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버타 소득 언어 조건 낮춰
마니토바, 유학생 취업 제공
 
 
연방정부가 새 이민자가 캐나다의 모든 저출산이나 노동인력 부족, 고령화 등 인구 문제를 해결하는 전가의 보도로 생각하는 가운데, 일부 주들도 이민자를 받아 들이기 위해 문턱을 낮추고 있다.
 
알버타주는 주의 주요 이민 프로그램인 알버타기회스트림(Alberta Opportunity Stream, AOS) 이민 신청자에 대한 제한 요인 두 개를 제거 또는 개선했다. 바로 최저소득 요구조건 제거와 최소언어요구조건 상향조정을 없던 일로 하는 것이다.
 
AOS는 알버타주 주지명 프로그램(Alberta Immigrant Nominee Program, AINP)의 일종으로 알버타에서 일하는 외국국적 노동자나 알버타주에서 포스트세컨더리 교육을 이수한 외국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이민 프로그램이다. 지난 6월 14일부로 도입된 이 프로그램 신청자들 모두가 제한 조건에서 해방된다.
 
하지만 알버타주정부는 주 최저임금이나, 노동시장영향평가(Labour Market Impact Assessment)에 따른 업계 최소 수입 수준을 받는지는 지속적으로 확인한다는 계획이다. 
 
언어 점수와 관련해서는 전국직업분류(National Occupational Classification, NOC) 상 낮은 기술수준의 직군인 C 또는 D에 내년 6월 14일부터 캐나다언어벤치마크(Canadian Language Benchmark, CLB)를 5등급으로 상향 조정하기로 했던 것을 현재처럼 4등급으로 유지하기로 했다.  또 NOC 0, A 또는 B 직군에 근무 중인 신청자는 2020년 1월 1일까지 현재 CLB 4등급이면 AOS를 신청할 수 있다.
 
마니토바도 주 내에서 포스트세컨더리 교육을 받은 유학생들을 위한 신속 이민 프로그램을 도입한 바 있다. 바로 바로 마니토바의 주지명 프로그램(MPNP)인 국제교육스트림(International Education Stream)의 일환인 국제학생기업가경로(International Student Entrepreneur Pathway)과 졸업생인턴십경로(Graduate Internship Pathway)라고 불리는 이민 프로그램이다.
 
국제학생기업가경로는 마니토바에서 포스트세컨더리 교육기관의 최소 2년짜리 프로그램을 이수하고 마니토바에서 창업을 해 운영하길 원하는 국제유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임시취업비자를 받을 수 있다. 
 
또 졸업생인턴십경로는 마니토바 대학교에서 석사나 박사 과정을 이수한 유학생이 3년간 인턴십 자격을 받는다. 
 
주정부는 유능한 인재들을 마니토바에 정착할 수 있도록 만들고 영주권까지 부여하겠다는 목적을 갖고 있다.
 
한편 중부평원주 중의 나머지 한 개 주인 사스카추언도 2일 주 Express Entry 이민 신청자와 부족직업군(Occupation In-Demand) 카테고리 이민 신청자에 대한 초청장을 연중 최대 인원인 926명에게 발송했다. 특히 부족직업군 신청자 수도 671명으로 연중 최다였으며, 이로 인해 통과점수도 가장 낮은 61점을 기록했다. 부족직업군 카테고리는 사스카추언주의 국제숙련노동자(International Skilled Worker)의 관심도(Expression of Interest, EOI) 시스템의 일환이다.
사스카추언 EE 신청자 통과점수도 60점으로 연중 최저 점수를 기록했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877 캐나다 헨리 박사, “코로나19 백신 이르면 내년 1월 BC주 보급 가능” 밴쿠버중앙일.. 20.10.23.
5876 캐나다 달러라마 손 소독제 리콜 조치 밴쿠버중앙일.. 20.10.23.
5875 캐나다 트뤼도 수상 스캔들 진상조사 요구에 자유당 ‘조기총선‘ 엄포 밴쿠버중앙일.. 20.10.22.
5874 캐나다 일론 머스크 추진 위성인터넷 캐나다 통신허가 획득 밴쿠버중앙일.. 20.10.22.
5873 캐나다 노스밴 야외 음주 일 년 내내 허용 밴쿠버중앙일.. 20.10.22.
5872 캐나다 재외공관에서 유전자 채취로 미국 입양 여성, 44년만에 가족 상봉 밴쿠버중앙일.. 20.10.21.
5871 캐나다 터널 뚫어 상점 턴 절도 2인조 체포 밴쿠버중앙일.. 20.10.21.
5870 캐나다 주립공원 등산로 데이 패스제 폐지 밴쿠버중앙일.. 20.10.21.
5869 캐나다 몬트리올 교통국 (STM), 올바른 마스크 착용을 위한 캠페인 시작 file Hancatimes 20.10.20.
5868 캐나다 Quebec 주, 아이들을 위한 할로윈 허용 file Hancatimes 20.10.20.
5867 캐나다 Quebec 정부에게 COVID-19의 투명성을 요구하는 청원 시작 Hancatimes 20.10.20.
5866 캐나다 Quebec, COVID-19관련 사망자 6,000명 돌파 Hancatimes 20.10.20.
5865 캐나다 퀘벡 주의 COVID-19, 1차 확산과 2차 확산의 차이점 Hancatimes 20.10.20.
5864 캐나다 외교부 국민외교타운 출범식 개최 밴쿠버중앙일.. 20.10.20.
5863 캐나다 헨리 박사, “독감 백신 부족하지 않다” 밴쿠버중앙일.. 20.10.20.
5862 캐나다 써리 클로버데일 초등학생 유괴 시도 밴쿠버중앙일.. 20.10.20.
5861 미국 플로리다 6개월 반 코로나 상황, 7월 ‘정점’ 찍고 3개월째 내리막 file 코리아위클리.. 20.10.19.
5860 미국 플로리다 '최저임금 15달러' 법안, 60% 찬성 얻을까 코리아위클리.. 20.10.19.
5859 미국 플로리다 민주당, '500달러-26주' 실업수당 법안 제출 file 코리아위클리.. 20.10.19.
5858 미국 탬파베이 인근에 스노우 파크 건설 file 코리아위클리.. 20.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