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운전자들 혼란 가중
 

epass.jpg
▲ 센트럴플로리다에서 유료도로 통행 시스탬인 이패스 와 선패스 가 운전자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사진은 에지워터 선상의 이패스 광고 빌보드판.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 기자 = 센트럴플로리다는 지역에서 가장 교통적체가 심한 I-4내 유료도로 공사가 완료를 2년여 남겨두고 있다. 또 올랜도국제공항에서 I-4에 이르는 유료도로 528에는 또다른 유료도로가 설치된다. 이처럼 지역 주민들의 생활권이 유료도로로 엮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패스(E-Pass)'와 '선패스(Sunpass)'에 대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패스와 선패스는 플로리다주내 유료도로 및 대부분의 다리, 그리고 올랜도국제공항에서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지아와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유료도로에서도 작동한다.

두 시스탬 모두 같은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로 고객 구좌에서 자동으로 통과료를 인출한다. 그렇다면 두 시스탬의 다른 점은 무엇이고, 어떤 것이 더 나은 것일까.

첫째, 이패스는 센트럴 플로리다 고속도로공단(Central Florida Expressway Authority)에서 발행하고 선패스는 주 교통부(Department of Transportation)가 운영한다.

둘째, 이패스 도로를 이용하는 선패스 고객은 전체 사용자의 60% 이상이다. 선패스 고객은 현금 지불 운전자에 비해 약간의 디스카운트를 받는다.

셋째, 이패스 차량 부착 스티커는 무료인 반면 선패스는 4.99달러이다.

넷째, 이패스 이동식 트랜스폰더는 9.95달러이나 선패스는 19.99달러이다.

다섯째, 이패스는 월 기준으로 일정 이상 횟수의 도로 사용자에게 할인을 베풀지만, 선패스는 할인을 적용하지 않는다.

여섯째, 이패스 사용자는 드라이브업 서비스 센터에서 개별 구좌 금액을 자동 설정 및 보충할 수 있는 반면, 선패스 사용자는 그로서리 마켓이나 소매상점을 이용한다.

일곱째, 이패스와 선패스 모두 조지아와 노스캐롤라이나 주에서도 작동한다.

마지막으로 이패스는 이패스 엑스트라(E-PASS Xtra)라는 18.50달러짜리 업그레이드 패스가 있지만, 선패스는 이같은 버전이 없다. 참고로 이패스 엑스트라는 미국 18개 주에서 사용 가능하다.

이패스 인기, 근래들어 급증

주도 텔러해시에 기반을 둔 주 교통부는 주지사가 선정한 장관에 의해 주내 도로를 관장하는 방대한 관료 조직체이다. 센트럴플로리다에서 주 교통부가 관장하는 가장 대표적인 유료도로는 턴파이크이지만, 이밖에도 교통부는 크고 작은 도로들에 권한을 지니고 있다.

센트럴플로리다에서는 올랜도 기반의 센트럴플로리다 고속도로 공단(CFEA)이 408 전 도로와, 417, 429등 주요 구간을 포함해 총 7개 고속도로를 소유하고 관리하는 등 유료도로 네트워크를 장악하고 있다. 공단은 주지사가 지정한 위원과 오렌지카운티 및 올랜도 시장 그리고 5개 카운티(오렌지, 세미놀, 오시올라, 레이크, 브레바드)를 대표하는 커미셔너 등 지역 지도자들로 이뤄져 있다.

주 교통부와 CFEA은 성격이 다르지만 유료도로 관장을 서로 주요 사업으로 삼고 있어서 주민들의 눈에는 '경쟁 상태'로 보여지기 십상이다. 일부 주민들은 이패스와 선패스가 두개 관장기관의 힘겨루기 경쟁 시스탬이라고 최근 <올랜도센티널>에 전했다.

CFEA는 관리 도로에 '오픈-레인 통행(open-lane tolling)'을 적극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곳은 운전차량의 트랜스폰더 신호를 잡을 수 있는 센서가 도로 선상에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별도의 부스로 진입하기 위해 속도를 줄일 필요가 없다.

주 교통부의 경우 자체 관할 도로는 트렌트폰더 사용자만 허락하고, 부스를 그대로 통과하는 차량에는 번호판 정보를 이용해 우편으로 통행료를 신청한다.

그렇다면 두 기관이 능동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이패스와 선패스 중 주민들에게는 무엇이 더 나은 선택일까.

지역 주민들에게는 이패스의 방책이 더 먹혀들고 있는 추세이다. 2016년 당시 CFEA 관할 도로를 이용하는 트랜스폰더 사용자의 3분의 2가 주 교통부의 선패스 소지자였다. 그러나 지난 달 통계에서는 도로공단 관할 도로를 오가는 트랜스폰더 사용 횟수 1800만개 중 절반 이상이 이패스로 결제됐다.

일부 관계자들은 이패스 수익이 지역 도로 개선에 사용되기 때문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277 캐나다 18세 미만도 자가격리대상으로 밴쿠버중앙일.. 20.05.06.
5276 캐나다 트랜스링크, 6월 1일부터 버스요금 징수 재개 밴쿠버중앙일.. 20.05.05.
5275 캐나다 버나비 한산한 도로 기분내고 달리는데 483달러 밴쿠버중앙일.. 20.05.05.
5274 캐나다 호수에 빠진 어린이 2명 결국 숨진채 발견 밴쿠버중앙일.. 20.05.05.
5273 캐나다 대한민국은 선진국일까? 실감나지 않는 단어 ‘선진국’ - 오충근의 기자수첩 file CN드림 20.05.04.
5272 캐나다 직원 1천명 확진 판정, 앨버타 육류 공장 조사 - 사망자도 발생, 노조 “미리 임시 폐쇄 했더라면” file CN드림 20.05.04.
5271 미국 캐나다 캘거리 멈추지 않는 바이러스 확산세..정점 도달은 언제? file CN드림 20.05.04.
5270 캐나다 캐나다 록키산맥의 심장 밴프 경제, 올 스톱 - 관광산업에 직격탄 CN드림 20.05.04.
5269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 시민들, “코비드 보다 경제 충격 더 무서워” -응답자 70%, “경제 후폭풍 우려” file CN드림 20.05.04.
5268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주도 경제 재개 계획 발표 - 5월 14일부터 1단계 시행 CN드림 20.05.04.
5267 캐나다 써리겅찰 마약범죄자 잡으니 분실 신분증 신용카드 쏟아져 밴쿠버중앙일.. 20.05.02.
5266 캐나다 경찰 500명 자가격리 감시대상자 직접방문 밴쿠버중앙일.. 20.05.02.
5265 캐나다 한-캐나다 양국 국방장관 양국 협력 확인 밴쿠버중앙일.. 20.05.02.
5264 캐나다 캐나다KEB하나은행, 한인금융기관중 최초 CEBA대출 개시 밴쿠버중앙일.. 20.05.01.
5263 캐나다 식품가공공장 새로운 코로나19 감염 중심지가 되나? 밴쿠버중앙일.. 20.05.01.
5262 캐나다 BC주 비상선포 기간 3번째 2주 연장...5월 12일까지 밴쿠버중앙일.. 20.05.01.
5261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5월 4일 식당-소매업 등 문 연다... 드샌티스 주지사 "터널 끝 빛이 보인다" file 코리아위클리.. 20.04.30.
5260 캐나다 [29일 실시간 코로나19 업데이트] BC주 4번째 닭고기가공공장 집단 감염 밴쿠버중앙일.. 20.04.30.
5259 캐나다 2월 누계 새 한인 영주권자 890명 밴쿠버중앙일.. 20.04.30.
5258 캐나다 캐나다인, 한국만 캐나다보다 코로나19 대응 잘한 국가 밴쿠버중앙일.. 20.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