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9-2.jpg

(사진=scmp)

 

트럼프 미국 정부의 보복관세에도 2018년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가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해관총서는 지난해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17.2% 늘어난 3천233억2천만달러(약 363조원)라고 14일 발표했다.

중국의 대미 수출은 11.3% 늘었지만, 미국에서 중국으로 온 수입액은 0.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해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가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 경제의 호조와 중국 경제의 둔화 때문에 미국 내의 수입 수요가 늘어나고 중국의 수요는 줄어 무역 불균형이 심화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무역적자를 줄이려는 트럼프 정부의 노력에도 미국 측의 적자는 오히려 늘어났다.

중국의 막대한 대미 무역흑자는 미중 무역전쟁이 일어난 직접적 원인이다.

 

이날 발표된 중국의 12월 수출과 수입 규모는 시장의 예상을 깨고 급감했다.

해관총서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수출은 전년 동기보다 4.4% 감소했다.

이런 수출 감소는 2년 만에 가장 큰 폭이다.

로이터통신 설문에 응한 전문가들은 세계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12월 수출 규모가 3.0% 증가해 11월의 5.4%보다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었다.

지난달 중국의 수입 역시 7.6% 줄어 2016년 7월 이후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시장은 전월에 3.0%에 그쳤던 수입 증가율이 12월에는 5.0%로 다소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로이터통신은 이런 수출입 부진이 중국 경제의 둔화와 글로벌 수요 악화를 나타낸다고 지적했다.

12월 무역수지는 570억 6천만 달러(한화 64조원)로 전월의 447억1천만달러(50조원)보다 증가했다.

 

중국의 2018년 한해 무역흑자는 2013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적었던 것으로 집계되었다.

지난해 무역흑자는 3천517억6천만달러(약 394조원)로 전년보다 16.2% 감소했다.

중국의 지난해 수출은 달러화 기준으로 2조4천800만달러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9.9%로 7년 만에 최고치이다.

수입은 2조1천400만달러로 15.8% 늘었다.

수출입 금액을 합하면 4조6천200만 달러로 12.6% 증가했다.

 

해관총서는 올해 무역에서 가장 큰 우려는 대외 불확실성과 보호주의라고 밝혔으며 중국의 무역 증가세가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1-309-2.jpg (File Size:81.2KB/Download:1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36 중국 ‘미중관계를 사정없이 때리는 트럼프’ 러매체 file 뉴스로_USA 18.09.06.
1335 중국 中美 무역전쟁 세계사적 이슈 file 뉴스로_USA 18.09.06.
1334 중국 ‘중러 북극해 항로 합작 본격화’ 러신문 file 뉴스로_USA 18.09.08.
1333 중국 '제8회 세계한인언론인 국제심포지엄', 재외한인 기자학교 설립 집중 논의 file 라이프매거진 18.09.19.
1332 중국 중국 광동 동관한인학교 도서관 확장 오픈 및 도서기증 감사장 전달식 file 라이프매거진 18.09.19.
1331 중국 민주평통광저우협의회, 서상희 교육분과위원장 의장(대통령) 표창 수상 file 라이프매거진 19.01.16.
1330 중국 중국 화남연합회 신임회장에 광저우한인상공회 이민재회장 추대 file 라이프매거진 19.01.16.
1329 중국 ‘중국 협상, 베트남 지렛대 삼으려는 미국’ 러 신문 file 뉴스로_USA 19.02.10.
1328 홍콩 선전베이 강철 케이블 절단 결함 포착돼… 사고 원인 조사 위해 조사팀 꾸려 file 위클리홍콩 19.03.01.
1327 홍콩 비중국어권 학생 약 2만 명, 이들을 위한 정부 지원 점검 시급 file 위클리홍콩 19.03.01.
1326 홍콩 초등학교 무료 독감 예방 접종 시범제도, 정규 제도 도입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3.01.
1325 홍콩 웨강오 대만구 프로젝트 청사진 발표, 홍콩의 역할과 혜택은? file 위클리홍콩 19.03.01.
1324 홍콩 부동산 건설업자, 공실세 시행 직면에 10% 가격 인하 예상 file 위클리홍콩 19.03.01.
1323 홍콩 3월부터 불법 주차 단속 첨단 CCTV 시범 시행 file 위클리홍콩 19.03.01.
1322 홍콩 칭화대, 싱가포르국립대 제치고 아시아·태평양 최고 대학 선정돼... 홍콩 3개 대학 10위권 진입 ‘쾌거’ file 위클리홍콩 19.03.01.
1321 홍콩 타이완, 홍콩과 국가 주권 훼손할 어떠한 협약도 안 할 것 file 위클리홍콩 19.03.01.
1320 홍콩 고질적 주택 공급 문제, 판링 골프장 재개발로 단기적 솔루션으로 채택 file 위클리홍콩 19.03.01.
1319 홍콩 홍콩정부, 2019/20년 연례 예산 보고, HK$ 1,500억 예산 배정 file 위클리홍콩 19.03.05.
1318 홍콩 광둥성, 홍콩 출신 고급 인재, 가장 먼저 조세 혜택 적용 file 위클리홍콩 19.03.05.
1317 홍콩 국가법(國歌法) 어긴 홍콩 의원, 언론자유법에 보호 못받아 file 위클리홍콩 19.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