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명적 불법약물 사태 악화, 4달 동안 5명 사망

 

호주사회가 새해벽두 ‘엑스터시’의 일종인 불법약물 ‘MDMA’ 사태로 깊이 시름하고 있다.

지난 연말 NSW주와 빅토리아주에서 열린 뮤직 페스티벌에서 환각성 알약으로 2명이 목숨을 잃은데 이어 지난 주말에도 파라마타의 포모 페스티벌(Fomo) 현장에서 19살 여성이 숨을 거뒀다.

15일자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불법 약물 사태가 2019년 새해벽두 정점을 찍고 있다”면서 “올해 1월 3일까지 한 주간 동안 115명이 환각성 약물 투약으로 의식을 잃고 병원 응급실에 이송됐다”고 보도했다.

이는 최근 4년 동안 가장 높은 수치다.

 

FOMO 축제 관람 19세 여성 ‘사망’

지난 12일에는 시드니 파라마타 파크에서 열린 FOMO 페스티벌을 관람한 19살 여성이 행사장에서 의식을 잃고 쓰러져 인근 웨스트미드 병원으로 후송됐으나 당일 저녁 숨을 거뒀다.

숨진 알렉스 로스-킹(18, 센트럴 코스트) 씨의 정확한 사인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경찰 당국은 MDMA 투여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

최근 4개월 동안 뮤직 페스티벌 현장에서 문제의 환각성 알약을 투약해 숨진 5번째 피해자다. 

유료 관람객 1만1387명이 찾은 이날 행사장에서 경찰은 146명에 대해 신체 압수 수색을 벌여 불법 약물을 소지한 54명을 현장에서 검거했고, 28명에 대해 행사장 입장이 거부됐고, 다른 23명은 퇴장 조치된 바 있다. 

앞서 지난 연말에 펼쳐진 NSW주와 VIC주의 뮤직 페스티벌에서 불법약물 복용으로 사망자가 2명 발생했고, 새해 첫날 시드니 도메인에서 펼쳐진 ‘시드니 필드 데이’(Field Day) 페스티벌 현장에서는 194명의 마약 사범이 현장에서 검거된 바 있다.

 

뮤직 페스티발을 휘젓는 마약 사범과 ‘환각제’

시드니 필드 데이 페스티벌 현장에서 NSW 경찰청은 불법약물 공급, 운반, 소지 등의 용의자 194명을 연행했으며, 이들 가운데는 ‘엑스터시’로 통칭되는 MDMA 알약을 무려 120정이나 소지하고 있던 스무살 안팎의 남녀 2명도 포함됐다.

이 가운데 한명은 갓 18살을 막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축제 현장에서 MDMA  외에도 마취 환각제인 케타민, 대마초 등을 압수했다.

이에 앞서 세밑 멜버른 동부 라드너에서 개최된 ‘비욘드 더 밸리’(Beyond the Valley) 뮤직 페스티벌에 참석한 20살 청년도 약물 과다 복용으로 숨진 바 있다.

이에 앞서 지난 29일 뉴사우스웨일즈 주 센트럴 코스트에서 열린 '로스트 파라다이스 뮤직 페스티벌'에서도 성분을 알 수 없는 ‘정체불명’의 알약을 복용한 22살 청년 한 명이 목숨을 잃고 다른 2명이 의식불명 상태로 병원에 후송돼 치료를 받았다. 

‘정체불명’의 알약은 ‘엑스터시’로 통칭되는 오렌지색 MDMA 알약 때문으로 추정되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치명적’인 MDMA  알약이 뮤직 페스티벌 현장에 바비큐나 햄버거, 심지어 베지마이트 등에 은닉돼 밀반입되고 있는 실태다.

한편 데일리 텔레그라프는 지난 주말 19살 여성 알렉스 로스-킹이 숨진 시드니 파라마타 포모 뮤직 페스티발에서 주최측의 안전규정 위반 사례에 대해 당국의 조사가 시작됐다고 보도했다. 

 

마약성분검사(Pill Testing) 공방 격화

 

이처럼 축제의 장이 마약으로 ‘죽음의 굿판’으로 전락하자 사회 일각에서는 즉석에서 의심쩍은 알약의 성분을 조사하는 ‘마약성분검사’(pill testing)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난 주말 숨진 알렉스 로스-킹의 가족들도 “마약성분검사를 도입해야 또 다른 비극을 막을 수 있다”고 호소했다.

이처럼 뮤직 페스티벌이 마약으로 얼룩지면서 ‘마약성분 검사’의 필요성이 적극 부각되고 있지만 정부와 경찰은 결사 반대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즉, 뮤직 페스티벌 현장 안팎에서 불법 유통되는 ‘불법 알약’의 성분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게 함으로써 치명적 불상사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여론에 반해 정부당국은 “마약에 대한 경각심이 완화되고 자칫 불법 약물이 활개치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실제로 NSW와 VIC 주정부 모두 “불법약물 남용을 오히려 조장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즉,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게된다는 우려인 것.

반면 비상구급 전문가들은 “마약성분검사는 의료 절차로 받아들여야 한다”며 “이미 마약 등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최종 안전망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강변했다

다양한 여론조사에서도 “정부 당국의 단속이 강화돼도 불법약물은 계속 밀거래되고 있는 만큼 차라리 알약 소지자들이 스스로 약물 성분 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큰 화를 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국내 주요 언론 매체들도 연일 뮤직 페스티벌의 불법약물 참사의 문제점을 집중 부각시키면서 “마약으로 인한 사망자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뮤직 페스티벌에 대해 개최를 불허라는 방안을 정부가 검토중이다”라고 전했다.

 

지난 연말 시드니로 밀반입하려다 적발된 496 kg  상당의 MDMA.  연방경찰(AFP)과 호주국경경비대(ABF)는 공조 수사를 통해 시가 수백만 달러 규모의 MDMA  밀반입 조직원 3명을 체포했다.

http://www.topdigital.com.au/node/7034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351 호주 G20 정상회의 공동성명, 북한 관련 내용 배제 톱뉴스 17.07.10.
5350 호주 호주 유아용 조제분유서 유해물질 검출 톱뉴스 17.07.10.
5349 호주 조이스 연방부총리 “대북 군사 대응도 검토해야” 톱뉴스 17.07.10.
5348 호주 자유당 상원의원, 당론 무시 ‘동성결혼 허용개별 법안’ 상정 움직임 톱뉴스 17.07.10.
5347 호주 겨울 밤, 시드니오페라하우스에서 즐겨요! 톱뉴스 17.07.10.
5346 호주 심상치 않은 턴불 총리 지지율…당, 총리 선호도 동반 하락 톱뉴스 17.07.11.
5345 뉴질랜드 개에게 쫓겨 나무로 피신한 고양이 “열흘 째 못 내려와” NZ코리아포.. 17.07.11.
5344 뉴질랜드 바쁜 출근길 방해한 귀여운 아기 물개 NZ코리아포.. 17.07.12.
5343 호주 5주 만에 낙찰률 70%대 회복, 구매자 활동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5342 호주 XXXX(4 엑스) 맥주회사, 노조 임금 협상 난항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5341 호주 NSW 주 원주민 수감률 빠르게 증가, 대안 시급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5340 호주 호주사회 고령화 가속, 치매 환자도 크게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5339 호주 호바트 주택가격 상승률, 전 세계 도시 중 34번째로 ‘껑충’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5338 호주 디지털 시대, NSW 주 학교는 낡은 컴퓨터 ‘여전’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5337 호주 NSW 주 정부, 일부 업소에 ‘Lockout Laws’ 적용 완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5336 호주 센서스 2016- 중간 연령 가장 높은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5335 호주 한국, 관광산업 빠르게 성장하는 상위 국가 네 번째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5334 호주 NSW 명문 공립학교 학부모 기부금 최고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5333 호주 시드니 지역 인종차별 포스터, 유명 방송-정치인 비방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5332 호주 대도시 시드니, ‘폭력사건 발생 비율’은 멜번보다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7.13.
5331 뉴질랜드 뉴질랜드, 가장 게으른 나라들 중 하나 NZ코리아포.. 17.07.14.
5330 호주 [2016 인구조사] 호주 외국어 교육 위축 톱뉴스 17.07.14.
5329 호주 호주 응급실에서 주목받는 ‘침술’ 톱뉴스 17.07.14.
5328 호주 호주인 90% “재정적 안정을 위해 주택 소유는 필수” 톱뉴스 17.07.14.
5327 호주 김희철 생일 축하… 시드니 쇼핑센터 전광판에 등장 톱뉴스 17.07.14.
5326 호주 조지 펠 추기경 귀국 “나의 결백, 법정에서 반드시 가려질 것” 톱뉴스 17.07.14.
5325 호주 "호주 워킹홀리데이 고쳐라"…외동딸 잃고 활동가 된 모정 톱뉴스 17.07.14.
5324 뉴질랜드 캐러비언 여행 중 제트 분사 바람에 사망한 NZ 여성 NZ코리아포.. 17.07.14.
5323 호주 귀국 예정 자녀 학적서류 준비 안내 톱뉴스 17.07.14.
5322 호주 마음이 따스해지는 말러 교향곡 제 3번 톱뉴스 17.07.14.
5321 호주 시드니는 지금 겨울 풍경 톱뉴스 17.07.14.
5320 호주 눈 보러 가요! ‘스노우 타임 인 더 가든’ 톱뉴스 17.07.14.
5319 호주 최선의 학습 비결은 교사의 피드백 톱뉴스 17.07.15.
5318 뉴질랜드 연속해 불행 겪은 말기암 여성에게 결혼식 선물한 지역사회 NZ코리아포.. 17.07.18.
5317 뉴질랜드 fresh fish oil, 과체중 임산부 자녀들 당뇨병에 효과 기대 NZ코리아포.. 17.07.18.
5316 뉴질랜드 오클랜드 1,216개 신규 아파트 건설, 아파트 건설붐 NZ코리아포.. 17.07.18.
5315 뉴질랜드 서브웨이 레스토랑으로 돌진한 승용차.. 이유가??? NZ코리아포.. 17.07.18.
5314 뉴질랜드 키위 과수원 고용주, 절반 이상이 고용 의무 위반 NZ코리아포.. 17.07.19.
5313 뉴질랜드 가오리 공격으로 심각한 상처 입은 어부 NZ코리아포.. 17.07.19.
5312 뉴질랜드 뉴질랜드 열 번째 트래킹 코스 건설 NZ코리아포.. 17.07.20.
5311 뉴질랜드 오클랜드 노숙자 수, 거의 2만 4천명 NZ코리아포.. 17.07.20.
5310 호주 겨울 중반 시즌, 시드니 경매 시장 ‘위축’ 없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
5309 호주 MHAHS, ‘B형 간염 테스트’ 새 캠페인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
5308 호주 시드니, 공유 자전거 시대... ‘레디고’ 사업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
5307 호주 턴불 정부, 호주 국내 테러 상황에 군 특수부대 투입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
5306 호주 미 경찰 또 총기 발사... 호주 여성, 현장에서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
5305 호주 “호주 주택시장, 가격 상승 더디지만 하락은 없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
5304 호주 페이스북-구글 등 대상으로 ‘대테러 협조 강제화’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
5303 호주 ‘센서스 2016’ 분석- If Sydney was a city of 100 homes...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
5302 호주 Don't break down here! 내륙 오지의 황량한 도로들(1) file 호주한국신문 17.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