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자동차 메인).jpg

세계적 추세에 따라 올해에는 보다 많은 자동차 제조 회사들이 다양한 가솔린-전기 하이브리드 차량을 선보인다. 또한 기존 모델을 한층 업그레이드 하거나 완전히 새로워진 모델로 시장 확대를 꾀한다는 계획이다. 사진은 포르셰(Porshe)가 올해 3월 선보일 예정인 ‘Panamera’ 세단.

 

주요 제조사, 가솔린-전기 하이브리드 모델 속속 선보여

포르셰, 오는 4월 '911'보다 진화된 '992' 출시 발표로 마니아들 ‘주목’

 

지난 10년 사이 호주 자동차 시장은 격동의 시간이었다. 주요 자동차 생산 공장들이 문을 닫은 가운데 유트(Ute)와 SUV에 대한 소비자 인기가 높아졌고, 파격적 스타일의 새로운 브랜드들이 눈길을 끌었다. 올해에도 한 차원 높은 새 자동차 브랜드들이 호주 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예상, 자동차 마니아들의 기대를 높이고 있다.

지난 호에 이어 올해 각 제조사들이 내놓을 새 브랜드를 알아본다.

 

 

▲ NISSAN

 

종합(NISSAN).jpg

 

닛산은 지난해 12월 전기자동차 ‘Nissan Leaf’ 2세대 자동차를 출시한 예정이었으나 계획이 늦어져 올해 중반 선보인다. 110Kw, 320Nm으로 보다 강력한 파워트레인을 특징으로 한다. 닛산 호주 측은 이 차량의 소비자 판매 가격을 밝히지 않은 상태지만 5만 달러 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 PEUGEOT

 

종합(PEUGEOT).jpg

 

최근 주요 자동차 회사들이 수요가 늘어난 SUV 차량을 속속 선보이는 가운데 이 프랑스 메이커는 ‘508’의 세단과 왜건을 계획하고 있다. 유연한 외관으로 고급차 이미지를 강조하려는 푸조의 신차는 1.6리터 4기통 터보로 구동되는 GT 라인과 GT 트림라인이다. 이 차량의 가격 및 상세한 사양에 대해서는 출시 전까지 비공개로 한다는 게 회사 측의 방침이다.

 

 

▲ PORSCHE

 

종합(PORSCHE).jpg

 

독일의 고급차 브랜드인 포르셰는 다음 달 업데이트 된 ‘Macan’을 출시한다. 이 차량의 초기 모델은 업데이트 된 GTS 및 터보의 기본 모델 및 S 시리즈에 적용됐었다. 이어 3월에는 ‘Panamera’ 세단과 ‘Sport Turismo’의 새 모델로 GTS를 선보이는데, 기존 4S와 터보의 중간 모델이라 할 수 있는 ‘Panamera GTS’는 4.0리터 트윈 터보 V8 버전이지만 338kw, 620Nm에 적합하다는 게 조제사의 설명이다.

포르셰의 최고 스타는 4월에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포르셰의 상징 모델과도 같은 911을 반복한 992가 그것으로, 보다 진화된 외관에 개량된 터보차지의 3.0리터 6기통 엔진, 향상된 핸들링, ‘Carrera’와 ‘Carrera S’에서 처음으로 4륜구동을 적용했다.

 

 

▲ RAM

 

종합(RAM).jpg

 

지난해 8기통의 ‘Hemi-powered 1500’으로 성공을 거둔 이 회사는 올해 터보 디젤 엔진 옵션의 트럭을 선보일 계획이다. 올해 1분기로 예정된 이 차량은 기존의 ‘헤미’에 프리미엄 가격이 더해질 것으로 보인다.

 

 

▲ RENAULT

 

종합(RENAULT).jpg

 

올해 호주 시장에 ‘Renault Kadjar’을 소개한다. 지난 2015년부터 이미 유럽에서 선보인 모델이다. 또 올 하반기 ‘Megane RS Trophy’를 출시한다. 이 모델은 업그레이드 된 1.8리터 터보 four-pot에 표준 Cup 섀시, 브릿지스톤의 포텐자 S007(Potenza S007) 타이어를 장착했다.

 

 

▲ SKODA

 

종합(SKODA).jpg

 

체코의 스코다 자동차는 가솔린 엔진의 110TSI와 140 TDI 디젤 엔진 모델을 추가하면서 기존 ‘Kariq’ 모델을 확장한다는 계획으로, 호주 시장에는 3분기에 들어올 것으로 예상된다. 비슷한 시기에 업데이트 된 ‘Superb’ 모델도 출시된다.

이와 함께 완전 새로워진 ‘Scala’도 출시한다. 폭스바겐 사의 최근 폴로(Polo) 모델을 토대로 한 것이지만 크기는 동 사의 골프(Golf)에 버금간다는 게 스코다 측의 설명이다.

 

 

▲ SUBARU

 

종합(SUBARU).jpg

 

올 4분기, 기존 ‘포레스터’ 모델의 전기 차량인 ‘Forester Hybrid’를 내놓는다. 스바루는 2020년 전까지 전기차 모델에 XV 라이브리드를 추가하겠다는 계획이다.

 

 

▲ SUZUKI

 

종합(SUZUKI).jpg

 

스즈키의 상징과도 같은 기존 ‘Vitara SUV’, 소형차인 ‘Baleno’, 작은 SUV ‘Ignis’를 다시금 선보인다. ‘Vitara’는 올해 초 호주 시장에 나오며 ‘Baleno GL’은 오는 6월, ‘Baleno GLX’가 7월 말로 예정되어 있으며 연말에 ‘Ignis’를 소개한다.

이 회사의 신차 계획에서 가장 큰 뉴스는 다시 제조한 ‘Jimny’로 복고풍 스타일에 거친 사다리 모양의 섀시를 특징으로 하며, 1.5리터 4기통 엔진에 4륜구동으로 오프로드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 TESLA

 

종합(TESLA).jpg

 

미국의 전기자동차 제조사인 테슬라의 새 ‘Model 3’는 올해 하반기에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생산 라인 문제를 겪은 바 있는 테슬라는 현재 소형 4도어 세단을 생산하고 있다.

테슬라는 애초 5만 달러 이하가 될 것이라 발표했지만 보다 높은 사양의 모델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에 따라 판매 가격도 7만5천 달러 선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는 Audi A4, BMW 3 시리즈, 벤츠 C 클라스와 같은 가격대이다.

 

 

▲ TOYOTA

 

종합(TOYOTA).jpg

 

올해 도요타는 호주 시장에 완전 새로워진 ‘Supra’ 출시로 승부를 건다는 계획이다.

4월에는 페이스리프트(facelift) 된 ‘Prius’ 하이브리드에 이어 보다 세련된 스타일의 ‘RAV 4’를 선보인다.

‘Supra’의 호주 시장 출시 일정은 발표하지 않았지만 새로운 ‘A90 Supra’가 올해 말 그 모습을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 이 모델만큼 관심을 끌지는 않지만 ‘Corolla’ 세단도 도요타가 내놓는 신차들 가운데 중요한 한 축이 될 전망이다. 이 모델의 4도어 소형은 4분기에 나올 전망이며 1.8리터의 가솔린과 가솔린-전기 하이브리드 가운데 선택할 수 있다.

 

 

▲ VOLKSWAGEN

 

종합(VOLKSWAGEN).jpg

 

여름의 막바지인 2월, 스페셜 에디션인 ‘Caddy Beach’를 선보인다. ‘Caddy Maxi Trendline’을 기반으로 하지만 뒷문에 팝업 리어 텐트를 추가하고 더블 침대로 전환하는 접이식 뒷좌석 시트로 캠퍼 기능을 강화했다.

5월에는 새로운 스타일의 ‘Touareg’가 호주에 도착하며, 4분기에는 페이스리프트 된 ‘Passat’를 선보인다. 같은 비슷한 시기, 한정판으로 7세대 ‘Golf GTI TCR’을 출시한다. 이는 ‘Golf R’에서 차용한 티타늄 Akrapovic 가스배기, 2.0리터 four-pot 터보에 213kw, 370Nm 버전이다.

아울러 2020년에는 8세대 ‘Golf’와 함께 완전 새 모델의 승용차를 공개할 예정이다.

 

 

▲ VOLVO

 

종합(VOLVO).jpg

 

최근 몇 년 동안 SUV 모델로 성공을 거둔 볼보는 새로운 ‘S60’ 세단, ‘V60’ 왜건으로 새로운 시장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V60’은 올 4분기 도착 예정이며 2.0리터 가솔린과 디젤엔진, 트윈 차지 T8을 선택할 수 있다. 미국에서 제조한 ‘S60’은 디젤 버전이 없으며 가장 큰 특징은 Polestar 엔지니어링 된 변형 모델이라는 점이 될 듯하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자동차 메인).jpg (File Size:53.6KB/Download:20)
  2. 종합(NISSAN).jpg (File Size:63.5KB/Download:17)
  3. 종합(PEUGEOT).jpg (File Size:45.7KB/Download:19)
  4. 종합(PORSCHE).jpg (File Size:42.6KB/Download:19)
  5. 종합(RAM).jpg (File Size:68.1KB/Download:24)
  6. 종합(RENAULT).jpg (File Size:42.7KB/Download:17)
  7. 종합(SKODA).jpg (File Size:37.7KB/Download:24)
  8. 종합(SUBARU).jpg (File Size:60.1KB/Download:19)
  9. 종합(SUZUKI).jpg (File Size:28.3KB/Download:17)
  10. 종합(TESLA).jpg (File Size:57.3KB/Download:16)
  11. 종합(TOYOTA).jpg (File Size:47.6KB/Download:19)
  12. 종합(VOLKSWAGEN).jpg (File Size:40.7KB/Download:15)
  13. 종합(VOLVO).jpg (File Size:41.7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651 호주 트럭 운전, 호주에서 가장 치명적 직업 중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50 호주 NSW 주 공립학교 입학생, 40년만에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49 호주 “호주, 제조업 활성화로 수입 의존도 낮추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48 호주 “부동산 상속세를 젊은 계층 보조금으로 활용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47 호주 The official GABS Hottest 100 Aussie craft beers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46 호주 부익부 빈익빈 확대... 저소득층 가계소득 더욱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45 호주 최고 무더위 불구, 시드니 주말 경매 ‘활황’ 이어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44 호주 NSW 주 내륙, 산불피해 극심... 마을 전체가 완전 파손되기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43 호주 “설탕세 도입하면 호주인 수명 2년 이상 연장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42 호주 세입자들, “집주인 무서워 수리비 청구 못해”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41 호주 2016년도 ‘온라인 데이트’ 사기 피해 2천50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40 호주 모스만, 시드니 지역 최고급 저택 지역으로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39 호주 호주 치매환자, 비용만 연간 수십억 달러 소요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38 호주 NSW 주 정부, 지방 지역 카운슬 강제합병 포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37 호주 “시드니 지역 상위 공립학교 보내려면 150만 달러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36 호주 시드니 공립학교 입학생 수, 이례적 ‘급증’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35 호주 원주민-비원주민 삶의 질 격차, “변한 것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34 호주 멜번-시드니, 가장 역동적인 전 세계 도시 중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33 호주 높아지는 청년 실업, 호주 젊은 세대 ‘좌절감’도 고조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5632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1830년대 코티지, 잠정가서 45만 달러 넘겨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31 호주 올해부터 뱅스타운 라인 ‘싱글덱’ 공사 시작돼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30 호주 모스만 소재 주택, 올해 첫 ‘double-digit’ 가격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29 호주 NSW 주 정부, 부적절 직업학교에 보조금 중단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28 호주 주택융자 ‘Deposit’ 없이 ‘내집 마련’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27 호주 호주 중앙은행, ‘10달러’ 새 디자인 지폐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26 호주 NSW 정부, IT 공무원직에 457 비자 소지자 고용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25 호주 시드니 주택 임대료, ‘전 세계 상위 10대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24 호주 NSW 주 정부, 파라마타 경전철 관련 16개 역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23 호주 Four things Australia could do to tackle the obesity crisis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22 호주 뉴타운, 진보적 경향 강하고 라켐바는 비관적 성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5621 호주 낙찰률 80%... 2월 경매 통한 주택거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5620 호주 “여성에 대한 폭력, 시작할 때 막읍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5619 호주 호주 대도시 소재 대학 학생 증가, 시드니는 예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5618 호주 관리자급 여성 늘어날수록 남녀 임금격차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5617 호주 대학교 교내 성폭력 은폐, ‘솜방망이’ 처벌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5616 호주 NSW 교육표준청, 12학년 필수 과목서 소설 및 시 제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5615 호주 시드니 3개 지역, 호주 전체 GDP 성장 24% 기여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5614 호주 Top 10 best cycling trips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5613 호주 서리힐 주택판매자, 부동산 시장 강세로 큰 이득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12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5% 동결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11 호주 공공주택 대기자 6만, ‘거주 불가’ 주택 1천500여 가구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10 호주 시드니 시티, 거리 예술로 도심 풍경 변화 모색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09 호주 이중국적 테러리스트 시민권 박탈 법안, 효용성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08 호주 시드니 공항그룹, 유료 주차 매출만 연간 1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07 호주 OECD, 호주 경기침체-주택가격 하락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06 호주 ATO, 일부 업종 대상 ‘현금경제와의 전쟁’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05 호주 호주 경제 선도하는 시드니, 다른 국가와 비교하면...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04 호주 반테러 강화하는 호주, 미국식 안보전략 따라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03 호주 2017 세계 여성의 날- 호주인 남녀평등 의식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5602 호주 2017 세계 여성의 날- 여성권익 향상 방안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