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비만 1).jpg

영국 기반의 일반의학 저널 ‘란셋’(Lancet)의 최근 보고서는 인류를 위협하는 가장 큰 세 가지 요소로 비만, 영양실조, 기후변화를 꼽았다. 이 세 가지 문제는 상호 연관이 있다는 것이다. 현재 호주의 경우 성인 3명 중 2명, 어린이 4명 가운데 1명은 비만 또는 과체중이다.

 

전문가들, ‘랏센 보고서’서 경고... 각 요소들, 핵심 동인 공유-결과도 상호 작용

 

현재 인류를 위협하는 가장 큰 요소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비만-영양실조-기후변화야 말로 이윤추구를 위한 동기 및 정책적 무관심으로 전 세계 인간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일반 의학저널 ‘란셋’(Lancet) 보고서에서 제시된 것으로, ‘란셋’의 비만위원회(Commission on Obesity)는 지속불가능한 농업생산, 무분별한 교통, 도시 계획 및 토지 이용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수조 달러의 비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란셋’은 주간으로 발행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일반의학 저널이자 가장 권위를 인정받은 의학 학술지로 1823년 영국 의사 토마스 와클리(Thomas Wakley)가 의료기구 중 하나인 ‘란셋’의 이름을 딴 제호로 발행하기 시작해 오늘날까지 이어오고 있다.

이번 경고는 ‘EAT-Lancet Commission’이 지구에 가해지는 치명적 위험을 막기 위해 사람들이 식습관을 근본적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강조한 지 일주일 만에 나온 것이다.

금주 월요일(28일) 발표된 란셋 보고서는 건강, 환경 및 경제 복지를 지원하는 식량 정책-생산을 목표로 10억 달러의 기금과 행동전략이 시급하다는 점을 촉구하고 있다.

농업-경제-인권 및 기타 분야 43명의 세계적 전문가 컨소시엄은 비만, 영양부족, 기후변화의 상호 작용이 인류에 엄청난 피해를 가져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 조지 워싱턴대학교(George Washington University) 공공보건 전문가인 윌리엄 디츠(William Dietz) 교수는 미디어 컨퍼런스에서 “현재 인류가 하는 일은 지속불가능하다”며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이런 긴박감이 모든 인류에 인식되어야 하는 것으로, 지금 이 문제 해결을 위한 시간은 상당히 촉박하다”고 말했다.

‘란셋’의 비만위원회는 매년 약 400만 명의 사망자가 비만과 관련되어 있으며 전 세계 8억1,500만 명이 만성적 영양실조 상태에 있다.

디킨대학교 ‘Institute for Health Transformation’의 ‘Global Obesity Centre’ 소장이자 란셋비만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스티븐 알렌더(Steven Allender)교수는 “영양부족이든 비만이든 영양 관련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제반 질병 및 사망의 가장 큰 원인이었다”고 설명했다.

가장 최근의 호주보건복지연구원(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자료는 호주 성인 3명 중 2명, 어린이 4명 가운데 1명이 과체중 또는 비만 상태라는 것을 보여준다.

알렌더 교수는 이어 “전 세계 20억 명이 과체중 상태이며 또 다른 20억 명은 영양부족의 고통을 받고 있는데, 이 두 가지 문제는 기후변화로 인해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알렌더 교수는 비만과 영양부족, 기후변화가 오랜 시간 동안 각각 분리된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이 세 가지 문제는 많은 핵심 동인을 공유할 뿐 아니라 그 결과 또한 상호 작용한다.

그는 “식품 제조 시스템은 비만 또는 영양실조 상황을 부추길 뿐 아니라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4분의 1을 차지하며 특히 육류를 얻기 위한 목축은 이 배출의 절반에 달한다”면서 “또 편의성을 위한 교통 체계는 앉아서 생활하는 방식을 지원하는 동시에 14-25%의 배기가스를 발생시킨다”고 설명했다.

결국 이로 인한 기후변화는 기상이변, 가뭄, 농업생산 방식 변화를 가져오게 되고 식량안보가 보다 위협적이게 되면서 영양부족 비율도 높아지게 된다는 게 알렌더 교수의 경고이다.

란셋 보고서에 따르면 농업생산 및 유통은 지구의 기온을 높이고 가뭄과 극단적 기상 이상을 초래하는 화석연료를 연소시킨다.

보고서는 “이 문제들은 정책을 입안하는 이들의 무관심, 공공정책에 대한 이익 추구 기업들의 영향, 국민적 변화를 위한 인식 부족 등으로 더욱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호주를 비롯해 전 세계 탄산음료 기업들은 설탕세를 봉쇄하거나 축소하기 위해 정치권을 대상으로 강력한 로비 활동을 벌이고 있다.

지난 2017년의 한 연구는 거대 식료품 기업의 로비스트들이 공공보건이 초점을 흐려놓으면서 기업 이익을 위해 보건정책을 뒤흔들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알렌더 교수는 “경제 인센티브를 재검토해야 하며 화석연료에 대한 정부 보조금 약 7조 달러와 전 세계 쇠고기, 유제품 및 기타 대기업에 대한 보조금 수십억 달러가 지속 가능한 환경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란셋 위원회는 지난 2015년 지구온난화 및 담배 규제와 같은 구속력 있는 국제 협정이 식량생산 시스템을 향상시키고 개선하는 데에도 적용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기본 틀의 확립은 공공 보건 정책에 미치는 식품업계의 영향을 제한함은 물론 건강하고 공평하며 지속 가능한 시스템을 위한 행동이라는 것이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비만 1).jpg (File Size:62.4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01 호주 사커루즈, 일본에 0-2 완패...러시아 행 ‘불투명’, 일본은 ‘확정’ 톱뉴스 17.09.04.
5000 호주 “동성결혼이 세계적 대세…?” 톱뉴스 17.09.04.
4999 뉴질랜드 뉴질랜드 달러 약세, 호주 달러 대비 가장 낮은 환율 기록 NZ코리아포.. 17.09.05.
4998 뉴질랜드 2001년부터 NZ순수이미자 통계, 6만 명 정도 축소돼 산출 NZ코리아포.. 17.09.05.
4997 뉴질랜드 외딴 바위섬에 갇혔다가 구조된 30대 NZ코리아포.. 17.09.05.
4996 뉴질랜드 오클랜드 주택 시장의 열기, 다른 지역으로 이동 NZ코리아포.. 17.09.05.
4995 뉴질랜드 “죽은 고래 사체 잘라간 범인은?” NZ코리아포.. 17.09.05.
4994 뉴질랜드 하와이에 거주하는 NZ여성, 3쌍둥이 출산 중 사망하자 모금운동 벌어져 NZ코리아포.. 17.09.05.
4993 호주 호주, ‘살인 감기’에 깊은 시름…감기 환자 급증 톱뉴스 17.09.05.
4992 호주 이중국적 파상공세 노동당에 토니 애벗 일격 톱뉴스 17.09.05.
4991 호주 쇼튼, 영국 국적 취소 문건 공개… 조이스 부총리 이중국적 파상공세 가중 톱뉴스 17.09.05.
4990 호주 RBA 기준금리 1.5% 13개월째 동결…달러화도 하락세 톱뉴스 17.09.05.
4989 호주 호주 2분기 경상적자 95.6억 달러 기록…예상 앞질러 톱뉴스 17.09.05.
4988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 세계 순위 상당히 떨어져 NZ코리아포.. 17.09.06.
4987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차량 절도가 가장 많은 도시는 ? NZ코리아포.. 17.09.06.
4986 뉴질랜드 “NZ, 남미 5위와 러시아 월드컵 플레이오프 치른다” NZ코리아포.. 17.09.06.
4985 뉴질랜드 2년 밖에 안남은 아메리카스 컵 - 뉴질랜드 아직 준비된게 없어.... NZ코리아포.. 17.09.06.
4984 뉴질랜드 헬렌 클락,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여성 3위 NZ코리아포.. 17.09.07.
4983 뉴질랜드 1만 천 5배회에 이르는 번개가 어제 뉴질랜드에 떨어졌다. NZ코리아포.. 17.09.07.
4982 뉴질랜드 다단계식 폰지 사기, 540만 챙긴 범인 붙잡혀 NZ코리아포.. 17.09.07.
4981 뉴질랜드 뉴질랜드,세계에서 세 번째로 아름다운 나라 NZ코리아포.. 17.09.07.
4980 호주 주택시장, 2012년 이래 가장 저조한 봄 시즌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9 호주 스트라스필드 공원, ‘Adventure Playground’ 개장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8 호주 노스 시드니 해군 잠수함 기지, 150년 만에 개방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7 호주 RBA, 경기 회복세 불구하고 기준금리 동결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6 호주 호주 부동산 시장... 시드니 둔화 속 호바트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5 호주 동부 및 남부 지역, 올 여름 산불 위험성 크게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4 호주 시드니의 높은 주택 가격... ‘모기지’에 필요한 수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3 호주 호주 ‘동성결혼 합법화’... 지지-반대 계층은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2 호주 취업시장의 ‘호주인 우선’? 일부 기업 ‘400 비자’ 악용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1 호주 ‘센서스 2016’- 시드니 외곽, 해외 출생 거주민 없는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70 호주 NSW 주 연립 정부, 집권 후 91억 달러의 자산 매각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69 호주 ‘THE’ 대학평가, 호주 6개 대학 100위권 내 들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9.07.
4968 호주 사커루즈, 조 3위로 험난한 PO 직면…사우디는 본선핼 톱뉴스 17.09.07.
4967 호주 ‘핸슨 부르카 깜짝 쇼' 파동 속 상원 복장 규정 도입 움직임 톱뉴스 17.09.07.
4966 호주 호주 판 살인 독감에 보건부 ‘전전긍긍’…양로원 관계자 감기주사 의무화 검토 톱뉴스 17.09.08.
4965 호주 북한 도발 우려 속 시드니 대 학자의 궤변 논란 톱뉴스 17.09.08.
4964 호주 호주-한국 국방장관 대담… “북 제재▪압박 강화” 한 목소리 톱뉴스 17.09.08.
4963 호주 "복지수당으로 마약·술 안돼"…호주, 현금 대신 카드로 톱뉴스 17.09.08.
4962 호주 호주-동티모르, 영해권 전면 재협상 타결 톱뉴스 17.09.08.
4961 호주 CBA "호주달러 전망치 상향…연말 0.8달러" 톱뉴스 17.09.08.
4960 호주 "호주, 잠재적 성장률 침체…2019년까지 금리동결" 톱뉴스 17.09.08.
4959 호주 ‘민영화’ 강공 드라이브 NSW주정부, 국유지 90억 달러 이상 매각 톱뉴스 17.09.08.
4958 호주 한인 건축가 에릭김, 시드니 디자인 어워드 은상 수상 ‘화제’ 톱뉴스 17.09.08.
4957 호주 최선의 감기 예방책 톱뉴스 17.09.08.
4956 호주 호주 의대생, “의대 입학 정원 축소하라” 톱뉴스 17.09.08.
4955 호주 친환경 에너지 주택이 궁금하다면, 톱뉴스 17.09.08.
4954 호주 호주 삶을 찰칵, ‘오스트레일리안 라이프’ 톱뉴스 17.09.08.
4953 호주 봄마중 나갈까, 캔버라 꽃축제 ‘플로리에이드’ 톱뉴스 17.09.08.
4952 뉴질랜드 스키장에서 하산하던 버스 사고로 어린이 다쳐 NZ코리아포.. 17.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