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Night life 1).jpg

최근 시드니 시티 카운슬이 도심 16개 라이브 공연 업소 지원금 제공을 결정한 가운데 도시의 밤 활력 살리기에 주력해 온 제스 스컬리(Jess Scully) 시 의원이 다섯 가지 방안을 제시, 눈길을 끌었다. 사진은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앞의 야외 바(bar).

 

도시 활기 되살리기 위한 시드니 시티 카운슬러의 다섯 가지 제안

 

“시드니는 도시 활기를 위한 기본적인 시설들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진실로 활력 있는 도시로 만들기 위해서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고 또 대중교통을 위한 투자가 요구된다.”

시드니 시티 카운슬(City of Sydney)의 제스 스컬리(Jess Scully) 시 의원은 지난 2014년 ‘Lockout Laws’ 시행 이후 밤 문화가 사라지고 야간 경제가 위축된 시드니 도심의 밤 오락을 되살리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는 카운슬러이다.

최근 시드니 시티는 도심의 밤에 활력을 더해주는 16곳의 라이브 공연 업소에 26만5천 달러의 지원금을 제공키로 했다.

이와 관련, 스컬리 의원은 지난 토요일(15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와의 인터뷰에서 시드니의 밤 활력을 살리기 위한 다섯 가지 방안을 제시, 눈길을 끌었다.

그녀가 제안한 첫 번째는 이야기를 바꾸는 것이다. “시드니의 밤은 죽었다는 인식이 있다”는 스컬리 시 의원은 “하지만 그렇지 않으며 밤을 즐길 만한 곳은 많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녀는 “만약 우리가 여전히 ‘Sydney down’을 말한다면 이는 자기 충족적 예언, 즉 그 말대로 되는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이 될 것”이라며 “밤에도 활기가 넘치는 도심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시드니사이더(Sydneysiders)들이 밤을 즐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종합(Night life 2).jpg

시드니 시티 카운슬의 제스 스컬리(Jess Scully) 시 의원. 사진 : Jess Scully 트위터(@jessaroo)

 

두 번째로 ‘자정이 넘으면 이 도시에서 좋은 일은 하나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법 집행 당국의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야간의 여흥은 전 세계 어느 도시에서나 중요한 부분이며, 밤 문화라 하여 쾌락만을 추구하거나 범죄 행위를 저지르는 것이 아님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는 게 그녀의 지적이다.

스컬리 시 의원은 도심의 밤을 즐기는 시드니사이더들은 (법 집행 당국의 인식과 달리) 성인으로 대접받을 권리가 있으며 밤 여흥을 위한 시설들은 전 세계 여행자, 국제학생들에게 중요한 부분을 제공한다고 말한다. 특히 도시의 밤을 즐기기 위한 시설은 기술 및 지식경제적 재능을 끌어들이는 요소라는 게 그녀의 주장이다.

세 번째로 스컬리 시 의원은 음악적 재능을 가진 이들을 육성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NSW 의회가 시드니의 라이브 음악 업소에 대한 조사를 거쳐 지난 달(11월) 내놓은 보고서는 나름대로 노력을 기울였지만 이제는 행동을 취한 시간이라고 강조했다.

그녀는 재능을 가진 신인들을 위한 지원에 우리가 전 세계에서 가장 비싼 도시에 살고 있음을 이해시키는 것이 포함되며(자부심을 주어야 하며), 라이브 무대와 리허설 룸, 오페라하우스와 같은 대규모 공연장은 물론 허름한 바(bar) 또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넷째는 정책을 입안하는 이들이 시드니의 문화적 자산을 소중하게 여기고 주요 명소를 보호하기 위해 런던, 토론토 등의 도시들이 추진했던 선례를 따를 필요가 있다는 제안이다.

아울러 스컬리 시 의원은 마지막 사항으로 대중교통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늦은 시간까지의 원활한 대중교통 기반이 도심의 밤 문화를 살리고 도시 활력을 이끌어내는 열쇠라는 설명이다. “지난 2011년 시드니 시티 카운슬은 킹스크로스(Kings Cross)를 운행하는 24시간 대중교통 체제를 권고한 바 있다”고 말한 스컬리 시 의원은 “만약 이것이 시행됐다면 ‘Lockout Laws’로 이어진 문제들은 덜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종합(Night life 3).jpg

지난 2016년 2월, NSW 주 정부의 ‘Lockout Laws’에 반대하는 시민단체 ‘Keep Sydney Open’ 회원들이 이 법의 철회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들은 이 법을 비난하는 다양한 문구는 물론 당시 NSW 주 마이크 베어드(Mike Baird) 주 총리의 사진에 히틀러의 콧수염을 붙여 그의 ‘밀어붙이기 식’ 정책을 비꼬기도 했다.

 

스컬리 시 의원은 킹스크로스를 비롯해 도심 지역의 주류제공 업소에 대한 영업시간 제한을 규정한 ‘Lockout Laws’를 강력하게 반대하는 사람이다. 그녀는 제한된 영업시간은 물론 신분증 스캔을 위한 특수 기계장치 등 번거로운 안전요구 사항에 대해 “일반적으로 이해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스컬리 시 의원은 만약 자신이 정책을 결정하는 자리에 있었다면, 1990년대 말 펍 내에 포커머신을 설치하도록 허용한 결정을 번복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당시 이 규정을 반대하는 이들은 “도박으로 인한 사회 문제를 확대시키고 도심의 건전한 라이브 음악 공연 업소를 위축시킬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그녀는 그 파급을 여전히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그런 점에서 ‘Lockout Laws’의 영향도 오래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이다.

스컬리 시 의원은 어떤 주 정부도 포커머신 정책을 제한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서, 포커머신에서 오는 세수를 도심의 라이브 업소 활성화 기금으로 활용하자는 NSW 주 의회 보고서의 아이디어를 지지한다고 말했다.

시드니 시티 카운슬은 계획 통제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시드니 도심의 라이브 공연 업소들을 지속적으로 육성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9월부터 시드니 시티 카운슬은 라이브 공연 업소들의 방음 및 장비 개선에 중점을 두고 40개 업소를 대상으로 85만 달러를 지원, 소음을 유발하는 라이브 업소와 도심 지역 거주자들이 공존하는 길을 모색해가고 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Night life 1).jpg (File Size:62.7KB/Download:22)
  2. 종합(Night life 2).jpg (File Size:61.5KB/Download:25)
  3. 종합(Night life 3).jpg (File Size:73.3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51 호주 여름철 해변 즐기기... NSW 정부, ‘안전 조치’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4750 호주 스몰비즈니스-고령층 대상 사이버 범죄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4749 호주 NSW 주, 기한 넘긴 ‘기프트 카드’ 잔액 연간 6천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4748 호주 호주인 거주 지역별, 심장건강 차이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4747 호주 비숍 외교부 장관, “북핵 문제는 강력한 경제 제재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4746 호주 ‘무종교’ 시드니사이더, 10년 전 대비 1.5배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4745 호주 시드니 카운슬, 도심 ‘나이트 라이프’ 살리기 나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4744 호주 광역시드니 거주민 66%, “주거지 개발은 이제 그만!”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4743 호주 Top 10 drives around the Northern Territory(1)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4742 호주 시드니의 높은 ‘주택 가격’, 수혜 지역은 퀸즐랜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4741 호주 베레지클리안 NSW 주 정부, 업무 해외위탁 비중 ‘초과’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4740 호주 ‘이중국적 의원’ 대법원 심리, ‘헌법 44항’ 해석 이견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4739 호주 채스우드 아파트 아래 도로에서 한인 여성 사망한 채 발견 ‘충격’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4738 호주 호주 정규직 여성 평균 임금, 남성 대비 87%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4737 뉴질랜드 뉴질랜드, 세계에서 세 번째로 뚱뚱한 나라. 1위는 ? NZ코리아포.. 17.10.13.
4736 뉴질랜드 오클랜드 지역 주택 중간 가격, 약간 오른 것으로 나타나 NZ코리아포.. 17.10.13.
4735 호주 채스우드 고층 아파트 ‘데이트 폭력’ 투신 소동 및 여성 사망 사건의 진상은? 톱뉴스 17.10.14.
4734 호주 “일요일 근무수당 삭감 조치 존속” 톱뉴스 17.10.14.
4733 호주 “북한 도발 둘러싼 살벌한 설전에 떨고 있는 호주인들” 톱뉴스 17.10.14.
4732 호주 파이필드 통신장관, “공영방송사도 공정한 경쟁해야”…미디어 개혁법 당위성 재역설 톱뉴스 17.10.14.
4731 호주 SA 주의회 출마 선언 제노폰 연방상원의원 첫 걸음부터 ‘삐걱’. 톱뉴스 17.10.14.
4730 호주 호주-한국, 외교 국방 2+2 개최…”강한 제재로 배핵화 견인” 톱뉴스 17.10.14.
4729 호주 <한글날 특집> 뜨거워지는 한글 열기...휘청거리는 한글 표기 톱뉴스 17.10.14.
4728 호주 호주 소득수준 10년전 대비 평준화…소득 격차는 더 커져 톱뉴스 17.10.14.
4727 호주 사용하고 난 전자 제품 어떻게 처리해야할까? 톱뉴스 17.10.14.
4726 호주 연방 및 주정부, 여름철 절전 대책 마련에 ‘전전긍긍’ 톱뉴스 17.10.14.
4725 호주 브리즈번 주민, 휘발유 값으로 연 5천만 달러 추가 지출 톱뉴스 17.10.14.
4724 호주 토니 애벗 전총리 독설 이번에는 기후변화정책 “정조준” 톱뉴스 17.10.14.
4723 호주 “시드니 단독 주택이 사라지고 있다” 톱뉴스 17.10.14.
4722 호주 테이블 매너는 확실히 지킨다! 톱뉴스 17.10.14.
4721 호주 “한국의 목소리” 매력 만발 톱뉴스 17.10.14.
4720 뉴질랜드 뉴질랜드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는? NZ코리아포.. 17.10.15.
4719 뉴질랜드 ‘안전한 도시’ 세계 16위에 오른 웰링턴 NZ코리아포.. 17.10.15.
4718 뉴질랜드 ‘NZ 올해의 새’ 투표에서 압도적 1위는 앵무새 ‘키아(Kea)’ NZ코리아포.. 17.10.15.
4717 뉴질랜드 세계 경제 시장, 지난 2007년과 비슷한 조짐 경고 NZ코리아포.. 17.10.16.
4716 뉴질랜드 나무 위에 착륙한 패러글라이더, 한 시간 넘게 걸려 구조돼 NZ코리아포.. 17.10.16.
4715 뉴질랜드 목장에 착륙한 비행기 보고 몰려든 소떼들 NZ코리아포.. 17.10.16.
4714 뉴질랜드 빛의 축제, 드왈리 페스티벌 밤9시 불꽃놀이로 마감 NZ코리아포.. 17.10.16.
4713 뉴질랜드 해산물 불법 채취 후 판매, 3년 동안 낚시와 채취 금지 판결 NZ코리아포.. 17.10.17.
4712 뉴질랜드 오클랜드 주택 가치 평가, 최고 50% 오를 것으로 예상 NZ코리아포.. 17.10.17.
4711 뉴질랜드 개에게 물려 죽은 새끼 물개들 “DOC, 개 주인들에게 경고” NZ코리아포.. 17.10.17.
4710 뉴질랜드 아픈데도 불구하고 마지막 근무까지 마치고 죽은 경찰견 NZ코리아포.. 17.10.17.
4709 뉴질랜드 오클랜드 지역, 주택 자재 가격 6.8% 올라 NZ코리아포.. 17.10.18.
4708 뉴질랜드 오클랜드 해변과 식당 옥외 좌석, 금역 지역으로 지정 예정 NZ코리아포.. 17.10.18.
4707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3분기 낮은 경매율, “둔화 조짐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4706 호주 NSW 주 정부, 이너웨스트 대중교통 개선안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4705 호주 스트라스필드 광장서 ‘음식과 재즈’ 이벤트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4704 호주 ‘사커루’의 러시아 월드컵 ‘플레이오프’ 경기일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4703 호주 NBN 기반의 인터넷-무선전화 소비자 불만,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
4702 호주 ‘2017 HSC’ 시험 시작, 학생들 ‘고군분투’ 모드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