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The Basement 1).jpg

지난 45년간 재즈 음악을 전문으로 해 오다 지난해 3월 31일, 마지막 공연으로 문을 닫았던 서큘라키(Circular Quay) 소재 라이브 클럽 ‘The Basement’ 자리에 다시 라이브 음악 무대가 만들어진다. 사진은 호주 출신의 3인조 록 밴드 ‘John Butler Trio’에서 보컬을 맡고 있는 존 버틀러의 ‘The Basement’ 공연 장면. 사진 / Facebook: The Basement

 

‘라이브 공연’ 호텔 운영자, “모든 뮤지션들에게 기회 주고 싶다” 취지

 

서큘라키(Circular Quay)에 자리한 ‘The Basement’는 지난 45년간 전 세계 유명 대중 가수, 밴드, 재즈 뮤지션들이 공연을 펼쳐온, 시드니에서 가장 오래된 라이브 음악 클럽이었다.

특히 지난 2014년 킹스크로스와 시드니 CBD(Central Business District) 지역을 대상으로 유흥업소에 대한 영업시간 및 주류 제공 시간을 제한한 ‘Lockout Laws’ 적용 이래 시드니의 유명 클럽과 바(bar)들이 줄줄이 문을 닫은 가운데서도 이곳만은 시드니사이더들의 사랑을 받아 살아남았던(?) 곳 중 하나였다.

하지만 ‘베이스먼트’가 자리한 건물의 사무용 빌딩 개조 계획에 따라 이 업소는 지난해 3월31일을 마지막으로 문을 닫아 많은 아쉬움을 남겼다.

그리고 10개월이 지난 뒤, ‘베이스먼트’에 애정을 갖고 있던 사업가들이 이 라이브 클럽을 다시 살리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종합(The Basement 2).jpg

시드니 도심 인근 브로드웨이(Broadway)에 자리한 랜스다운 호텔(Lansdowne Hotel)과 패딩턴(Paddington)의 유니콘 호텔(Unicorn Hotel)을 공동 소유한 제이크 스미스(Jake Smyth. 왼쪽)-케니 그레이엄(Kenny Graham. 오른쪽). ‘베이스먼트’가 문을 닫은 것에 아쉬움을 가졌던 이들은 그 자리에 ‘Mary's Underground’를 열고 모든 장르의 음악을 수용하겠다는 계획이다.

 

금주 화요일(5일) ABC 방송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시드니 도심 인근 브로드웨이(Broadway)에 자리한 랜스다운 호텔(Lansdowne Hotel)과 패딩턴(Paddington)의 유니콘 호텔(Unicorn Hotel)을 공동 소유한 제이크 스미스(Jake Smyth)-케니 그레이엄(Kenny Graham)씨가 ‘베이스먼트’의 문을 다시 열겠다는 것이다.

이들은 이날 ‘ABC 라디오 시드니’에서 “이곳에서 노래했던 이들이 다시 음악을 할 수 있도록 해 주고 싶다”고 말했다.

‘The Basement’가 있던 자리에 다시 문을 여는 라이브 클럽은, 다만 기존 상호를 버리고 ‘Mary's Underground’라는 이름을 붙일 예정이다. “시드니의 라이브 음악 무대가 죽지 않았음을 증명할 것”이라는 스미스-그레이엄씨는 “이곳의 크지 않은 공간은 다양한 분야의 뮤지션들이 대중음악을 탐구하고 새로운 소리를 만들어내던 곳이었으며, 이 점이 우리가 놓친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스미스씨는 브로드웨이에 있는 ‘랜스다운 호텔’의 라이브 무대에 서기 위해 찾아오는 음악가들의 열정에 놀랐다면서 “우리 지역사회의 뮤지션들을 육성하고 싶다”고 고 말했다.

 

종합(The Basement 3).jpg

지난해 3월31일(토), ‘The Basement’의 마지막 재즈 공연. 사진 / Instagram: @vincenthoooooo

 

종합(The Basement 4).jpg

영국 태생의 싱어송라이터이자 기타리스트로 지난 2016년 'Grammy Award' 신인상 및 'Best Rock Album' 상을 차지했던 제임스 베이(James Michael Bay)의 'The Basement' 공연. 사진 / Facebook: The Basement

 

그는 이어 “문을 닫은 ‘베이스먼트’ 자리에 라이브 클럽을 다시 개장하기로 한 뒤 이곳을 둘러보는 가운데 뭔가 모를 에너지를 느꼈다”며 “(Lockout Laws로 인해) 우울한 시드니의 야간 유흥산업에도 불구하고 이곳은 다시 번성할 것을 확신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는 “라이브 음악을 즐기고자 랜스다운 호텔을 찾는 이들도 줄어들고 있다”면서 “더 많은 음악가들이 나올수록 라이브 무대도 더 많이 생겨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스먼트는 애초 재즈를 전문으로 하는 라이브 클럽으로 시작했으며, 지난해 문을 닫을 때까지 재즈 공연이 주를 이루었다. 스미스씨는 “새로 문을 여는 ‘Mary's Underground’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두루 수용할 것”이라며 “국내외 모든 음악가들에게 기회를 제공할 방침”임을 강조했다.

그레이엄씨는 기존 ‘베이스먼트’에 대해 “라이브 무대로써 좋은 전통을 이어왔지만 현재 시드니는 관객들의 기대에 부응할 만한 공연 무대를 갖고 있지 못하다”는 의견을 내비췄다. ‘베이스먼트’가 좋은 라이브 무대로 이어져온 것은 사실이지만 주로 재즈에 편중되다 보니 다른 장르를 선호하는 이들의 만족도에는 미치지 못했다는 것이다.

스미스-그레이엄씨가 새롭게 시도하는 ‘Mary's Underground’는 오는 5월 문을 열 것으로 보인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The Basement 1).jpg (File Size:59.6KB/Download:23)
  2. 종합(The Basement 2).jpg (File Size:43.6KB/Download:16)
  3. 종합(The Basement 3).jpg (File Size:63.6KB/Download:17)
  4. 종합(The Basement 4).jpg (File Size:40.1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101 호주 ‘네거티브 기어링’ 올해 총선 최대 이슈 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100 호주 Things that only happen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04.28.
6099 호주 호주 통계청, ‘2016 센서스’ 현장직원 모집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98 호주 서리힐의 낡은 테라스 하우스, 91만1천 달러 매매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97 호주 NSW 주 경찰, 총기 등 관련 장비 분실 ‘수두룩’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96 호주 연방 재무부, 중국 기업의 호주 최대 목장인수 제안 거부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95 호주 호주 기준금리 또 인하... 중앙은행, 사상 최저의 1.75%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94 호주 NSW 주 정부, 카운슬 합병 관련 의회 조사 무시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93 호주 스턴 전 영국 재무차관, 러드의 UN 사무총장 도전 ‘지지’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92 호주 청소년들, 개인보다는 ‘모두에게 공정한 사회’ 원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91 호주 호주 국적의 IS 주요 전투원 프라카시, 미 공습에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90 호주 턴불의 ‘네거티브 기어링’ 유지 방침 배경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89 호주 2016 연방 예산안-경기침체 우려는 뒷전, “총선 의식한 ‘미련한’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88 호주 2016 연방 예산안- Winners and losers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87 호주 ‘My Ideal House’ 건축디자인 경연, ‘대상’ 수상 주택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5.05.
6086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화제- 패딩턴 소재 4개 플랫 블록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85 호주 ‘마약, 주류 밀반입’ 불법 바이키 갱 간부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84 호주 연방 경찰, IS 테러 조직 합류 시도한 5명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83 호주 ‘맹모삼천지교’... 시드니 학부모 마음도 ‘마찬가지’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82 호주 호주인 직장선호도 1위는 항공업, ‘버진 항공’ 1위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81 호주 시드니-NSW 대학생들, ‘교육의 질’ 만족도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80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녹색당, 노동당과 연립 용의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79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RBA, ‘네거티브 기어링’ 현 체제 유지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78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양당 지지도 초박빙, 선거 결과 예측 어려워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77 호주 The eight things most tourists miss in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2.
6076 호주 구세군, 올해 ‘Red Shield Doorknok’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9.
6075 호주 파이브덕 소재 100년 된 하우스 경매가 137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9.
6074 호주 “스몰 비즈니스 지원으로 지속적 경제성장 추진하려는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9.
6073 호주 호주 내 테러 위협 계속돼... 18세 남성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9.
6072 호주 NSW 주, 호주 최대 ‘룩우드’ 묘지 법정관리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9.
6071 호주 QLD 내륙의 한 마을, 통째로 매물 리스트에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9.
6070 호주 주택가격 상승... 저렴한 주거지 찾아 도심 외곽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9.
6069 호주 NSW 주 차선합병에 따른 최악의 정체구간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9.
6068 호주 NSW 주 정부, 일부 통합 카운슬 구역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5.19.
6067 호주 구매자들의 주택마련 의욕으로 높은 경매 결과 유지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66 호주 수퍼모델 파올라 버호벤, ‘크라운 그룹’ 새 모델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65 호주 글리브 소재 ‘린드허스트’ 빌라, 700만 달러 이상에 매매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64 호주 ‘밀레니엄 세대 80%, ‘Australian dream’에서 멀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63 호주 ‘Lockout Laws’로 킹스크로스 ‘땅값’ 크게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62 호주 호주 대학들의 추악한 비밀, ‘교내 성범죄’ 심각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61 호주 40년 후 NSW 주, 근로 인력 크게 줄어들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60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연립 재집권 전망 속, 턴불 수상 지지도 ‘하락세’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59 호주 호주에서 최고 수익을 거두는 직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58 호주 Top 10 city-based adventure activities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57 호주 캘러브리안 마피아와 ‘친구 먹은’ 연방 의원들... file 호주한국신문 16.05.26.
6056 호주 도심 지역 대부분 주택들, 잠정가격 이상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55 호주 호주 광산재벌, 강대국에 ‘노동착취’ 근절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54 호주 직장서 ‘커피 마셨다’ 이유로 해고... “부당하다” 결론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53 호주 ‘스타트업 비즈니스’, 비용 높아지고 경쟁도 ‘치열’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052 호주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최저 임금 2.4% 인상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