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er

베트남 택시업계들이 차량공유서비스 기업인 그랩(Grab)에 대항해 과감한 투자로 서비스를 업그레이드 하고 서로 협업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반격에 나서면서 눈길을 끌고 있다. 

자신들의 약점을 인정하고 선진국 사례를 통해 경쟁력을 갖추어 가면서 외면하던 고객의 발길을 돌리는 것은 물론 그동안 현지 택시를 기피하던 외국인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

4일(현지 시간) 택시업계에 따르면 우버의 동남아 사업권을 인수한 그랩과 인도네시아를 평정하고 시장을 동남아로 확대중인 고젝의 베트남 버전인 고비엣, 토종 자본을 기반으로 한 패스트고 등이 본격적인 차량공유 서비스 경쟁을 펼치면서 베트남에서 택시들은 한동안 설 자리를 잃었다.

고객들도 불친절하고 미터기를 조작하는 현지 택시보다는 기술력을 기반으로 최적의 거리와 합리적인 요금,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차량공유서비스를 선호했다.

하지만 절치부심한 택시업계들의 반격이 시작되고 있다.

베트남 최대 택시그룹 중 하나인 마이린 그룹(Mai Linh Group)은 호치민에서 개인자동차 소유자들과 협동조합 형태의 개인택시 사업인 '호아빈싼택시(Hoa Binh Xanh Taxi)'운영을 시작했다.

차량 브랜드와 색상에 상관없이 누구나 조합에 가입할 수 있다. 호아빈싼의 로고와 택시 표시등을 장착하고 콜센터 1055와 마이린 택시를 배차앱을 통해 고객과 연결한다. 마이린 그룹은 운전자들에게 제복과 무료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택시 조합에 소속된 점만 제외하면 모든 점에서 그랩과 동일하다.

center

하노이에서는 전통 택시를 운영하던 회사들이 새로운 브랜드인 'G7'으로 뭉쳤다. 가장 큰 택시회사인 탄 콩 택시(Thanh Cong), 바 사오 택시(Ba sao), 사오 하노이 택시(Sao Hanoi) 등이 통합했다.

㎞당 약 9900동(약 480원)의 요금과 피크시간대 별도 할증 없이 운영하며 그랩보다 낮은 가격대로 경쟁력을 키웠다. 신차구매는 물론 서비스 교육도 한결 업그레이드 했다. 약 3000대 택시를 운영하며 G7전용 앱을 통해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택시업계의 이런 변화는 일본 사례를 벤치마킹한 덕이 크다. 일본은 차량 공유 서비스가 법으로 금지된 유일한 국가다. 대신 세계적으로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있다. 

운전기사는 택시 회사 소속으로 특별 운전면허를 소지해야 한다. 고객에게 목적지를 듣게 되면 요금을 미리 알려주고 합석도 없다. 경쟁사끼리는 고객 공유를 통해 더 저렴한 가격에 택시를 이용하도록 협업한다. 고객에게 항상 친절한 것은 기본이다.

G7택시 대표는 "변해야 한다. 새로운 기술을 기반으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해 2년 내에 베트남에서 가장 큰 택시 브랜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베트남 택시들의 이런 변화는 조금씩 고객의 발길을 돌리는 데도 성공하고 있다. 

마이린이나 G7택시의 경우 자국민뿐만 아니라 그동안 현지 택시의 불친절함과 요금사기 때문에 차량공유서비스만 이용하던 외국인들에게도 호평받고 있다.

하노이에 사는 한 교민은 "요즘은 일부 시간대에는 그랩보다는 할증이 붙지 않는 마이린이나 G7을 많이 이용한다"며 "차량 내부도 청결하고 기사도 친절하다. 무엇보다 요금 때문에 시비 붙을 일도 없다"고 밝혔다.

 

[호치민 라이프플라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160 몽골 WHO는 높은 감염률, 합병증, 사망률이 발생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경고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2.03.17.
2159 몽골 ADB에서 3,000만 달러를 대출받으면 목초지가 개선되고 가축 부담이 줄어들 것 file 몽골한국신문 22.03.17.
2158 몽골 '교통체증 해결'에 대한 토론이 있을 것 file 몽골한국신문 22.03.17.
2157 몽골 사회보험료를 내는 직원 71만9,000명 중 300만 투그릭 이상의 급여를 받는 직원은 4만9,000명 file 몽골한국신문 22.03.17.
2156 몽골 Kh.Battulga는 한 정당에서 3명의 국정 지도자를 배출한 것은 뼈저리게 느낄 수 있어 file 몽골한국신문 22.03.17.
2155 몽골 팩트 체크, 러시아가 몽골에 부과하는 세액 file 몽골한국신문 22.03.17.
2154 몽골 올해는 3만2,358명이 토지를 무상 배정받아 file 몽골한국신문 22.03.17.
2153 몽골 전국에서 95명의 코로나바이러스 신규확진자가 보고되었으며, 사망자는 나오지 않아 file 몽골한국신문 22.03.17.
2152 캄보디아 프놈펜 시청, 시민들에게 버스 이용 장려 뉴스브리핑캄.. 22.03.17.
2151 캄보디아 캄보디아 여성 평화유지군, UN훈장 받아 뉴스브리핑캄.. 22.03.17.
2150 캄보디아 캄보디아 입국절차 대거 간소화...PCR 음성 증명서 필요없어 뉴스브리핑캄.. 22.03.17.
2149 몽골 통신 및 정보기술 부문은 투자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회의를 개최 file 몽골한국신문 22.03.18.
2148 몽골 D.Sumyaabazar 시장, LRT도입 프로젝트의 타당성 조사는 이달 30일에 준비될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22.03.18.
2147 몽골 이달 24일 전국 재난경보 훈련 시행 file 몽골한국신문 22.03.18.
2146 몽골 대중교통 버스 한 대에 하루 32만 투그릭 연료 소비 file 몽골한국신문 22.03.18.
2145 몽골 후식 계곡을 자유지대로 만드는 당국의 꿈! file 몽골한국신문 22.03.18.
2144 몽골 스테이트 은행은 IFE와 양해각서에 서명 file 몽골한국신문 22.03.18.
2143 몽골 몽골 코로나바이러스 신규감염 77명 file 몽골한국신문 22.03.18.
2142 몽골 18~29세 남성의 17%가 군 복무 경험 file 몽골한국신문 22.03.21.
2141 몽골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한 개 동 1층을 유치원으로 개조하면 접근성이 좋아질 것 file 몽골한국신문 22.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