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매거진 1).jpeg

특정 지역을 여행하다 보면 지역 이름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혼동될 때가 있다. 전 세계 곳곳의 도시 가운데는 이런 지명들이 의외로 많다. 사진은 프랑스 샴페인의 본고장인 랑스(Reims) 풍경. 이 지명의 영어 표기와 실제 발음은 크게 다르다.

 

프랑스 샴페인의 고장 ‘Reims’는 ‘Reemz’ 아닌 ‘Rarnce’로 말해야

 

해외 여행지에서 특정 장소나 국가를 표기한 영어 단어대로 발음했다가 소통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비슷한 발음이라도 현지인들이 전혀 알아듣지 못하기도 한다. 지구촌 곳곳의 일부 지명(또는 국명) 가운데는 잘못 발음할 수 있는 것들이 있어 부끄러움을 느끼게 만들곤 한다. 세계 지도를 펼쳐놓고 보면 이런 도시나 국가 이름이 의외로 많다. 이런 지명들 가운데 여행자들이 종종 혼동하는 것들을 알아본다.

 

 

▲ Reims, France

Wrong : Reemz

Right : Rarnce

영어 사용자들이 프랑스의 샴페인 생산 중심 지역인 랑스(Reims)를 처음 접할 때 어떻게 발음하는지 아는 경우는 드물다. 대개는 ‘flawm’(Reemz)라고 발음하지만 콧대 높은(?) 프랑스 사람들에게 기죽지 않으려면 코 고는 소리로 ‘랑스’라고 하면 된다.

 

 

▲ Niger

Wrong : Ny-jer

Right : Neezh-air

한때 프랑스 식민지배를 받은 니제르는 영어로 ‘나이젤’이라 불릴 수 있지만 프랑스어에 가까운 발음이 통한다.

 

 

▲ Samoa

Wrong : Sa-MO-a

Right : SARM-oa

대개의 외부인들은 ‘사모아’를 부를 때 두 번/재 음절(Mo)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사모아 현지인들이 말하는 것을 들으면 ‘삼-오아’라고 하며, ‘Sarm’을 마치 영어 ‘harm’처럼 발음한 뒤 ‘오아’(oa)를 덜 세게, 재빨리 내뱉는다.

 

 

▲ Kiribati

Wrong : Kirry-barty

Right : Ki-ri-bass

태평양 중서부의 작은 공화국(수도 Tarawa) 키리바티는 미국식으로 ‘키어리바티’라고 발음하기도 하지만 대개는 ‘키리바스’로 부른다. ‘ti’를 ‘s’로 간주하는 것이다.

 

 

▲ Louisville, Kentucky

Wrong : Loo-iss-vill

Right : Loo-ee-vul

미국 켄터키(Kentucky) 주에서 가장 큰 이 도시는 첫 음절을 프랑스 식으로 부르지만 마지막 음절은 미국식으로 하여 ‘루이스빌’이 아니라 ‘루이뷜’로 발음한다.

 

종합(매거진 2).jpg

미 켄터키(Kenturky) 주의 가장 큰 도시 ‘Louisville’의 경우 첫 음절은 프랑스 식으로, 마지막 음절은 영어 식으로 불러야 한다. 사진은 여름 시즌, 루이뷜의 한 공원에서 열리는 무료 콘서트.

 

 

▲ St Louis, Missouri

Wrong : Saint Loo-ee

Right : Saint Loo-iss"

켄터키 주의 ‘루이뷜’과 유사한 단어여서 같은 형식으로 불리리라 생각되지만 미국 미주리 주의 이 도시는 프랑스 식의 ‘루이’가 아니라 Lewis Hamilton처럼 ‘세인트 루이스’로 발음해야 현지인들이 알아듣는다.

 

 

▲ Qatar

Wrong : Cat-arr

Right : Cutter

첫 음절을 약간 강조해 ‘카타’라고 발음한다.

 

 

▲ Dominica

Wrong : Dom-IN-i-ca

Right : Dom-in-EE-ca"

카리브해의 이 작은 섬나라 국명은 스페인어 발음 규칙을 따른다. 따라서 두 번째와 세 번째 음절을 강조해 부른다.

 

 

▲ Córdoba, Argentina

Wrong : Cor-DOH-ba

Right : COR-duh-buh

아르헨티나의 주 이름인 이 지역은 ‘코르도바’가 아닌, 스페인 식으로 ‘코르두부’로 발음한다. 스페인어는 보통 일반적인 발음 규칙이 어긋날 경우 어떤 음절을 강조하는지를 표시하고자 악센트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 Bangkok, Thailand

Wrong : Bang-cock

Right : Bang-gawhk"

우선, ‘방콕’이라고 하면 태국인들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방콕의 타이어 어명은 크룽텝(Krung Thep)이다. 대부분 ‘방콕’이라고 부르는 태국의 수도는 앞 음절인 ‘bang’를 빠르게 발음한 뒤, 이어진 뒤 음절인 ‘kok’을 ‘gawhk’으로 약간 길게 발음한다.

 

 

▲ Ibiza, Spain

Wrong : EYE-bee-tha

Right : Ee-bee-tha

영어에서 ‘I’가 앞에 오는 경우 대개는 ‘아이’로 발음하기에 지중해 서부, 발레아레스 제도 서남부에 있는 스페인의 섬 이름을 부를 때 ‘아이비사’라고 하지만 스페인 사람들은 ‘이비사’라고 부른다.

 

 

▲ Dunedin, New Zealand

Wrong : June-din

Right : Dun-ee-din

던이딘(Dunedin)은 뉴질랜드 남섬 동남부의 항구 도시이다. 스코틀랜드 풍의 이 도시명은 얼핏 두 음절이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세 음절로 발음해야 하며 중간에 강조점이 있어 중간의 ‘ee’를 길게 발음해야 NZ 사람들이 쉽게 이해한다.

 

 

▲ Pakistan

Wrong : Packy-stan

Right : Paw-ki-starn"

영어에서 ‘pa’는 ‘par’ 또는 ‘pah’보다는 ‘paw’에 가깝다. 또 ‘stan’은 헛간이나 창고를 뜻하는 ‘barn’처럼 약간 길게 읽는다.

 

 

▲ Oaxaca, Mexico

Wrong : Oh-acks-acka

Right : Wa-ha-ca

한국어의 지명 표기법으로 ‘오악사카’로 통일해 부르는 이곳은 멕시코 남부의 주(state) 이름이다. 멕시코의 도시들은 종종 어떻게 불러야 하는지 어려운 곳들이 많은데, 영어로 지명의 철자가 무엇을 나타내는지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 Lesotho, South Africa

Wrong : Le-soh-thoh

Right : Le-soo-too

‘Lesotho’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둘러싸인 왕국(수도 Maseru)이다. 이 지명을 발음할 때에는 ‘o’를 두 배로 길게 하여 ‘레수투’라고 해야 현지인들이 금세 알아듣는다.

 

 

▲ Reykjavik, Iceland

Wrong : Wrecker vic 또는 Wreck-ee-a-vic

Right : Ray-kya-vik

 

아이슬란드의 수도이자 항구도시인 ‘Reykjavik’는 영어권 사람들에게 심각한 발음 오류를 범하게 하는 대표적 지명 중 하나로 정확히는 ‘레이-캬-비크’로 읽는다.

 

 

▲ Beijing, China

Wrong : Bayzhh-ing

Right : Bay-jing

중국 수도인 베이징에서 ‘j’를 중국식 발음인 ‘zhh’로 하는 경우가 있지만 영어 지명의 ‘j’를 그대로 짧게 발음하면 된다.

 

 

▲ Budapest, Hungary

Wrong : Boo-da-pest

Right : Boo-da-pesht

‘Beijing’을 칭한 때 ‘j’를 ‘zhh’로 할 필요는 없지만 헝가리의 이 도시명을 말할 때 두 번째인 ‘pest’는 약간 불분명한 발음으로, ‘페쉿’(pesht)에 더 가깝다.

 

 

▲ Tijuana, Mexico

Wrong : Tee-a-whana

Right : Ti-whana

멕시코의 지명 가운데는 뚜렷한 이유 없이 추가 음절을 넣은 곳들이 많다. 멕시코 북서부, 미국 국경에 접한 이 도시 ‘티화나’도 마찬가지이다.

 

종합(매거진 3).jpg

영어로 표기된 멕시코의 지명들 가운데는 특별한 이유 없이 추가 음절을 넣어 불러야 하는 곳들이 많다. 사진은 멕시코 휴양도시 중 하나인 티화나(Tijuana)의 한 마켓.

 

 

▲ Lucerne, Switzerland

Wrong : Loo-sirn

Right : Lutz-urn

영어권 사람들은 스위스의 이 도시 지명을 보고는 프랑스어 형식으로 발음하기도 하지만 독일어 사용권이다.

 

 

▲ Zürich, Switzerland

Wrong : Zoo-rick

Right : Zurrr-eekh"

‘Lucerne’처럼 독일어권 지역임을 감안해 불러야 하며, 뒤 음절은 부드럽게 발음한다.

 

 

▲ Wroclaw, Poland

Wrong : Rock-lor

Right : Vrots-lav

아마도 폴란드의 도시나 지명처럼 처음 접했을 때 발음하기 어려운 곳도 없을 듯하다. 지난 2016년 EU가 ‘유럽 문화 수도’(2016 European Capital of Culture)로 선정했던 이 도시는, 영어식으로 보면 ‘록-로어’로 발음할 수 있지만, 현지인들은 ‘브로츠와프’로 부른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매거진 1).jpeg (File Size:106.7KB/Download:25)
  2. 종합(매거진 2).jpg (File Size:107.6KB/Download:24)
  3. 종합(매거진 3).jpg (File Size:118.0KB/Download:2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501 호주 촛불만큼 뜨거운 시드니 동포들의 ‘특별법’ 촉구 호주한국신문 14.07.24.
6500 호주 호주 현지 요리사들, 다양한 재료의 비빔밥 선뵈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9 호주 말레이시아 항공기 격추... 호주인 희생자 36명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8 호주 전 세계 민간 항공기 격추, 최대 인명 피해 5건은...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7 호주 탄소세 폐지 불구, 애보트 정부 지지율 하락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6 호주 탄소세 폐지 법안, 연방 상원에서 가결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5 호주 탄소세 관련 Timeline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4 호주 ACCC, ‘탄소세 폐지에 따른 제품가격 인하’ 조사 강화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3 호주 시드니 도심, 2침실 아파트에 최대 14명까지 입주시켜 file 호주한국신문 14.07.24.
6492 호주 “주택가격 연간 상승 2.4% 미만이면 임대, 경제적” 호주한국신문 14.07.31.
6491 호주 ‘세월호 참사 특별법’ 청원 서명, 시드니서 1천280명 확보 호주한국신문 14.07.31.
6490 호주 올 한국영화제, 호주 전역 6개 도시로 확대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9 호주 연방 경찰, 이라크 테러 가담 호주인에 체포영장 발부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8 호주 호주사업위원회, “호주는 근본적 사고 변화가 절실하다”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7 호주 시드니 카운슬, 도심에 800만 달러 규모 예술품 설치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6 호주 ‘크라운’ 슈퍼 펜트하우스, 호주 최고가 주택 될 듯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5 호주 까다로운 실업수당 조건, 구직자를 범죄로 내몰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4 호주 연방 정부, 새 고용 서비스 모델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3 호주 NSW 주, 말기환자 위한 대마초 사용 합법화 추진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2 호주 호주인 알코올 관련 질병 사망자, 하루 15명달해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1 호주 제1차 세계대전 발발 100년... 사진으로 보는 참전 호주군들 호주한국신문 14.07.31.
6480 호주 시드니 주택경매 낙찰률 4주 연속 77% 이상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9 호주 “통일 한국은 동북아 및 세계 평화의 중심...”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8 호주 재호한인상공인연합회 제17대 회장단 출범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7 호주 한국문화원, 영화제 알리기 적극 나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6 호주 어번 보타닉 가든, 8월16일(금) ‘벚꽃축제’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5 호주 인종차별, 학생들에게 무력감 배가시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4 호주 전 시드니 대주교 에드워드 클런시 추기경 선종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3 호주 호주인 미디어 이용, TV보다 디지털 기기 선호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2 호주 호주인 부부, 대리모가 낳은 장애아 대리모에게 떠넘겨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1 호주 호주 군 섹스 스캔들 핵심 멤버 프레데릭슨, ‘유죄’ 인정 호주한국신문 14.08.07.
6470 호주 People power, 기차역에서 위험 처한 시민 구해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9 호주 10대 청소년들, 유태인계 학생 대상 인종 학대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8 호주 호주 주택가격, ‘가을 침체’ 이후 회복세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7 호주 치사율 최대 90%... 에볼라 바이러스 공포 확산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6 호주 애보트 정부, 인종차별법 개정안 추진 철회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8.07.
6465 호주 파라마타, 가장 높은 주택가격 성장률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4 호주 제5회 호주 한국영화제, 이벤트 시네마서 시작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3 호주 “건국절 제정은 대한민국 헌법 정신에 위배”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2 호주 호주 젊은이들의 K-Pop 댄스 실력은...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1 호주 숙명여대 음대생들, 시드니대학서 연주회 호주한국신문 14.08.14.
6460 호주 시드니 주택 가격, 올 2분기 3.1% 올라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9 호주 NSW 주 하원의원 2명, 부패 혐의로 의원직 사퇴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8 호주 NSW 주 정부, 고속도로 제한 속도 상향 고려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7 호주 정부, 취약 계층에 GP 진료비 $7 면제 ‘고려’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6 호주 호주 노동자 임금 인상, 물가 상승 못 따라가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5 호주 “중동 지역 긴장으로 호주내 인종차별 증가...”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4 호주 12세 딸 불법 결혼시킨 아버지, 첫 범정 심리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3 호주 맹견 공격으로 이웃집 남성 손가락 절단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2 호주 기획①-제1차 세계대전 발발 100년 호주한국신문 1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