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도시 1).jpg

미국 기반의 인력관리 컨설팅 사인 ‘머서’(Mercer)가 경제적 여건, 소비자 제품 가용성, 공공 서비스 및 교통, 정치 및 사회 여건, 자연환경, 사회문화 여건, 학교 및 교육, 의료 및 보건 부문을 평가, ‘살기 좋은 도시’ 순위를 매긴 결과 오스트리아 수도 비엔나(Vienna)가 최고 자리를 차지했다. 비엔나는 영국 정치사회 연구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conomist Intelligence Unit)의 ‘Livable city’ 조사에서도 10년 연속 1위로 평가된 도시이다.

 

최고 도시는 비엔나... 시드니 11위, 서울은 77위 랭크

올해 평가에서 ‘국민 안전’ 부분 추가... 독일-스위스 도시들 상위에

 

삶의 질을 가름하는 여러 평가 기준에 따라 최상위로 선정된 도시에서 거주하고자 한다면, 미국 뉴욕(New York) 기반의 최대 인사관리 컨설팅 사인 ‘머서’(Mercer)가 조사한 ‘살기 좋은 도시’ 1위에 이름을 올린 비엔나(Vienna)로 이주해야 한다.

중부 유럽의 고도(古都)이자 오스트리아의 수도로 경제 문화 교통의 중심인 비엔나는 영국 이코노미스트 그룹 산하의 사회정치 연구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conomist Intelligence Unit)의 ‘Livable city’ 조사에서도 10년 연속 1위로 평가된 도시이기도 하다.

호주 내 도시들 가운데서는 ‘살기 좋은 도시’로 시드니가 가장 앞섰다.

 

종합(도시 1-2).jpg

전 세계 231개 도시를 대상으로 한 ‘머서’(Mercer)의 조사에서 시드니는 11번 째 ‘살기 좋은 도시’에 이름을 올렸다.

 

‘머서’의 이번 조사는 전 세계 231개 도시를 대상으로 리크레에이션(Recreation), 주택(Housing), 경제적 여건(Economic environment), 소비자 제품 가용성(Consumer goods availability), 공공 서비스 및 교통(Public services and transport), 정치 및 사회 여건(Political and social environment), 자연환경(Natural environment), 사회문화 여건(Socio-cultural environment), 학교 및 교육(School and education), 의료 및 보건(Medical and health) 부문을 평가, 종합 점수로 순위를 매긴 것이다.

이번 조사 결과 호주의 각 도시는 ‘삶의 질’(quality of living)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상위 ‘10대 도시’에는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다만 시드니가 11위 도시로, 멜번은 17위에 랭크됐으며, 이외 퍼스(Perth), 애들레이드(Adelaide), 캔버라(Canberra), 브리즈번(Brisbane) 등 6개 도시가 상위 50위 안에 포함됐다.

비엔나는 스위스 취리히(Zurich)를 제치고 1위에 랭크됐으며, 2위 취리히에 이어 밴쿠버(Vancouver, Canada), 뮌헨(Munich, Germany), 오클랜드(Auckland, New Zealand)가 같은 점수로 공동 3위에 이름을 올렸다.

영국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도시는 런던(41위)이었으며, 에딘버러(Edinburgh. 45), 글래스고(Glasgow. 48), 버밍엄(Birmingham. 49) 등 4개 도시가 50위 안에 들었다.

 

종합(도시 2-1).jpg

멜번은 17위에 랭크됐으며, 이외 퍼스(Perth), 애들레이드(Adelaide), 캔버라(Canberra), 브리즈번(Brisbane) 등 6개 도시가 상위 50위 안에 포함됐다. 사진은 멜번 야라 강변의 카페에서 한가한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

 

영국 ‘머서’의 케이트 피츠패트릭(Kate Fitzpatrick) 대표는 런던의 경우 높은 범죄율과 열악한 대기환경으로 서유럽 도시인 프랑크푸르트(Frankfurt. 7), 암스테르담(Amsterdam. 시드니와 공동 11위), 더블린(Dublin. 33)에 비해 크게 뒤쳐졌다고 설명했다.

피츠패트릭 대표는 “런던은 영국에서 가장 높은 삶의 질을 자랑하는 도시이며 전 세계인의 비즈니스 센터 역할을 하는 도시이지만 원활하지 못한 교통 체계, 심각한 수준의 대기오염, 높은 범죄율로 영국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고 덧붙였다.

북미 국가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도시는 밴쿠버(3), 토론토(Toronto. 16), 오타와(Ottawa. 19), 몬트리얼(Montreal. 21), 캘거리(Calgary. 32) 등 캐나다 도시들이었으며 미국 도시로는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가 34위로 평가됐다. 아시아 국가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도시는 싱가포르(Singapore)로, 231개 도시 가운데 순위는 25번째였으며 서울은 77위, 부산은 94위에 이름을 올렸다.

그런 반면 이라크의 바그다드(Baghdad)는 안전 및 보건 부문의 상당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살기 좋은 도시’ 순위에서 최 하단에 이름을 올렸으며, 중앙아프리카공화국(Central African Republic)이 수도 방기(Bangui), 내전으로 엄청난 상처를 입은 예멘의 수도 사나(Sana)가 뒤를 이었다.

 

종합(도시 3).jpg

‘머서’의 도시 평가에서 최하위 10개 도시 중 하나로 집계된 예멘 수도 사나(Sana'a).

 

상위 10대 도시 가운데는 스위스의 취리히(2), 제네바(Geneva. 9), 바젤(Basel. 10), 독일의 문헨(3), 뒤셀도르프(Dusseldorf. 6), 프랑크푸르트(7) 등 이들 두 국가의 각 3개 도시가 포함됐다.

‘머서’의 올해 ‘Quality of Living’ 평가에서는 처음으로 범죄 수준과 범 집행, 개인의 자유 및 언론자유를 분석한 국민 안전 평가 항목이 추가됐다.

‘머서’는 브렉시트(Brexit)의 불확실성이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영국과 아일랜드의 도시들이 국제적 매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삶의 질은 대중교통 및 도로 혼잡, 주택 및 국제학교 이용 가능성, 도시의 문화적 환경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언급한 피츠패트릭 대표는 “영국 및 아일랜드의 도시들은 높은 국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변화에 발을 맞추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 Mercer’s Quality of Living Reports 2019

1. Vienna / Austria

2. Zürich / Switzerland

3. Vancouver / Canada

3. Munich / Germany

3. Auckland / New Zealand

6. Düsseldorf / Germany

7. Frankfurt / Germany

8. Copenhagen / Denmark

9. Geneva / Switzerland

10. Basel / Switzerland

11. Sydney / Australia

11. Amsterdam / Netherlands

13. Berlin / Germany

14. Bern / Switzerland

15. Wellington / New Zealand

16. Toronto / Canada

17. Melbourne / Australia

18. Luxembourg / Luxembourg

19. Ottawa / Canada

19. Hamburg / Germany

21. Perth / Australia

29. Adelaide / Australia

30. Canberra / Australia

35. Brisbane / Australia

77. Seoul / South Korea

94. Busan/ South Korea

 

■ ‘Quality of Living’ 하위 랭크 도시

231. Baghdad / Iraq

230. Bangui / Central African Republic

229. Sana'a / Yemen Arab Republic

228. Port au Prince / Haiti

227. Khartoum / Sudan

226. N'Djamena / Chad

225. Damascus / Syria

224. Brazzaville / Congo

223. Kinshasa /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222. Conakry / Guinea Republic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도시 1).jpg (File Size:135.0KB/Download:19)
  2. 종합(도시 1-2).jpg (File Size:103.3KB/Download:29)
  3. 종합(도시 2-1).jpg (File Size:97.8KB/Download:22)
  4. 종합(도시 3).jpg (File Size:83.9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251 호주 무서운 10대들, 대낮 길거리서 패싸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50 호주 야데나 쿠룰카, 올해 ‘Blake Art Prize’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9 호주 NSW 노동당 의원, ‘Lockout Laws’ 재고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8 호주 불법 마약 ‘택배’로 2주 만에 15만 달러 챙겨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7 호주 과격 테러리스트 샤로프 아내, 시리아서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6 호주 호주 국민당, 바나비 조이스 의원 새 대표 선출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5 호주 시드니 경기 호황, 호주 국가 경제 선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4 호주 연립 여당 지지도 ‘시들’, 말콤 턴불 인기도 식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3 호주 호주 인구 빠르게 늘어, 16일 새벽 2400만 명 돌파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2 호주 NSW 아핀 로드(Appin Road), 호주 최악의 위험도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241 호주 전문가들, “시드니는 여전히 좋은 부동산 투자 지역”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40 호주 시드니 마약 조직, 하루 120명에 마약 판매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9 호주 수천의 저소득 가정, 원활한 인터넷 사용 어려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8 호주 “새 슈퍼감염 모기, ‘지카’ 바이러스 치료에 도움...”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7 호주 호주 젊은이들에게 ‘평생 직업’ 개념 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6 호주 “시드니 ‘Lockout Laws’, ‘라이브 업소’에도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5 호주 ‘Sydney, 1788-2014, Taken before its time’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4 호주 ‘앵무새 죽이기’ 저자 하퍼 리, 89세로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3 호주 동성애자 탄압... NSW 정부, 38년만에 공식 사과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2 호주 “100달러 고액권, 범죄자들의 탈세로 이용...”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1 호주 호주 프리랜서 보도사진가, ‘세계 보도사진 대전’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230 호주 주말 시드니 경매, 일부 지역 낙찰가 폭등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9 호주 “호주인들, 비만 관련해 탄산음료 업계에 불만 제기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8 호주 시드니 부동산 시장 둔화, “성급한 전망이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7 호주 고령자 케어-보건 분야, 향후 새 직업군 창출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6 호주 AFP, 향후 10년 내 경찰 인력 절반 ‘여성’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5 호주 호주 젊은층에서 불법 ‘아이스’ 복용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4 호주 의료 목적의 대마초 재배 법안, 연방의회 통과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3 호주 원주민 출신 정치인 린다 버니의 ‘역사 만들기’는 진행 중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2 호주 다량 유통 50달러 위조지폐, 은행도 속을 만큼 정교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1 호주 전 세계 ‘Powerful Passports’ 순위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20 호주 NSW, VIC에 비해 주정차위반 벌금액 3배 비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19 호주 The books that changed me...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218 뉴질랜드 *(사)재외동포언론인협회 제공 고국방문 시 ‘가볼만한 곳’ 정보: ‘꽃과 호수, 신한류 예술의 합창’ 2016고양국제꽃박람회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0.
6217 뉴질랜드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 2.25%로 인하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0.
6216 뉴질랜드 뉴질랜드 오클랜드 공항에서 지카 바이러스 매개 모기 유충 발견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0.
6215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최대 화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14 호주 시드니 자산가 늘어, 초호화 저택 수요도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13 호주 NSW 주, 모든 공무원에 탄력근무제 적용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12 호주 시드니 남서부 잉글번서 총기 난사 벌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11 호주 파라마타 카운슬, 시드니 CBD까지의 직행기차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10 호주 시드니 최고 부유층 거주 지역서 마약 파티?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09 호주 IS는 어떻게 젊은이들을 세뇌시키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08 호주 은퇴 정치인 연금으로 올 4천만 달러 예산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07 호주 ‘에어비앤비’, 75년 전통의 ‘백패커 숙소’에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06 호주 호주, ‘파리 테러’ 이은 IS의 다음 테러 목표 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05 호주 Top 10 most underrated places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0.
6204 뉴질랜드 웰링턴 부동산 시장 활발, RV보다 높은 가격에 판매돼 file 굿데이뉴질랜.. 16.03.11.
6203 호주 열기구에서 본 멋진 켄버라 file 한호일보 16.03.14.
6202 호주 서호주 순경의 애틋한 ‘캥거루 사랑’ file 한호일보 16.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