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 규모 1).jpg

호주 국세청(Australia Taxation Office. ATO)이 2016-17년 1천390만 명의 세금납부 자료를 집계한 결과 부유 계층과 저소득자 사이의 엄청난 소득 격차를 보여주고 있다. 우편번호(post code) 지역별 조사에서 최고 과세소득 지역으로 나타난 곳은 광역시드니 2108 지역이었다. 사진은 우편번호 2108 지역 중 하나인 팜 비치(Palm Beach)의 Barrenjoey Lighthouse Walk. 이 지역 납세자들의 연평균 소득은 23만330달러였다.

 

호주 국세청, 2016-17년 세금납부 통계... 소득격차 10배 이상

 

시드니 노던비치 지역(Northern Beaches region)에 거주하는 고소득 계층은 NSW 주 지방의 저소득자들에 비해 무려 10배 이상의 수입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주 국세청(Australia Taxation Office. ATO)이 내놓은 2016-17년 세금납부 자료를 통해 드러난 것으로, 1천390만 명의 과세 통계는 다시 한 번 부유 계층과 저소득자 사이에 엄청난 소득 격차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ATO의 이번 보고서는 97만 개 기업이 포함된 2017년 소득세 신고 1천650만 건과 이외 슈퍼펀드, 파트너십, 신탁 자산 등에 대한 세금을 확인해 집계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가장 부유한 우편번호 지역(post code 2108)과 가장 낮은 소득 지역(2308) 사이의 연평균 수입 격차는 20만9,741달러에 달한다.

‘우편번호 2018’은 광역시드니의 쿠링가이 체이스국립공원(Ku-ring-gai Chase National Park) 내에 자리한 코스터스 리트리트(Coasters Retreat), 쿠라웡 비치(Currawong Beach), 그레이트 마커렐 비치(Great Mackerel Beach), 팜비치(Palm Beach) 지역(suburb)으로, 호주 전역에서 가장 높은 23만330달러의 과세소득을 기록했다.

두 번째로 소득이 높은 우편번호는 ‘3142’로, 이는 멜번(Melbourne)의 부유층 지역으로 알려진 투락(Toorak)과 혹스번(Hawksburn)이며, 이 지역의 평균 과세소득은 19만3,904달러였다.

시드니의 달링포인트(Darling Point), 엣지클리프(Edgecliff), HMAS 러시커터스(HMAS Rushcutters), 포인트파이퍼(Point Piper)가 포함된 ‘우편번호 2027’ 지역 또한 평균 과세소득 18만7,689달러로 호주 전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수입을 올리는 지역이었다.

‘2108’, ‘3142’ 및 ‘2027’ 등 세 지역은 ATO의 전년도 통계에서도 호주에서 가장 소득이 높은 곳으로 집계된 바 있다.

호주 전국에서 과세소득이 가장 높은 상위 10개 우편번호 지역 가운데 8개는 광역시드니였으며 나머지 2개 우편번호는 멜번과 멜번 인근이었다.

 

최저 소득 지역은

‘우편번호 2308’

 

NSW 주의 경우, 최고 소득을 올리는 지역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반면 가장 가난한 지역도 떠안고 있다.

‘우편번호 2308’을 사용하는 뉴카슬대학교(Newcastle University), 캘러헌(Callaghan)은 평균 과세소득이 2만589달러에 불과해 호주 전역에서 가장 소득이 낮은 지역으로 집계됐다.

이어 두 번째로 과세소득이 낮은 우편번호는 ‘4611’로. 이는 퀸즐랜드(Queensland)의 마쉬랜드(Marshlands), 몬듀어(Mondure)이다. 이곳의 평균 과세소득은 2만3,225달러였다.

세 번째로 소득이 낮은 포스트코드는 빅토리아(Victoria) 번호였다. ‘3482’를 사용하는 이 지역은 왓쳄(Watchem), 왓쳄웨스트(Watchem West), 모턴 플레인(Morton Plains), 와머(Warmur), 매시(Massey)로, 연 평균 과세소득은 2만4,346달러로 집계됐다.

ATO의 루이스 클라크(Louise Clarke) 부청장은 호주 전역에서 과세소득이 가장 낮은 10개 우편번호 지역 가운데 5개는 퀸즐랜드 번호였다고 말했다.

과세소득 신고 자료를 집계한 ATO의 보고서는 호주의 지역별 소득 격차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올해 5월 예정된 연방 선거를 앞두고 각 정당의 주요 이슈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종합(소득규모 2).jpg

과세소득이 가장 납은 10개 우편번호 중5개는 QLD주, 2개는 VIC 주, 그리고 NSW 주는 3개 지역이었다. 사진은 세 번째로 적은 연소득 지역으로 집계된 빅토리아 주 왓쳄(Watchem)의 한 도로변. 우편번호 3482인 이 지역 연소득은 평균 2만4,346달러로 나타났다. 사진 : aap

 

최고 소득 직업은 외과의사,

연 평균 수입 39만 달러

 

이번 ATO 보고서는 소득이 높은 직종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장 높은 수입을 올리는 직종은 의료 전문가들로, 특히 외과의사는 연평균 39만4,866달러로 가장 높은 수입을 올리는 분야였다.

외과의사에 이어 마취과 전문의가 평균 36만7,343달러로 두 번째 높은 소득을 올리고 있으며 내과전문의(IMS)가 29만9,378달러로 세 번째를 차지했다.

의료 분야 3개 부문에 이어 금융딜러들이 연평균 26만1,008달러로 네 번째 높은 소득을 보였으며, 정신과 전문의는 21만6,075달러의 소득(5번째)으로 집계됐다.

반면 가장 낮은 소득을 올리는 직종은 hospitality 분야, 농장 노동자, 청소 직종에서 많았다.

패스트푸드 조리사 또한 연평균 1만8,616달러로 가장 소득이 낮은 직종 중 하나였으며 서비스업 종업원(hospitality employee. 1만9,102달러), 서비스업 견습 또는 연수자(1만9,282달러), 농장-임업-조경 견습 또는 연수자(1만9,744달러), 농부(2만2,378달러) 순으로 집계됐다.

이번 ATO 조사에서 1천100개 직종 가운데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은 소득을 올리는 분야는 72개 직종이었다. ATO 클라크 부청장은 여성이 남성보다 수입이 많은 직종은 작가, 선물거래 종사자, 치안판사, 전문 서퍼, 일러스트레이터 분야가 포함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최고 소득 직업 부문에서 여성은 남성에 비해 훨씬 적은 수입을 올리고 있다. 가령 남성 외과 전문의는 연평균 43만128달러의 수입을 얻는 반면 여성 외과전문의의 평균 수입은 22만7,34달러였다.

여성 노동자 가운데 가장 낮은 수입을 올리는 직종은 건설 및 광산업(1만3,845달러)이었으며, 남성의 경우에는 서비스업 견습 또는 연수자(1만8,366달러)의 소득이 가장 낮았다.

 

호주인들의 자선기관 기부,

연평균 770달러

 

2016-17년 호주인들의 자선기관에 기부 금액에 대한 평균 소득 공제액은 770달러로 집계됐다.

어려운 이웃을 위한 기부에서 가장 관대한 지역은 서부 호주(Western Australia)로, 전체 주민 가운데 30%가 기부금에 대해 평균 1천190달러의 세금공제 혜택을 받았다. 반면 북부 호주(Northern Territory) 주민은 자선기금 기부에서 가장 인색해 주민 43%의 평균 세금 공제액은 405달러였다.

한편 ATO는 올해 보고서에서 개인 의료보험에 가입 자료도 세금통계에 포함시켰다.

 

■ 우편번호별 최고 소득 지역

(우편번호 / State / Suburb : 평균 과세소득)

2108 /NSW /Coasters Retreat, Currawong Beach, Palm Beach : $230,330

3142 /VIC / Hawksburn, Toorak : $193,904

2027 / NSW / Darling Point, Edgecliff, Point Piper : $187,769

2030 / NSW / Dover Heights, Rose Bay North, Vaucluse, Watsons Bay : $178,282

2063 / NSW / Northbridge : $169,365

2023 / NSW / Bellevue Hill : $169,334

2028 / NSW / Double Bay : $160,378

2088 / NSW / Mosman, Spit Junction : $158,897

3944 / VIC / Portsea : $156,079

2110 / NSW / Hunters Hill, Woolwich : $156,069

 

■ 우편번호별 최저 소득 지역

(우편번호 / State / Suburb : 평균 과세소득)

2308 / NSW / Newcastle University, Callaghan : $20,589

4611 / QLD / Mondure, Marshlands : $23,225

3482 / VIC / Watchem, Watchem West, Morton Plains, Warmur, Massey : $24,346

2052 / NSW / University of NSW : $24,855

3889 / VIC / Errinundra, Manorina, Combienbar, Bemm River, Cabbage Tree Creek : $24,863

2356 / NSW / Gwabegar : $26,474

4731 / QLD / Yaraka, Isisford : $29,127

4705 / QLD / Mount Gardiner, Mackenzie River, Marlborough, Clark Creek : $29,223

4732 / QLD / Tablederry, Muttaburra : $29,584

4402 / QLD / Kooralgin, Upper Cooyar Creek, Cooyar : $29,891

 

■ 최상의 소득 직종

(직종 : 평균 과세소득)

1. Surgeon : $394,866

2. Anaesthetist : $367,343

3. Internal medicine specialist : $299,378

4. Financial dealer : $261,008

5. Psychiatrist : $216,075

6. Other medical practitioners : $204,387

7. Judicial or other legal professionals : $195,703

8. Mining engineer : $167,345

9. Chief executive officer or managing director : $157,643

10. Engineering manager : $147,451

 

■ 최저 소득 직종

(직종 : 평균 과세소득)

1. Fast food cook : $18,616

2. Hospitality employee : $19,102

3. Hospitality apprentice or trainee : $19,282

4. Farm, forestry or garden worker apprentice or trainee : $19,744

5. Farmer : $22,378

6. Food, drink or meat processor apprentice or trainee : $23,085

7. Waiter : $23,537

8. Cleaning services apprentice or trainee : $23,924

9. Cleaner : $24,063

10. Café worker : $24,136

Source : ATO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소득 규모 1).jpg (File Size:79.2KB/Download:21)
  2. 종합(소득규모 2).jpg (File Size:69.2KB/Download:2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501 호주 촛불만큼 뜨거운 시드니 동포들의 ‘특별법’ 촉구 호주한국신문 14.07.24.
6500 호주 호주 현지 요리사들, 다양한 재료의 비빔밥 선뵈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9 호주 말레이시아 항공기 격추... 호주인 희생자 36명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8 호주 전 세계 민간 항공기 격추, 최대 인명 피해 5건은...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7 호주 탄소세 폐지 불구, 애보트 정부 지지율 하락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6 호주 탄소세 폐지 법안, 연방 상원에서 가결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5 호주 탄소세 관련 Timeline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4 호주 ACCC, ‘탄소세 폐지에 따른 제품가격 인하’ 조사 강화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3 호주 시드니 도심, 2침실 아파트에 최대 14명까지 입주시켜 file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2 호주 “주택가격 연간 상승 2.4% 미만이면 임대, 경제적” 호주한국신문 14.07.31.
6491 호주 ‘세월호 참사 특별법’ 청원 서명, 시드니서 1천280명 확보 호주한국신문 14.07.31.
6490 호주 올 한국영화제, 호주 전역 6개 도시로 확대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9 호주 연방 경찰, 이라크 테러 가담 호주인에 체포영장 발부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8 호주 호주사업위원회, “호주는 근본적 사고 변화가 절실하다”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7 호주 시드니 카운슬, 도심에 800만 달러 규모 예술품 설치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6 호주 ‘크라운’ 슈퍼 펜트하우스, 호주 최고가 주택 될 듯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5 호주 까다로운 실업수당 조건, 구직자를 범죄로 내몰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4 호주 연방 정부, 새 고용 서비스 모델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3 호주 NSW 주, 말기환자 위한 대마초 사용 합법화 추진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2 호주 호주인 알코올 관련 질병 사망자, 하루 15명달해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1 호주 제1차 세계대전 발발 100년... 사진으로 보는 참전 호주군들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0 호주 시드니 주택경매 낙찰률 4주 연속 77% 이상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9 호주 “통일 한국은 동북아 및 세계 평화의 중심...”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8 호주 재호한인상공인연합회 제17대 회장단 출범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7 호주 한국문화원, 영화제 알리기 적극 나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6 호주 어번 보타닉 가든, 8월16일(금) ‘벚꽃축제’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5 호주 인종차별, 학생들에게 무력감 배가시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4 호주 전 시드니 대주교 에드워드 클런시 추기경 선종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3 호주 호주인 미디어 이용, TV보다 디지털 기기 선호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2 호주 호주인 부부, 대리모가 낳은 장애아 대리모에게 떠넘겨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1 호주 호주 군 섹스 스캔들 핵심 멤버 프레데릭슨, ‘유죄’ 인정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0 호주 People power, 기차역에서 위험 처한 시민 구해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9 호주 10대 청소년들, 유태인계 학생 대상 인종 학대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8 호주 호주 주택가격, ‘가을 침체’ 이후 회복세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7 호주 치사율 최대 90%... 에볼라 바이러스 공포 확산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6 호주 애보트 정부, 인종차별법 개정안 추진 철회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5 호주 파라마타, 가장 높은 주택가격 성장률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4 호주 제5회 호주 한국영화제, 이벤트 시네마서 시작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3 호주 “건국절 제정은 대한민국 헌법 정신에 위배”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2 호주 호주 젊은이들의 K-Pop 댄스 실력은...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1 호주 숙명여대 음대생들, 시드니대학서 연주회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0 호주 시드니 주택 가격, 올 2분기 3.1% 올라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9 호주 NSW 주 하원의원 2명, 부패 혐의로 의원직 사퇴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8 호주 NSW 주 정부, 고속도로 제한 속도 상향 고려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7 호주 정부, 취약 계층에 GP 진료비 $7 면제 ‘고려’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6 호주 호주 노동자 임금 인상, 물가 상승 못 따라가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5 호주 “중동 지역 긴장으로 호주내 인종차별 증가...”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4 호주 12세 딸 불법 결혼시킨 아버지, 첫 범정 심리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3 호주 맹견 공격으로 이웃집 남성 손가락 절단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2 호주 기획①-제1차 세계대전 발발 100년 호주한국신문 1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