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hyperloop 1).jpg

‘하이퍼루프’(hyperloop)는 미국의 앨런머스크(Elon musk)가 제안한 신개념 고속철도로, 그에 따르면 진공 상태인 터널에서 시속 약 500마일로 달릴 수 있다. 이를 현실화하려는 기업들 가운데 하나인 ‘Hyperloop Transportation Technologies’가 호주 연방 의회에 주요 도시의 새로운 운송 시스템으로 제안했다. 사진은 ‘Hyperloop Transportation Technologies’의 ‘하이퍼루프’.

 

미국 ‘Hyperloop Transportation Technologies’, 연방 의회에 비전 제시

 

호주 주요 도시 사이를 수십 분 이내에 이동할 수 있는 새로운 운송 기술은 과연 실현 가능할까? 이 기술에 따르면 시드니에서 캔버라까지의 소요 시간은 14분이면 가능하다.

지난 달 30일(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호주의 문제 많은 대중교통 시스템 해결을 위한 새로운 기술이 제안됐다.

이는 미국 기반의 ‘Hyperloop Transportation Technologies’(HyperloopTT)이 국가 대중교통 시스템에 대한 연방 의회 조사에서 제시한 튜브 기반의 초고속 운송 시스템 기술이다.

이 제안서는 종합적인 타당성 조사를 거쳐 역의 위치, 노선, 타이밍을 확정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지만 일단 제안 내용으로 보면 시드니에서 캔버라까지의 소요 시간은 14분으로 예상된다. 또 캔버라-멜번 23분, 캔버라-브리즈번 51분, 캔버라-애들레이드는 56분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브리즈번에서 애들레이드까지도 1시간 47분이면 이동이 가능하다.

‘HyperloopTT’는 지난 2013년 설립된 회사로, 억만장자 기업인 엘론 머스크(Elon Musk)가 제시한 신개념 고속철도 ‘하이퍼루프’(hyperloop) 이론을 현실화하고자 시도하는 회사들 중 하나이다.

연방 의회에 제시된 이 하이퍼루프의 최고 속도는 시속 1223km로, 거의 제로 마찰로 추진되는 저압 튜브에서 자기부상의 가압 캡슐을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튜브의 지붕 및 역에 설치된 태양열 집열기로 작동된다. 또 이 고속철도에는 승객 및 화물 캡슐이 포함되며 각 승객 캡슐의 탑승 인원은 38명이다.

연방 의회에 제출된 제안서에서 ‘HyperloopTT’의 비밥 그레스타(Bibop Gresta) 회장 및 글로벌 사업개발부 책임자인 로드리지 사(Rodrigo Sa)씨는 하이퍼루프의 경우 호주 국가 기반시설로서의 잠재력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HyperloopTT’는 “우리 기술은 호주 장거리 교통망의 판도를 바꾸게 될 것이며 승객 및 화물 운송을 위한 다른 시스템과도 완벽하게 상호 작용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제시했다.

또한 호주의 현 각 주(State) 운송 시스템이 비효율적이며 환경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으며 운영비용이 높다고 언급하고 있다.

 

종합(hyperloop 2).jpg

‘하이퍼루프’ 운송 시스템은 대형 튜브로 만든 진공관을 활용하는 것으로, 연방 의회에 제안된 이 시스템의 최대 속도는 시속 1223킬로미터이다.

 

하지만 ‘HyperloopTT’의 계획과 달리 이 기술은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이 회사는 현재 프랑스에 공장을 마련하고 있으며 320미터의 시험 시스템을 제작하는 중이다. 올해 ‘HyperloopTT’는 두 번째로 1킬러미터 길이의 시험장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HyperloopTT’의 제안서는 호주에서 이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HyperloopTT’는 고속철도를 건설하는 것에 비해 공사 소요 비용은 45%정도 낮을 것이라 주장하며 타당성 조사를 통해 이 기술이 실현될 경우 10년에서 20년 이내 투자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또한 ‘HyperloopTT’는 송전망으로 에너지를 공급하고 운영 자동화를 통해 유지 관리비를 낮춤으로서 운영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제안서에 따르면 시드니, 멜번, 브리즈번을 연결하며 동부 해안 지역을 아우르는 이 ‘하이퍼루프’는 연결하고 1천만 명 이상의 인구를 대상으로 한다.

또 남쪽 연결망에는 애들레이드, 캔버라, 호주 남부의 고지대를 거쳐 골드코스트까지는 2천 킬로미터에 달하는 직선 라인이 가능하며 호주 인구의 절반 이상을 포함하게 됨으로써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은 물론 매년 수백 만 명의 승객 및 화물 운송을 담당할 수 있다.

아울러 NSW 주에서는 나우라(Nowra), 포트 매콰리(Port Macquarie), 오렌지(Orange) 등 내륙 및 해안도시를 하이퍼루프 시스템에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당한 지방분권을 가능케 하고 대도시 주택가격 문제 해결은 물론 도로혼잡, 통행료,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종합(hyperloop 3).jpg

‘하이퍼루프’의 에너지는 진공관 지붕의 태양열 집열판을 통해 공급받는다는 개념이다. 사진은 ‘하이퍼루프’의 가상 시스템.

 

‘HyperloopTT’가 호주 연방 의회에 제시한 ‘하이퍼루프’의 최대 속도는 시속 1223킬로미터이다. 이 속도의 절반만 된다 해도 이 시스템은 현존하는 그 어떤 지상 운송수단에 비해 빠르다.

현재 가장 빠른 운송은 항공 수단으로 보잉(Boeing) 747-8i는 시속 988킬로미터로, 상용 항공기로는 최대 속도를 낼 수 있는 기기이다.

‘HyperloopTT’의 제안은 연방 정부의 인프라, 운송 및 도시개발 상임위원회가 추진 고려 대상으로 설정한 42개 항목 중 하나이다.

하지만 노동당은 ‘하이퍼루프’에 대해 현실성이 없다는 반응이다. 야당 내각 운송부를 담당하는 앤서니 알바니스(Anthony Albanese) 의원은 이와 관련, ‘가디언’ 지와의 인터뷰에서 “가상의 ‘하이퍼루프’보다는 고속철도와 같은, 이미 기술이 검증된 시스템을 고려할 것”임을 밝혔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hyperloop 1).jpg (File Size:39.4KB/Download:18)
  2. 종합(hyperloop 2).jpg (File Size:62.1KB/Download:23)
  3. 종합(hyperloop 3).jpg (File Size:58.1KB/Download:1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401 호주 NSW 주, 하계 학교 정비에 1억1천만 달러 전격 투입 file 호주한국신문 17.12.20.
4400 호주 교내 심각한 성폭력 관련, 각 대학들 대처 ‘적극적’ file 호주한국신문 17.12.20.
4399 호주 HSC 결과... ‘제임스 루스’ 22년째 고득점자 최다 배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12.20.
4398 호주 ‘샤이니’의 김종현씨 사망, 호주 언론들도 비중 있게 보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12.20.
4397 호주 부동산 화제- 올해 거래된 시드니 최고가 20개 저택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12.20.
4396 호주 올 여름 휴가 시즌을 기해 방문할 만한 최고의 해변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12.20.
4395 호주 북한 미사일 부품 등 수출 도운 한국계 호주인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7.12.20.
4394 호주 ‘베넬롱 선거구’ 보궐선거, 자유당 존 알렉산더 승리 file 호주한국신문 17.12.20.
4393 호주 베넬롱 보궐선거 D-0…최후의 승자는? 톱뉴스 17.12.21.
4392 호주 “베넬롱 전투” 승자는 자유당 존 알렉산더 톱뉴스 17.12.21.
4391 호주 연방경찰, 시드니 한인 최 모(59) 씨, 북한 경제 간첩 혐의로 체포 톱뉴스 17.12.21.
4390 호주 한인 최 모 씨를 북한 경제 스파이로 유도한 시드니의 친북인사는…? 톱뉴스 17.12.21.
4389 호주 새 이민자 복지 수당 문호 축소…대기 기간 1년 연장 톱뉴스 17.12.21.
4388 호주 포스테코글루, “J리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사령탑 맡는다” 톱뉴스 17.12.21.
4387 호주 연방정부 신임 각료 취임선서 톱뉴스 17.12.21.
4386 호주 “법정 임금 현실적인가….? 깊어지는 호주 사업체의 고민 톱뉴스 17.12.21.
4385 호주 동성결혼의 합법화는 왜 역사적인 사건일까? 톱뉴스 17.12.21.
4384 호주 불꽃놀이, 최적의 장소는? 톱뉴스 17.12.22.
4383 호주 즐기면서 카운트다운 톱뉴스 17.12.22.
4382 호주 2018년 새해, “시드니 불꽃놀이”로 맞이해요 톱뉴스 17.12.22.
4381 호주 톱 독자 선정 2017년 10대 뉴스 톱뉴스 17.12.25.
4380 호주 UN 안보리 새 대북제재 결의…비숍 외무장관, “매우 적절한 조치” 톱뉴스 17.12.25.
4379 호주 ‘故 종현’ 애도 물결 호주까지… 톱뉴스 17.12.25.
4378 호주 멜버른 차량 인도 돌진범 사이드 누리 살인미수죄로 기소 톱뉴스 17.12.25.
4377 호주 호주 방문 중 참변 당한 한국인 가족 톱뉴스 17.12.25.
4376 호주 '남태평양 사투’ 시드니-호바트 요트 레이스, 한국 ‘소닉’ 2년 연속 참가 톱뉴스 17.12.25.
4375 호주 인류 최고의 절기 크리스마스의 ‘진실’? 톱뉴스 17.12.25.
4374 호주 호주의 크리스마스 톱뉴스 17.12.25.
4373 호주 전세계 1인당 전자쓰레기 6㎏…총 4천470만t 중 20%만 회수 톱뉴스 17.12.25.
4372 호주 무디스, 호주 국가 신용등급 'AAA'로 유지 톱뉴스 17.12.25.
4371 호주 "호주·미국 금리 격차 정상화에 호주 달러화 강세 압력" 톱뉴스 17.12.25.
4370 호주 [카드뉴스] 새로운 화폐의 등장, 비트코인의 모든 것 톱뉴스 17.12.25.
4369 호주 ㈜ 와이어바알리 교민회사, 15억원 규모 투자 유치 성공 톱뉴스 17.12.25.
4368 호주 1년 만에 25배로…올 한 해 폭등의 역사 새로 쓴 비트코인 톱뉴스 17.12.25.
4367 호주 3代를 위한 3색의 디자인 하우스 톱뉴스 17.12.25.
4366 뉴질랜드 성탄절에 화재 현장에 출동했던 리치 맥코 NZ코리아포.. 17.12.27.
4365 뉴질랜드 “술이 웬수…” 유치장에서 성탄절 보낸 좀도둑 NZ코리아포.. 17.12.27.
4364 호주 해변가 크리스마스 파티에 주민들 ‘격분’ 톱뉴스 17.12.27.
4363 호주 복싱데이 쇼핑 매출 $23.6억 초과 전망 톱뉴스 17.12.27.
4362 호주 호주 남성은 로맨틱할까? 톱뉴스 17.12.27.
4361 뉴질랜드 성탄절 선물로 아주 희귀한 고래들 마주하는 행운 누린 관광객들 NZ코리아포.. 17.12.29.
4360 뉴질랜드 카서핑하다 떨어져 목숨 경각에 달린 남성 NZ코리아포.. 17.12.29.
4359 뉴질랜드 나체로 어울리는 자연주의자들 캠프 NZ코리아포.. 18.01.02.
4358 뉴질랜드 “새해맞이 길거리 파티 후 청소년들이 에세이를 썼던 이유는?” NZ코리아포.. 18.01.02.
4357 뉴질랜드 술 마시고자 바닷가에 모래섬 쌓은 젊은이들 NZ코리아포.. 18.01.02.
4356 호주 <2017 시드니-호바트 레이스> 와일드 오츠 11호 우승 박탈…2위 LDV 코만치 ‘패권’ 톱뉴스 18.01.03.
4355 호주 中네티즌이 선정한 '가장 비우호적 국가’ 1위 호주….한국은 5위 톱뉴스 18.01.03.
4354 호주 호주, 중국 화웨이의 남태평양 해저케이블 사업에 제동 톱뉴스 18.01.03.
4353 호주 시드니-호바트 레이스, 한국 소닉 24위로 골인 톱뉴스 18.01.03.
4352 호주 새해 맞이 시드니 불꽃놀이 축제 비용 700만 달러 톱뉴스 18.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