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307_10140_2440.jpg

인구 1억 육박·年 6~7% 고속성장…‘포스트 차이나’ 1순위

우리 기업들에게 중국을 대체하는 새로운 해외시장의 개척이 필요한 시점에서 ‘신남방’ 아세안 국가들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베트남은 우리나라와 1992년 수교를 맺은 후 26년 동안 활발한 교류와 기업들의 진출이 있어 왔다. 베트남은 인구 9200만 이상에 달하는 시장규모와 연 평균 6~7% 이상의 고속 성장으로 시장규모가 지속되면서, 저렴한 인건비에 기반한 생산시장에서 풍부한 내수를 갖춘 소비시장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중소기업뉴스>가 우리 중소기업의 진출전략을 모색하고 현지 전시회를 통해 세일즈를 펼치고 있는 우리 중소기업의 현장 리포트를 전한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최근 4년간 국내기업이 해외에 새로 법인을 설립한 건수가 2014년에 비해 2017년에 1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의 증가추세가 뚜렷하다는게 특징이다. 2014년 2360개였던 것이 2017년에 2748개로 388개나 늘어나 16.4% 증가했다. 해외 법인의 증가는 국내 중소기업 경영 환경이 악화되고 있음을 반증하기도 한다. 

주요 국가별로 보면 2014년에서 2016년까지는 중국에 설립된 신규법인 수가 가장 많았던 반면, 2017년부터는 베트남으로 더 많은 기업들이 빠져 나갔다. 중국의 사드보복 여파에서 자유롭고, 노동력이 저렴한 시장인 베트남으로 눈을 돌린 것이다.

지난해 해외에 설립된 국가별 신규법인수는 베트남 685개, 중국 516개, 미국 508개 순이었다. 올해는 6월말 기준 베트남 384개, 미국 273개, 중국 237개로 나타났다. 중국이 압도적으로 많았던 2016년 이전에 비해 완전 역전된 것이다.

중국은 2015년 713개에서 2017년 516개로 줄어든 반면 베트남은 2015년 522개, 3위 수준에서 2017년에는 685개로 1위에 올랐다. 세계의 공장인 중국의 국가적, 경제적 변화와 불안 요소가 발생할 때마다 안정적인 제품과 부품의 공급을 받기 위해 대체 생산거점으로 베트남이 갈수록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투자지역으로 살펴본 베트남 
베트남에 진출한 기업들은 입지선정에 유의를 해야 한다. 베트남의 북쪽 정치수도인 하노이로 부터 남쪽 경제수도 호찌민까지 총 길이만 1545㎞에 이르는 길쭉한 국토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물류여건 △인프라 정비 △노동인력 수급 △현지자재와 부품조달의 용이성이 지역별로 차이가 난다고 할 수 있다.

우선 남부지역과 북부지역을 구분해 베트남 내수시장 진출을 목표로 한다면, 1인당 GDP가 높고 소비 문화가 발달한 남부지역(특히 호찌민)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남부 쪽은 1인당 GDP가 5500달러로 자본주의적인 비즈니스가 정착돼 있고, 특히 섬유 및 신발 등의 연관산업이 발달해 있다.

반면 북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토지임차료와 인건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노사분규 발생률도 미미하고, 정치수도인 하노이를 중심으로 형성된 지역이기 때문에 중앙정부와의 접촉도 용이한 편이다. 이 지역의 근로자들은 남부 지역과 대비해서도 조직 적응력이나 인내심 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밖에도 베트남은 공단지역과 일반지역에 따라 투자환경 상황이 다르다. 공단지역은 일반지역에 비해 인프라가 잘 정비돼 있고 공단관리위원회가 인허가 수속을 대행한다. 인프라 기반이 돼 있고, 물류여건도 양호한 편이다. 다만 임차료가 비싸고 관리비를 부담해야 한다.

일반지역은 공단에 비해 인프라나 사업여건이 다소 낙후돼 있으나 저렴한 가격에 토지를 임차할 수 있다. 인건비도 공단지역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다만 토지임차료와는 별도로 임차료를 내야 한다. 면적에 따라 일정액의 토지보상비를 지방정부에 지불해야 한다. 개인소지 토지의 경우 토지용도, 증빙서류 확인 등 행정부분에서 주의를 요한다.

외투기업의 경우 정책적으로 공단 외 지역에 투자 허가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고 한다. 코트라에 따르면 “공단 이외 지역에 투자하는 경우 반드시 인민위원회에 허가 가능여부를 확인 한 후 투자를 진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베트남에도 경제특구가 있다. 국가균형발전의 일환으로 남부 1개, 북부 5개를 제외한 12개 경제특구가 낙후된 중부에 집중돼 있다. 경제특구에서는 법인세 10%를 15년 동안 적용하고 원자재·부자재에 대해 5년간 수입 관세 면제 및 개인소득세 50% 감면 등의 혜택이 있다. 최근 들어 지역별로 적용 우대혜택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사전에 편차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입주 지역에 따른 법인세 우대사항도 체크 사항이다. 지난 2016년 1월1일부터 일반 법인세는 20%로 낙후된 지역, 특별 낙후 지역, 하이테크 파크 입주 시에 법인세 우대혜택을 받을 수 있다. 낙후된 지역의 경우 투자 승인 후 10년간 17% 적용되며, 과세이익 발생 후 2년간 법인세 면제, 추가 4년간 50% 감면 혜택을 받는다.

수출 품목 고부가가치 증가
베트남은 수출시장으로서도 인기다. 지난해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베트남 수출은 전년 대비 33.4% 증가한 125억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한국의 베트남 전체 수출액은 총 478억달러로 한국의 전체 수출액에서 8.3%를 차지하며 중국과 미국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대베트남 수출국별 순위는 우리나라가 2016년 4위에서 2017년 중국(22.5%)에 이은 2위(11.7%)로 부상했다. 2016년 기준 베트남에 수출하는 중소기업은 1만6009개다.

우리 중소기업의 베트남 주력 수출 품목은 무선통신기기, 편직물, 플라스틱 제품 등이었다. 2016년 기준 무선통신기기는 6억3600만달러, 편직물은 5억6600만 달러, 플라스틱 제품은 5억2200만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특히 베트남 소비자들은 한류의 영향과 LG·삼성·현대 등 국내 기업의 진출 등으로 인해 한국 브랜드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조이현 중소기업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최근 발표한 ‘중소기업의 베트남 진출 25년, 성과와 향후 과제’ 보고서를 통해 “중소기업이 베트남을 포함한 아세안 지역 국가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선 대도시와 거점 도시를 중심으로 진출하거나 활발히 개발 중인 경제특구를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우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ODA(공적개발원조) 사업과 연계해서 중소기업들이 진출하도록 정부지원도 필요하며, 베트남과 태국 국경지역에 태국과의 합작투자로 베트남 및 인근지역으로 진출하는 전략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다만 보고서는 국내 중소기업들이 ‘저임금’만을 노린 베트남 진출은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베트남에 투자가 몰리면서 베트남에 진출한 국내 중소기업들은 △숙련된 기술인력 부족 △지속적인 임금인상 △노동집약 산업에 대한 신규 투자 기준 강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

특히 베트남정부가 기술집약적 고부가가치산업 유치에 주력하면서 노동집약적 산업은 주요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지방으로 유도하고 있다.

문제는 이런 지역은 도로·전력·통신 등 사회간접자본(인프라)이 열악하다는 점이다.
최근 베트남 정부가 호찌민시 12군에 있던 봉제, 섬유업체 등의 사업허가 연장을 불허한 바 있다.

조 수석연구위원은 “베트남 산업이 노동집약적이지만 단순 기능직이 많아 숙련된 기술 인력을 구하기 어렵고, 임금은 낮지만 노사분규가 잦아 임금이 계속 상승하고 있다”면서 “중소기업의 경우 베트남으로의 투자 진출은 신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떠오르는 내수시장
베트남은 최근 변화를 겪고 있다. 세계의 공장에서 세계의 소비시장으로 점차 그 장점이 변천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 기업도 그동안 저렴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한 생산기지를 활용하기 위해 베트남 진출에 적극적이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오늘날 베트남 투자지형에는 변화의 조짐이 감지된다. 특히 유통·식품·문화 등 소비재 사업 분야의 진출이 크게 늘고 있는 것이다. 베트남이 생산시장을 넘어 소비시장으로 각광받고 있다는 방증이다.

소비시장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베트남의 가처분소득을 살펴보면 된다. 가처분소득은 소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지난 2008년부터 2015년까지 매년 평균 35.5%의 가처분소득 성장률을 기록했다.

실제 가처분소득 증가에 발맞춰 베트남의 소비는 매년 30% 이상 증가하고 있다. 2020년 후반에 베트남은 인구 1억명의 인도차이나 반도 중심국으로서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다. 글로벌 기업들이 베트남을 거대 소비시장으로 잠재성이 높은 국가로 분류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베트남의 경제력과 구매력은 주요 대도시에 집중돼 있다. 지역별 소득격차가 심해 고가 브랜드 제품 수요는 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다. 경제 중심지인 호찌민의 1인당 국민소득은 베트남 평균의 2~3배 수준이다. 따라서 상품시장의 상하가 뚜렷한 곳이 바로 베트남이다.

전체 인구의 1인당 GDP는 2200달러에 불과하지만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두터운 고소득층이 존재하고 있어 고가 제품 시장도 자연스럽게 발달해 있다. 하지만 대부분 소비자들은 품질보다 가격에 민감하다. 소비재의 경우 인근 중국산 밀수제품의 유입으로 인해 가격경쟁이 힘든 실정이나 중국산 제품에 식상한 소비자는 점진적으로 한국산을 선호하는 추세다.

요즘 베트남 시장에는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강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기업의 브랜드 인지도는 단연 압도적이다. LG(가전제품, 화장품, 생활용품), 삼성(휴대폰, 가전제품), 현대·기아(자동차) 등이 베트남에 진출한 대기업들로 선전하고 있다.

코트라의 관계자는 “다만 유명브랜드 제품의 복제품 또는 유사품이 많이 유통되고 있으나, 지재권 보호 등 정부차원의 규제는 미흡한 실정”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베트남은 사회주의 공화제 국가이기 때문에 국영기업의 파워가 여전하다. 베트남 국영기업은 베트남 산업에서 50~60%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전력, 통신, 석유 가스, 방송 등의 분야에서는 거의 100%에 달하는 독점적 구조를 형성 중이다. 다만 2016년부터 국영기업의 민영화 마스터플랜 계획이 법령으로 공표돼 공기업의 민영화 바람이 점차 불고 있는 상황이다.  

 

[라이프프라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040 몽골 몽골 인민당의 원내 대표 선출을 위한 “마라톤” 시작 file 몽골한국신문 18.11.21.
2039 몽골 정부 해산, 국민이 반대 file 몽골한국신문 18.11.21.
2038 몽골 고등법원, 새로 신청한 2개의 당의 등록을 보류 file 몽골한국신문 18.11.21.
2037 몽골 울란바타르 시에 2030년까지 인구의 58.8%가 거주 file 몽골한국신문 18.11.21.
2036 몽골 “집약형 축산업 활성화” 계획 발표 file 몽골한국신문 18.11.21.
2035 몽골 부정부패방지위원회 중소기업 지원 펀드의 모든 사업을 조사 착수 file 몽골한국신문 18.11.21.
2034 몽골 kh. Badelkhan: 올해 1만 가구에 아파트 대출 지원 file 몽골한국신문 18.11.21.
2033 몽골 에너지 관리위원회 39개 회사에 에너지원 건설 허가 승인 file 몽골한국신문 18.11.21.
2032 기타 베트남 나트랑, 태풍 도라지 상륙에 '아수라장'…피해 규모 유독 컸던 이유는? 라이프프라자 18.11.20.
2031 기타 베트남서 27호 태풍 '도라지' 발생…한국 영향 없어 라이프프라자 18.11.19.
2030 기타 베트남, 폭우로 인한 홍수·산사태…최소 12명 사망 라이프프라자 18.11.19.
2029 몽골 한반도통일지지몽골포럼(MFKU), 몽골인문대학교(UHM) 특강 실시 완료 file GWBizNews 18.11.19.
2028 기타 “하락세 지속, VN지수 880p 바닥 시험할 수도” 라이프프라자 18.11.15.
» 기타 ‘신남방’ 중심, 기회의 땅 베트남 라이프프라자 18.11.14.
2026 기타 베트남 소설가 바오 닌, 아시아문학페스티벌에서 ‘제2회 아시아문학상’ 수상해. 라이프프라자 18.11.14.
2025 몽골 몽골 연중 휴일 115일 file 몽골한국신문 18.11.14.
2024 몽골 10대 달라이라마 문제로 중국이 국경을 통과 지연 하는가 file 몽골한국신문 18.11.14.
2023 몽골 도시 계획 연구소 신설이 시급 file 몽골한국신문 18.11.14.
2022 몽골 내년에 주류 세, 담뱃세 5% 인상 file 몽골한국신문 18.11.14.
2021 몽골 몽골의 신용등급을 “B-“에서 “B”로 상향조정 file 몽골한국신문 18.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