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인구논란 1).jpg

호주 최대 기업인 단체인 호주상공회의소(Australia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가 정책 보고서를 통해 연방 정부의 해외 유입 이민자 수용 감축 계획을 강하게 경고했다. 또 이민자로 인한 도시 혼잡이라는 이유에 대해 “도로-항만-기차(화물) 과부하로 무역을 줄이자고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사진은 출근시간대, 시드니의 한 도심 지역 풍경. 사진 : ABC 방송 뉴스화면 캡쳐

 

호주 최대 상공인단체, 정책 보고서 통해 ‘해외 이민자 감축 계획’ 경고

 

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의 해외 유입 이민자 감축 계획 언급과 함께 인구 문제가 정치-사회 부문의 핵심 이슈로 부상한 가운데, 강하게 반대의견을 제시했던 호주 주요 사업자 단체가 정책 보고서를 통해 다시 한 번 정부의 이민자 축소 계획을 경고했다.

호주 주요 기업들이 포함된 상공인 단체는 이민자 유입을 감축하기보다는 초당적 차원에서 인구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기업인들의 지적은 ‘호주가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기술 인력이 필요’하며, 이는 ‘해외에서 유입되는 이민자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호주 최대 기업인 단체인 ‘호주상공회의소’(Australia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ACCI)는 금주 화요일(11일) 내놓은 보고서에서 내년부터 호주가 수용하는 해외 이민자 수를 연간 19만 명에서 16만 명으로 축소하려는 모리슨 총리의 계획에 대해 강하게 경고했다.

보고서는 연방 정부가 각 주 정부의 이민자 목표를 수렴하여 이민 정책을 설정하는 것은 주객이 전도된(tail wag the dog) 것이라고 꼬집으며 연방 정부가 이민자 수용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ACCI’는 호주 내 약 30만 명의 기업인 대표하는 최대 비즈니스 단체이며 이들 회원사가 고용하고 있는 인력은 500만 명에 달한다.

‘ACCI’뿐 아니라 호주 비즈니스협의회(Business Council of Australia. BCA) 또한 “각 주 정부는 보다 강한 인프라 투자로 인구 증가에 대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BCA의 그란트 킹(Grant King) 회장은 인구 성장을 대비한 인프라 투자에 대해 대도시와 지방 도시를 연결하는 고속열차를 구축해 지방 도시의 고용을 촉진하고 인구를 분산시키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회초리가 아니라 당근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킹 회장은 “각 주 별로 중심 도시 및 지방 도시를 수레바퀴의 부채살과 같이 연결한 인프라 개발이 절실하며 각 주 정부가 적합한 정책을 채택할 수 있는 자율성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ACCI는 이번 보고서에서 생산성위원회(Productivity Commission) 및 연방 정부 연구 자료를 인용, 현 수준의 이민자 유입을 유지하는 경우 2060년경에는 1인당 경제생산량이 7%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연방 내무부 및 재무부 자료를 인용해 숙련된 기술 인력이 유입됨으로써 연방 예산에 97억 달러의 혜택이 추가됐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해외에서 유입되는 이민자들이 호주인들의 일자리를 빼앗는다는 우려는 반세기 전 여성들이 직업 전선에 나섬으로써 남성들의 일자리가 사라진다고 걱정했던 상황을 연상시킨다”고 지적하면서 “이 같은 정서는 호주 경제에 일자리가 정해져 있다는 착오에서 생겨난 것으로, 이민자가 유입되면서 현지인이 직업을 잃게 된다는 증거는 없다”고 강조했다.

ACCI는 또 숙련 기술을 가진 젊은이들이 호주로 유입되면서 발생하는 경제적 혜택을 강조한 멜번대학교 인구통계학자 피터 맥도널드(Peter McDonald) 교수의 견해도 언급했다.

맥도널드 교수는 모리슨 총리가 이민자 감축 계획을 밝혔을 당시 노동력 측면에서의 경제적 손실을 제시하며 강하게 반대했던 인구학자이다.

보고서는 호주 인구가 빠르게 고령화되는 상황에서 “2051년까지 연간 해외 이민자 수용을 20만 명으로 지속할 경우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현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노동력을 제공하기 어려운 고령 인구 확산을 늦출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2051년 경 68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65세 이상 고령 인구를 지원하는 정부 복지비용 감당도 어려울 것이라며, “이것이 젊은 인력을 받아들여야 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올해 3월31일까지, 지난 한 해 호주로 유입된 순이민자는 23만6,800명이었다. 이는 한해 인구 증가의 62%를 차지하는 비율이다. 물론 여기에는 영구이주자는 물론 유학생 및 장단기 취업자가 포함되어 있다.

영주이주자만을 보면, 지난 회계연도(2017년 7월1일-2018년 6월30일)에 호주는 16만2,416명을 받아들였다. 이는 연방 정부가 계획한 19만 명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이다. 모리슨 총리는 지난 11월19일, 한 연설을 통해 연간 영구이민 수용을 16만 명 선으로 유지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ACCI의 이번 보고서는 모리슨 총리가 정례 호주정부협의회(Council of Australian Governments) 회의를 앞두고 나온 것이어서 향후 연장 정부 정책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서도 주목되고 있다.

각 주 정부 지도자들의 견해도 제각각인 상황이다. NSW 베레지클리안(Gladys Berejiklian) 주 총리(자유당)는 모리슨 총리의 발언 이전부터 NSW 주에 유입되는 해외 이민자 수를 절반 수준으로 낮추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반면 빅토리아(Victoria) 주 다니엘 앤드류(Daniel Andrews) 주 총리(노동당)는 이민자 유입을 감축하기보다는 연방 정부가 사회기반 서설 확충을 주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ACCI는 보고서를 통해 대도시 교통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교통기금 조달 필요성도 언급했다.

ACCI의 제임스 피어슨(James Pearson) 회장은 “각 주 및 테러토리의 인프라 보급 수준에 따라 이민자 수용 수준을 설정하려는 것은 그야말로 주객이 전도된 것”이라며 지적했다. 호주 외교나 국방 등과 함께 이민 정책은 연방 정부의 핵심 업무 중 하나이다.

피어슨 회장은 이어 “정치 지도자들은 도로와 항만, 기차 등에 부담이 크기 때문에 무역이나 수출을 줄이자고 말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정치 지도자가 해야 할 일은 호주 경제 성장을 위해 더 많은 기반 시설에 투자하고 전체 호주인의 생활수준 향상을 위한 정치적 지원을 추구하는 일”이라고 강하게 꼬집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인구논란 1).jpg (File Size:59.6KB/Download:2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51 뉴질랜드 해머로 강아지 공격한 남성의 댓가.... NZ코리아포.. 17.07.29.
5250 뉴질랜드 필리핀에서 60대 키위 남성 총격 받아 숨져 NZ코리아포.. 17.07.29.
5249 뉴질랜드 최신형 페라리 몰고 200km이상으로 내달렸던 운전자 NZ코리아포.. 17.07.29.
5248 뉴질랜드 밤마다 옷 훔쳐갔던 범인, 알고보니..... NZ코리아포.. 17.07.29.
5247 호주 캔터베리 경마장 인근 고층 아파트 단지 조성 ‘가시화’ 톱뉴스 17.07.30.
5246 호주 정부주택난 심화…해결책은? 톱뉴스 17.07.30.
5245 호주 허위 납치극 한국인 부자, 유죄 시인...Ch9 사건 재조명 톱뉴스 17.07.30.
5244 호주 보복 운전 시비 얼굴 가격 당한 21살 여성 5가지 죄목으로 기소 톱뉴스 17.07.30.
5243 호주 호주 국내선 항공기 폭파 테러 저지…모의범 4명 체포 톱뉴스 17.07.30.
5242 호주 NSW 교육당국, 셀렉티브 스쿨 입시제도 개편 예고 톱뉴스 17.07.30.
5241 호주 457 비자 직원에게 임금 환급 강요 한인 여행사 적발 톱뉴스 17.07.30.
5240 호주 셀렉티브 스쿨 논란 재현 톱뉴스 17.07.30.
5239 호주 ACCC, 메르세데스-벤츠 대형트럭 '액트로스 963' 리콜 결정 톱뉴스 17.07.30.
5238 뉴질랜드 식어가는 부동산 시장, 에이전트 커미션 할인 경쟁 NZ코리아포.. 17.07.31.
5237 뉴질랜드 3주 동안 3번씩이나 도둑 맞은 주유소 NZ코리아포.. 17.07.31.
5236 뉴질랜드 영하의 밤 지낸 후 극적으로 구조된 여성 운전자 NZ코리아포.. 17.08.01.
5235 뉴질랜드 넥타이 모으기 세계기록 수립한 키위 수집광 NZ코리아포.. 17.08.01.
5234 호주 노동당, 의문의 중국계 담배수입자로부터 거액의 정치자금 수령 톱뉴스 17.08.01.
5233 호주 호주 캠퍼스 안팎 성추행 심각 수준 톱뉴스 17.08.01.
5232 호주 호주 주택가격 다시 오름세 조짐 톱뉴스 17.08.01.
5231 호주 RBA 기준금리 1.5% 12개월째 동결…달러화 가치는 상승 톱뉴스 17.08.01.
5230 호주 호주 공항, 안면인식기 도입 계획 발표 톱뉴스 17.08.02.
5229 호주 ‘현역 최다승’ 백전노장 카리 웹(42), LPGA 통산 42승 목전서 무산 톱뉴스 17.08.02.
5228 뉴질랜드 뉴질랜드 실업률, 2008년 이래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NZ코리아포.. 17.08.02.
5227 뉴질랜드 담배없는 나라 빨리 만들기 위해 세금을 ...... NZ코리아포.. 17.08.02.
5226 뉴질랜드 태평양 지역, 20년만에 등장한 뎅기열 급증으로 초 긴장. NZ코리아포.. 17.08.02.
5225 뉴질랜드 무심한 진통제 남용, 약물 중독 위험 NZ코리아포.. 17.08.03.
5224 뉴질랜드 누룩 들어간 베지마이트와 마르미트, 스트레스 더 적게 만들어. NZ코리아포.. 17.08.03.
5223 뉴질랜드 교차로 자동차 유리 닦기, 벌금 150달러 부과 개정안 NZ코리아포.. 17.08.03.
5222 호주 올 7월까지의 매물주택 수, 지난해 대비 54%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5221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호주 기준금리 1.5% 동결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5220 호주 6월 신규주택 판매, 6.9%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5219 호주 호주 여아들 ‘사춘기’, 8세로 빨라졌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5218 호주 올해 ‘아치볼드’, ‘아가다 고스-스네이프의 초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5217 호주 2030년 미래 직업... 필요한 기술은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5216 호주 NAPLAN 예비결과 공개... “학업성취도 향상됐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5215 호주 광역시드니 전역, 주택소유자 비율 크게 줄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5214 호주 ‘대학 성폭력 보고서’... LGBTI 피해자 대부분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5213 호주 대테러 전담팀, IS 조직과 연계된 테러 용의자 색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5212 호주 2017 ‘HILDA’ 보고서... “젊은이들, 더욱 힘들어져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5211 뉴질랜드 사람 있는 줄도 모르고 캐러밴 훔쳐 끌고 갔던 도둑 NZ코리아포.. 17.08.04.
5210 뉴질랜드 이민부 직원의 직권남용 - 가족과 친구들에게 비자 영주권 발급.. NZ코리아포.. 17.08.04.
5209 뉴질랜드 오클랜드 주택 시장, 7년 이래 가장 조용한 7월 NZ코리아포.. 17.08.04.
5208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만나는 골프스타들, MCKAYSON 뉴질랜드 여자 오픈 NZ코리아포.. 17.08.04.
5207 호주 호주 학생 작문 실력 저하…NSW 9학년 70%, 일부 과목 기준점수 미달 톱뉴스 17.08.04.
5206 호주 연방정부, 영주권 제도 개정 계획 톱뉴스 17.08.04.
5205 호주 시드니 올림픽 파크, 무인자율주행버스 시험 운행 톱뉴스 17.08.04.
5204 호주 <현장취재> 무법천지 ‘마틴 플레이스 홈리스 텐트촌’ 톱뉴스 17.08.04.
5203 호주 시드니 ‘타운 하우스’ 인기 급상승 톱뉴스 17.08.04.
5202 호주 전기세 대란 서민층 “강타”…시드니 68,400가구 단전 위기 톱뉴스 17.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