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423105901_4397.jpg
▲중국 정부는 선전을 11 개 도시를 2030년까지 그레이터 베이 지역의 GDP가 4 조 6,200 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진 : Shutterstock)
 
중국은 1978년 도시화와 경제 개혁·개방을 통해 두 자릿수 경제성장률을 이어가는 고속 성장 가도를 달려왔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집권 이후 연 6%대의 '중속 성장기'에 접어들면서, 중국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창출을 통해 안전한 성장 가도를 이어가려고 목표하고 있다. 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가 바로 웨강아오 대만구 프로젝트이다.

중국 첨단기술 및 혁신의 경제벨트인 웨강아오 대만구(Greater Bay Area)는 홍콩, 마카오 및 9개 중국 도시를 하나의 경제 지역으로 통합해, 실리콘밸리 중심의 샌프란시스코만, 일본 도쿄만, 뉴욕만 경제권 같은 활성화를 계획하고 있다. 웨강아오 대만구 프로젝트를 주목해야할 10가지 경제적 잠재력을 알아보자.

비교할 수 없는 인구 수: 대만구 지역의 총 인구 수는 2017년 기준 약 7천만 명이다. 이는 전체 중국 인구의 5%에 달하며, 대만구 지역의 총 인구 수는 영국의 총 인구 수보다 크며, 캐나다의 총 인구 수의 두 배 수준이다.

면적 대비 높은 GDP 기여도 : 대만구 지역의 토지 면적은 중국 전체 면적의 1% 미만이나 GDP 기여도는 12%인 1조 5천억 미 달러 상당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샌프란시스코 만의 연 경제규모의 두 배 수준이다. 대만구 지역 도시 중 3차 산업 경제 기반인 선전, 홍콩, 광저우의 GDP 기여도 가장 높으며 2017년에 총 3천억 미 달러 이상을 창출했다.

세계 3대 항만보다 많은 항공화물 운송량 : 홍콩 무역발전국에 따르면, 대만구 지역의 항공화물 운송량은 2017년 기준 796만 톤에 달한다. 이는 샌프란시스코, 뉴욕, 도쿄를 모두 합친 것보다 높다. 중국은 대만구 지역을 세계적 공항 클러스트로 성장을 목표하고 있으며, 기존의 공항 수용량을 증가하고 교통망 늘릴 것 예정이다.

세계 상위 10개 항구 중 3개 보유 : 20피트 컨테이너 기준,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항구 10개 중 3개가 대만구 지역의 도시인 선전, 광저우, 홍콩이다. 대만구 지역 내 항구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6천 6만개이다. 중국은 황마오하이 대교 건설, 물류 흐름 개선 등 서부 내륙지역 개발을 통해 대만구 지역 항구의 잠재력을 증대시킬 예정이다.

홍콩, 녹색 채권 허브로 성장 : 홍콩은 세계 최대 녹색 채권 시장 중 하나로, 2018년에만 110억 미 달러 상당의 녹색 채권을 발행했으며 이는 전년대비 3배 수준이다. 홍콩은 중국의 채권 발행 기업과 국제 투자자들을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녹색 채권 발행 기업 비용 절감 등 다양한 혜택제도가 있어 녹색 채권 허브로써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

국경 간 단기 의료 서비스 제공 가능 : 대만구 프로젝트를 통해 홍콩과 중국 간의 의료 및 보건 서비스 협력을 강화하고 홍콩 의료 전문가들이 중국에서 개인 의료 활동을 할 수 있다. 홍콩대의 경우, 선전에 대학 병원을 설립했으며 2012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총 4백만 환자가 내원했다. 이밖에도 홍콩대와 중문대 모두 선전에 의과 학부 개설할 예정으로 대만구 지역의 의료 서비스 및 의료 의과 교육 산업 성장이 기대된다.

마카오와 주하이 관광 산업 동반 성장 : 세계적 관광명소인 마카오는 강주아오 대교 개통으로, 지난 1월 기준 관광객 수가 전년대비 25% 증가해 340만 명으로 집계됐다. 마카오는 특별 조약을 통해 주하이의 헝친섬 특별경제지구 토지를 ‘빌려’ 관광산업 개발하고 있으며, 포루투칼어권과의 파트너십 형성, 헝친섬 관광 산업 개발 등을 통해 더욱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저우 교통 허브로써 성장 : 광저우는 2035년까지 지금의 5배 수준의 철도 인프라 구축해 연 3억 9680만 명의 승객을 수송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동관 등 인근 도시 간 이동이 더 빠른 교통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광저우 바이윈 국제 공항 터미널 확장, 활주로 추가 건설, 제 2 국제 공항 건설 등으로 승객 및 화물 운송 허브로써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적 수준의 R&D 투자 규모 : IT 허브인 선전에는 텐센트, DJI, 화웨이 등 중국 대기업들을 포함해 약 3백만 개의 기업이 있다. 공식 통계에 따르면, 선전의 연구 개발 투자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2018년 149억 미 달러 이상, 또는 GDP의 4% 상당을 투자했다. 이밖에도 선전과 홍콩은 국경지대에 새로운 과학 단지를 공동 개발하여 혁신 산업 촉진을 할 예정이다.

동관 서비스 부문 허브로 성장 : 동관은 외국 자본 투자를 받은 약 9천개의 기업들이 위치하고 있다. 전자 정보, 전자 기계, 섬유, 식품 가공, 제지 생산 등 5가지 주요 산업이 형성되어 있으며 2017년에만 총 340억 미 달러의 생산량을 창출했다. 중국은 제 13차 5개년 계획에서 2020년까지 금융, 전자상거래, 기술 서비스 등 서비스 부문 성장이 포함되어 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36 홍콩 우산혁명 이끌었던 조슈아 웡, 새로운 정당 창당해 홍콩타임스 16.04.12.
1535 홍콩 "송송커플 효과... 홍콩에서도 대단하지 말입니다" 홍콩타임스 16.04.14.
1534 홍콩 렁춘잉 행정장관, 공항서 '갑질' 논란 홍콩타임스 16.04.14.
1533 홍콩 홍콩 공기오염, 실외보다 실내가 더 심각 홍콩타임스 16.04.14.
1532 홍콩 캐세이퍼시픽 항공기, 기내 냉각 시스템 이상으로 회항 홍콩타임스 16.04.14.
1531 홍콩 홍콩 의대 졸업생들, 공립병원 산부인과 기피해 홍콩타임스 16.04.14.
1530 홍콩 중국 출신 LeEco, 홍콩 방송사 '군웅할거'에 합류하나 홍콩타임스 16.04.14.
1529 중국 중국, 1인당 소득 지역 ‘1만달러 클럽’ 증가 속 총GDP는 하락 전망 유로저널 16.04.15.
1528 중국 中 리커창 총리,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6.5-7.0% 제시 유로저널 16.04.15.
1527 중국 중국 10년간, '1인당 소비액 3배 증가 집값 연평균 18%씩 상승' 유로저널 16.04.15.
1526 중국 중국, 세계 기업인수합병(M&A) 역대 최대 기록해 유로저널 16.04.15.
1525 홍콩 홍콩, 국제금융센터 조사에서 4위로 떨어져 홍콩타임스 16.04.18.
1524 홍콩 홍콩디즈니랜드, 오픈 이래 첫 대규모 정리해고 홍콩타임스 16.04.18.
1523 홍콩 존 창 재정사장, 다음 홍콩 행정장관 후보로 거론돼 홍콩타임스 16.04.18.
1522 홍콩 한국 계란, 드디어 홍콩으로 수출 홍콩타임스 16.04.22.
1521 홍콩 렁춘잉 행정장관 공항 ‘갑질’...홍콩판 '땅콩회항' 되나 홍콩타임스 16.04.22.
1520 홍콩 "中, 홍콩 독립 주장 계속될 경우 군대 보낼 가능성 있어" 홍콩타임스 16.04.22.
1519 홍콩 '소간지' 소지섭, 홍콩 방문해 여전한 인기 과시 홍콩타임스 16.04.22.
1518 홍콩 농림축산식품부·한식재단, 홍콩 한식 특집방송 제작 홍콩타임스 16.04.22.
1517 홍콩 송중기, 22일 홍콩 다시 방문 홍콩타임스 16.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