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226144000_9158[1].jpg

사진=SCMP

 

21일(목) 타임즈 고등교육(Times Higher Education)에서 발표한 ‘2019 아시아/태평양 대학순위’에서 베이징의 칭화대학교가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를 밀어내고 1위를 차지했다. 칭화대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비롯해 후진타오(Hu Jintao) 전 주석, 주룽지(Zhu Rongji) 전 총리 등을 배출한 중국 최고의 명문 대학 중 하나로서 2017년 4위에서 지난해 2위로 뛰어오르더니 올해 드디어 1위를 차지했다.

2017년과 작년 연속 1위에 올랐던 싱가포르국립대는 올해 2위로 밀려났다. 멜버른 대학교는 지난 해 4위에서 올해 3위로 오르면서 2017년 순위를 되찾았다.

총 3개의 홍콩 내 대학이 10위권 안에 이름을 올렸다. 2017년과 2018년에 각각 7위와 6위를 차지했던 홍콩과학기술대(HKUST)가 올해 4위로 올랐다. 홍콩대는 작년과 동일하게 5위를 유지했으며 2017년에 10위권 안에 들지 않았던 홍콩 중문대학교가 올해 9위를 차지했다.

아시아/태평양 순위는 홍콩, 마카오, 대만을 포함하는 총 13개 국가 및 지역의 320개 대학을 대상으로 교육의 질과 연구 실적의 양, 명성, 학계 영향력, 지식 이전 등 13개 항목을 분석해 평가된다.

THE의 엘리 보스웰(Ellie Bothwell) 글로벌 순위 편집장는 “칭화대는 2017년부터 매년 순위가 오르고 있으며, 특히 5개의 항목인 교육의 질, 연구 실적, 논문 인용도, 국제인지도, 산학협력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교육의 질과 연구 실적에서 싱가포르국립대보다 월등했으며 산학협력 항목에서도 훨씬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밝혔다.

칭화대와 함께 중국 최고의 명문 대학으로 꼽히는 베이징대학교는 2017년 2위에서 작년 3위로 떨어지더니 올해는 6위로 밀려났다.

보스웰 편집장은 “중국은 이번 평가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 작년 순위에 든 60개의 중국 대학 중 무려 40개 대학이 올해 입지를 향상시켰다”며 “홍콩은 안정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홍콩의 상위 5개 대학이 여전히 상위 30위권 안에 든다는 것은 매우 인상적이다”고 덧붙였다.

홍콩과학기술대의 대변인은 이번 순위에 만족한다며 “대학 순위는 우리의 성과 및 정체성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함으로써 부족한 부분을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참고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우리는 계속해서 혁신과 과학 연구의 발전에 중점을 둘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최고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도록 힘쓸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 순위의 10위권 안에 든 다른 대학들로는 싱가포르 난양기술대(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가 7위, 호주국립대학교가 8위, 도쿄대학교가 10위를 차지했다. 대만국립대학교는 35위, 마카오대학교는 60 위를 차지했다.

한편 한국은 10위권 진입 대학은 없었으며 서울대, 성균관대, 카이스트, 포항공대, 고려대, 연세대 등이 30위권 안에 진입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20190226144000_9158[1].jpg (File Size:68.5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76 홍콩 홍콩주택 가격, 2개월 동안 1.6% 상승.. 가격 하향곡선 마감 조짐 보여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275 홍콩 입법부 반대에 해저 터널 요금 조정 제안 철회 결정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274 홍콩 홍콩의 첫 무인 전기 버스 시범운행 中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273 홍콩 홍콩, 3 곳 금융기관에 가상계좌 면허 발급 ‘지점 없이 저축 및 대출 업무 수행’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272 홍콩 홍콩정부, MTR사에 사고 과징금 총 3,500만 홍콩달러 부과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271 홍콩 홍역 백신 부족현상, 이달 중에 3만개 백신 들어오면 해소 될 것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270 홍콩 홍콩, 홍역 감염 주의보 적신호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269 홍콩 범죄인 인도법 개정, ‘일방적인 불공정 조약될 수 있어’ 지적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268 홍콩 청소년 자살 예방 위해, 공립 중고등학교에 사회복지사 각 2명 의무 배정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267 홍콩 일본으로 수입된 새끼 뱀장어, 홍콩을 통한 불법적 수입 경로 포착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266 홍콩 코즈웨이 베이 Excelsior 호텔, 오피스타워로 재개발 계획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265 홍콩 삼수이포 7층 건물에서 창문이 떨어져 길 가던 행인 부상 file 위클리홍콩 19.04.02.
1264 홍콩 부동산 시장 회복 조짐에 9,000개 아파트 공급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4.09.
1263 홍콩 REO, 8천명의 개인정보 담긴 유권자 등록 명부 분실 file 위클리홍콩 19.04.09.
1262 홍콩 WTO, 홍콩 관세 신고 규정 미이행 지적 file 위클리홍콩 19.04.09.
1261 홍콩 작년 산사태 건수, 10년 사이 최고 수준으로 집계 ..매년 HK$ 10억 정부 예산 배정해 산사태 예방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4.09.
1260 홍콩 4월 23일부터 3개월 간 피크트램 운행 중단, 30년 만에 대대적인 피크트램 정비·보수 진행 file 위클리홍콩 19.04.09.
1259 홍콩 홍콩 청소년 10명 중 4.5명, 포모증후군(Fomo) 겪고 있어 file 위클리홍콩 19.04.09.
1258 홍콩 휴대폰 이용한 범죄 증가, ‘관련 현행법은 여전히 1993년에 머물러’ file 위클리홍콩 19.04.09.
1257 홍콩 2019 홍콩세븐스 (Hong Kong Sevens) 대성황리에 마쳐 file 위클리홍콩 19.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