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 소득층 반수 이상, 소득 30% 이상 주거비로 지출
 
apart.jpg
▲ 미국의 임대시장 활황으로 곳곳에 신규 아파트들이 들어서고 있으나 대부분 고급 시장을 겨냥하고 있어 세입자 부담이 여전하다. ⓒ 코리아위클리
 
(탬파=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탬파-세인트피터스버그-클리어워터를 아우르는 탬파베이 임대시장에서 대다수 세입자들이 월세에 허덕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 적정 주거비 최 상한선은 소득의 30%이다. 그러나 가계소득이 3만달러에서 4만5000달러 사이의 가구 중 58%(4만4천9백 가구)는 수입의 30% 이상을 렌트비에 쏟고 있다. 또 수입의 절반 이상을 월세에 붓고 있는 세입자는 7.6%로, 숫자로 따지면 6천300가구이다.

통계는 지난해 임대시장 상황을 기준으로 하버드대 ‘주택연구센터’(Joint Center for Housing Studies)가 내놓은 것이다.

<에이피통신> <탬파트리뷴> 등이 10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지역에서 수입이 1만5천달러에서 2만9천999달러 사이의 저소득층 86%(8만5천100가구)가 수입의 30% 이상을 주거비에 돌리고 있다. 이 중 월세 비중이 전체 소득의 50% 이상인 가구는 41.5%나 된다.

지역 주민들이 이처럼 무거운 월세 짐을 지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도 근래 주택시장의 영향이 크다. 주택시장이 사상 최악이라는 침체에서 벗어나 3년째 회복기를 맞고 있지만, 주택구입여건이 나아지지 않아 주택구입 수요 대부분이 임대시장으로 몰리고 있다.

주택시장 버블과 노령화가 주 원인

하바드 대학 연구에서는 미국의 세입자 상당수가 40세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연령대보다 높아진 것이다. 이 역시 주택시장 버블과 노령화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2008년 이래 주택을 차압당한 가구는 총 6백만이다. 또 베이비 부머 증가로 세입자 중 55세에서 69세 사이 연령대가 급증했다.

인구 조사국 자료를 바탕으로 한 이번 연구에서 40세 이상 세입자는 전체 세입자중 51%를 차지했다. 가구수로는 2천2백40만개이다. 주택붐 열기가 막 시작되던 2005년 당시만 해도 40세 이상 세입자 비율은 47%였고, 1995년에는 이보다 더 낮은 43%였다.

10년 동안 임대시장 폭발적 증가

지난 10년 사이에 젊은층을 포함해 총 9백만 세입 가구가 더해졌으나,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자 자연 임대료가 상승했다.

임대료는 2001년에서 2014년 사이에 7%(인플레이션 적용) 상승했다. 반면 수입은 9%가 떨어졌다. 상당수 주민들이 월세에 허덕이는 또다른 이유이다.

지난 10년 사이에 주택관련 비용이 소득의 30%를 넘는 세입자 가구는 1480만 가구에서 2130만 가구로 늘어났다. 이는 현재 총 세입자 가구의 49%를 차지한다.

한편 임대수요를 따라 잡기 위한 아파트 물량 공급도 최근 급격히 늘어났으나 대부분의 신규 아파트는 고급 시장을 겨냥하고 있어 임대난은 여전하다.

지난해 국내 신규 아파트 월세 중간 값은 1372불이다. 이 액수는 세입자의 절반이 자신들의 수입에 맞춰 부담없이 지불할 수 있는 분량(소득 30% 이하)보다 5백불이 더 높다.

신규 아파트들은 식당, 공원, 체육관, 사무실 등이 가까운 요지에 들어서는 추세이다. 소득이 10만불 이상인 세입자 가구가 지난 10년 전보다 160만개가 늘어난 것과도 무관치 않다.

보통 수준으로 여겨지는 소득(3만달러-4만4999달러)으로는 이같은 지역의 아파트를 얻기가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수도 워싱턴,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뉴욕시, 마이애미와 같은 지역에서는 보통 수준 소득의 세입자 중 70% 이상이 임대료 부담을 안고 있다.

한편 비영리 캠페인 단체인 메이크 룸 이 올해 초 내놓은 연구에서는 플로리다주가 임대료에 허덕이는 세입자(주거비가 소득 30% 이상) 비율이 27.4%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97 미국 미국 - 필리핀 핵협정 체결 라이프프라자 23.11.18.
296 미국 '불운 징크스' 50달러권 지난해 발행량 40년 만에 최대 라이프프라자 23.11.20.
295 캐나다 "덮어놓고 이민자 받다보면 거지꼴 못 면한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11.21.
294 캐나다 BC주정부 플랫폼 노동자 노동조건 개선책 마련 file 밴쿠버중앙일.. 23.11.21.
293 캐나다 주정부, 증오와 폭력 피해 지역사회 단체 지원 임박 밴쿠버중앙일.. 23.11.21.
292 미국 미.국방장관, 우크라이나 방문 라이프프라자 23.11.21.
291 캐나다 장바구니물가, 타물가 대비 여전히 높아 file 밴쿠버중앙일.. 23.11.22.
290 미국 "플로리다는 대서양의 예루살렘"? file 코리아위클리.. 23.11.22.
289 미국 플로리다 공화당원들 작심했나... 트럼프 60% vs. 디샌티스 21% file 코리아위클리.. 23.11.22.
288 미국 플로리다에서 '스포츠 베팅' 길 다시 열렸다 file 코리아위클리.. 23.11.22.
287 미국 "사냥하고 낚시할 권리를 주 헌법으로 보장하라"? file 코리아위클리.. 23.11.22.
286 미국 미국 초계기. 사고 라이프프라자 23.11.22.
285 캐나다 BC주 주택가격 안정화 위해 부자가세 정책 file 밴쿠버중앙일.. 23.11.24.
284 캐나다 주말 밴쿠버서 무장 군인 출몰에 총격소리까지 file 밴쿠버중앙일.. 23.11.24.
283 캐나다 노스로드 한인타운 지역구 다음 주의원은 누가? file 밴쿠버중앙일.. 23.11.24.
282 캐나다 외국국적자 "내 땅을 내 땅이라 부르지 못하고, 내 집을 내 집이라 부르지 못하냐" file 밴쿠버중앙일.. 23.11.25.
281 캐나다 BC주민, 과속단속 카메라 운영에 대체로 호의적 file 밴쿠버중앙일.. 23.11.25.
280 캐나다 차량 출발전, 시야를 가리는 눈, 얼음, 성애는 꼭 제거해야 file 밴쿠버중앙일.. 23.11.25.
279 캐나다 캐나다 정보국, 관•학계에 中 정부 '인재 영입' 경계령 라이프프라자 23.11.25.
278 캐나다 작년 한 해 캐나다 사망자의 절반을 죽음에 이르게 한 원인은 file 밴쿠버중앙일.. 23.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