대한 사진들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면서 뷰티산업이 크게 성장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대학교(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팀 올즈(Tim Olds) 보건과학 교수도 뷰티산업 성장의 가장 큰 배경으로 “곳곳에 퍼져 있는 비현실적인 이미지들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소위 ‘몸짱’ 사진에 자주 노출이 되고 이런 몸이 이상적인 것으로 여겨지면서 일반인들이 자신의 외모에 대해 불만족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어 올즈 교수는 “성형수술, 화장품, 레이저 클리닉, 안티 에이징 수술 및 마약과 운동시설 등이 모두 ‘스스로에 대한 지속적인 불만족 심리’를 바탕으로 성장하는 산업”이라고 진단했다.

그에 따르면 뷰티시장에 남성 고객층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올즈 교수는 “지난 5년간 미용실, 스타일리스트, 고가의 미용실를 이용하는 남성들이 늘어나 뷰티산업이 더 큰 혜택을 보게 됐다”고 말했다.

 

종합(beauty 2).jpg

미국의 경제학자인 대니얼 하머메시(Daniel Hamermesh) 교수는 자신의 저서 <Beauty Pays: Why Attractive People are More Successful>에서 남성과 여성 모두 외모가 매력적인 경우 돈을 더 많이 버는 경향이 있다 주장한다. 시드니의 한 미용실(사진).

 

매력적인 사람이

돈을 더 많이 번다?

 

미국 경제학자 대니얼 하머메시(Daniel Hamermesh) 교수는 “남성과 여성 모두 외모가 매력적일 경우 돈을 더 많이 버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잘생기고 예쁜 외모가 가져다주는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아름다움이 주는 보상: 왜 매력적인 사람들이 더 성공하는가>(Beauty Pays: Why Attractive People are More Successful)의 저자이기도 하다.

하머메시 교수는 “외모에 따른 경제력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다”면서 “전 세계 임금 분포도에서 격차가 심한 편에 속하는 미국의 경우, 외모에 따른 경제효과는 더욱 심하다”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15년 전 진행한 조사에서만 해도 몇 십만 달러의 차이가 발생했다.

하머메시 교수는 남성의 경우 여성보다 돈을 더 많이 버는 경우가 많아 외모에 따른 임금격차는 더욱 크다고 말한다. 그에 따르면 잘생긴 남성이 10~12%, 예쁜 여성이 7~8%를 더 많이 버는 것으로 조사됐다.

“퍼센티지로만 보면 큰 차이라고 느껴지지 않을지 모르지만, 실질적인 금액으로 따져봤을 때는 엄청난 금액”이라는 그는 “여성의 평균 임금이 남성의 80% 수준이라는 것을 감안했을 때 예쁘지 않은 여성의 임금은 잘생긴 남성과 비교해 훨씬 더 낮은 수준으로 떨어진다”고 덧붙였다.

하머메시 교수는 조사를 통해 외모가 직장에서 받는 대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고객과의 접촉이 잦은 직종에서 이 같은 경향이 나타난다”는 그는 “캐나다에서 진행된 연구에서는 학생들과의 접촉이 많은 교수직의 경우, 잘생긴 교수들이 그렇지 않는 교수들보다 돈을 더 잘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러나 돈을 잘 버는 데에 있어 외모가 전부는 아니다. 그는 외모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로는 교육수준과 직업 경력, 성, 인종, 거주국가의 언어 구사 능력을 들었다. 그는 “미국의 경우 학교 공부를 1년 더 한 경우 소득이 10% 더 높았으며, 직업 경력이 3~4년 늘어날 때마다 임금이 8~10% 상승했다”고 말했다.

모든 것이 외모로 평가받는 것은 결코 아니라는 얘기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beauty 1).jpg (File Size:54.4KB/Download:25)
  2. 종합(beauty 2).jpg (File Size:61.8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251 뉴질랜드 향후 20년 이내, 뉴질랜드에 2백만명 비만 환자 예상 NZ코리아포.. 18.07.05.
3250 뉴질랜드 윈스턴 피터스 총리 대행, 호주의 키위 17세 소년 감금에 비난 NZ코리아포.. 18.07.05.
3249 뉴질랜드 오클랜드 한 여성, 아프리카인들을 위해 200만 달러 기부 NZ코리아포.. 18.07.05.
3248 뉴질랜드 뉴질랜드, 겨울 들어 전국 주택가격 0.3%하락 NZ코리아포.. 18.07.04.
3247 뉴질랜드 향후 64만 명의 파일럿 더 필요 NZ코리아포.. 18.07.04.
3246 뉴질랜드 노숙자와 걸인과 함께~~머지 카페 시민 참여 증가 NZ코리아포.. 18.07.04.
3245 뉴질랜드 벽 부수고 들어온 승용차 “잠자던 주인은 침대에서 맞은 편 벽까지 날아가” NZ코리아포.. 18.07.03.
3244 뉴질랜드 세계 최초로 ‘식물성 햄버거’ 기내식으로 선보이는 Air NZ NZ코리아포.. 18.07.03.
3243 뉴질랜드 스콧 도널드슨, 카약으로 타스만 해 건넌 최초의 인물 NZ코리아포.. 18.07.03.
3242 뉴질랜드 5개월 동안 외국인 투자자 부동산 매입, 21억 달러 NZ코리아포.. 18.07.03.
3241 뉴질랜드 글로벌 사기, 뉴질랜드 피해자 증가 NZ코리아포.. 18.07.02.
3240 호주 호주 청량음료업계, 설탕 함유량 20% 감량 계획 발표…의학계 반응은 ‘써늘’ 톱뉴스 18.07.01.
3239 호주 연방상원, 취약계층 이민자 시민권 신청비 할인 혜택 폐지조치 백지화 톱뉴스 18.07.01.
3238 호주 새 회계연도의 획기적 변화들 [7월 달라지는 제도] 톱뉴스 18.07.01.
3237 호주 지속적 이민자 유입 속, 호주를 떠나는 이들도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236 호주 아침 피크 시간대, ‘교통체증’ 악화-향상된 시드니 도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235 호주 호주 유권자들 표심, 집권여당보다 ‘개인 집중’ 드러내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234 호주 학자금 대출 상환 연소득 45,000달러 이상으로 하향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233 호주 NSW 주 정부, “예산은 풍족하나 관리는 부족” 지적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232 호주 Pitched battles: ‘월드컵’ 축구 전쟁, 실제 도발로 이어질 가능성 높다(2)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231 호주 시드니 지역서 100달러 위조지폐 또 유통, 주의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230 호주 전 세계 국가 평판도 조사... 호주, 6위로 두 단계 떨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229 호주 “호주 부동산 시장, 캔버라-퍼스-브리즈번이 주도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228 호주 NSW 정부의 프리스쿨 보조, 실질 수혜자는 17.5% 불과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227 호주 지구촌 화제- World's Ugliest Dog contest 2018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226 호주 시드니 신공항과 함께 펜리스 지역, 크게 변모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225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폐허’ 상태의 주택에 예비 구매자들 입찰 각축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3224 뉴질랜드 13년 만에 최악의 교통사고, 7명 사망 NZ코리아포.. 18.06.28.
3223 뉴질랜드 고등학교 졸업 후 일하는 젊은이들 증가 추세 NZ코리아포.. 18.06.27.
3222 뉴질랜드 오클랜드 '해외 주재원 생계비 조사’ 세계 랭킹 20위, 서울은 5위 NZ코리아포.. 18.06.27.
3221 뉴질랜드 남부 오클랜드 안과 환자, 너무 오랜 기다림으로 시력 저하 NZ코리아포.. 18.06.26.
3220 뉴질랜드 이른 겨울에 태어나 관광객들 시선 빼앗는 새끼양들 NZ코리아포.. 18.06.26.
3219 뉴질랜드 오클랜드 공항에서 발견된 박쥐 머리 미이라 NZ코리아포.. 18.06.25.
3218 뉴질랜드 5월까지 연간 순이민자 6만6200명, 비영주권자 장기거주 출국 늘어나 NZ코리아포.. 18.06.25.
3217 뉴질랜드 아남극해 오클랜드섬 “천적 박멸작업 본격 시작” NZ코리아포.. 18.06.25.
3216 호주 주택 태양열판 “더 이상 선택 아닌 필수” 톱뉴스 18.06.25.
3215 호주 “주택 임대료보다 비싼 호주의 전기세” 톱뉴스 18.06.25.
3214 호주 사커루즈도, 태극전사도 울린 ‘VAR’ 톱뉴스 18.06.25.
3213 호주 연방인권위원회, 직장 내 성희롱 실태조사 톱뉴스 18.06.25.
3212 뉴질랜드 금메달리스트에서 노숙자로...두려움에 떠는 한 오클랜드의 여성 NZ코리아포.. 18.06.25.
3211 뉴질랜드 젊은 여의사, 직장 내 성희롱 견디고 있어 NZ코리아포.. 18.06.23.
3210 뉴질랜드 15년째 실종 미스터리, 타우랑가 로또 맨 존 더프 NZ코리아포.. 18.06.23.
3209 뉴질랜드 키위 셋 중 둘, 운전에 불안감 느껴 NZ코리아포.. 18.06.23.
3208 뉴질랜드 유럽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인물들, 웰링턴 자유무역협의 참석 NZ코리아포.. 18.06.22.
3207 뉴질랜드 일광 시간 짧아 겨울 우울증 올 수도...가벼운 운동으로 기분 전환 NZ코리아포.. 18.06.22.
3206 뉴질랜드 맥주, 59% 키위 식사할 때 선택 NZ코리아포.. 18.06.22.
3205 뉴질랜드 오클랜드 도로는 공사중; 최대 한주에 240개 프로젝트 NZ코리아포.. 18.06.21.
3204 뉴질랜드 한국 여권, 2018년 세계 여권 순위 2위 NZ코리아포.. 18.06.21.
3203 뉴질랜드 북섬 와이히 근처 도로, 거대한 싱크홀 NZ코리아포.. 18.06.21.
3202 호주 NSW 2018-19 예산 계획- Winners & Losers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