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개인정보 1).jpg

미국의 한 기업이 전 세계 여러 온라인 데이트 사이트에 가입된 호주 여성 2천명 이상의 개인정보를 입수, 미화 60달러에 불법으로 판매해 인터넷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사진은 트레인 역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들고 있는 여성.

 

개인정보 수집-판매하는 美 ‘데이터 브로커’ 증가... 소비자 분류에 활용

 

미국의 한 기업이 전 세계 여러 온라인 데이트 사이트에 가입된 2천명 이상 호주 여성들의 개인정보를 입수, 미화 60달러에 불법으로 판매해 인터넷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이번 사건의 피해자인 호주인 여성 로시(Rosie. 가명) 씨는 한 데이트 웹사이트에 자신의 나이, 연락처, 직장에 대한 정보와 본인을 드러낸 여러 장의 사진을 올렸고 그녀의 프로필에 자신의 자녀계획에 대한 내용도 구체적으로 밝혔는데, 이러한 그녀의 개인정보가 인터넷에 적나라하게 불법공개 된 것이다.

로시의 어머니는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개인의 삶과 미래의 희망사항에 대한 사적인 정보가 온라인에서 이익을 목적으로 판매되고 있다는 사실에 딸이 매우 충격을 받았다”고 전했다.

개인정보를 판매해 적발된 해당 업체는 미국 뉴욕(New York) 주에 등록된 회사로 여러 데이트 앱과 웹사이트로부터 회원들의 개인정보를 입수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자세한 과정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종합(개인정보 2).jpg

개인정보를 모아 판매하는 ‘데이터 브로커’(data broker)는 미국에만 2,500~4,000개 사이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정확한 업체의 수와 활용되는 사이트 및 앱의 종류와 개수는 밝혀진 바가 없다.

 

ABC의 라디오 프로그램인 PM은 해당 사건의 조사를 목적으로 해당업체가 판매한 개인정보를 구매하여 이같은 사실을 직접 확인했다.

호주 여성 사라(Sarah)씨 또한 이번 사건의 피해자로, 그녀는 이미지 공유 사이트 ‘4chan’에 자신의 연락처와 사진을 게재했다가 피해를 보았는데, 사라씨는 “내 정체성이 상품처럼 판매되고 있다는 것이 매우 끔찍하다”며, “내 자신이 작고 무기력하게 느껴진다”고 전했다.

데이트 사이트들은 보통 회원가입 시 약관에 개인정보의 일부가 공유되거나 판매될 수 있다고 경고문을 적어두고 있으나 이를 눈여겨보는 경우는 드물다.

 

미국 ‘데이터 브로커’,

개인정보 수집해 소비자 성향 분류

 

종합(개인정보 3).jpg

전문가들은 이들이 갖가지 웹사이트에 가입된 회원들의 개인정보는 소비자의 성향을 분류하는 데에 사용된다고 말한다.

 

울릉공 대학교(University of Wollongong)의 카티나 미첼(Katina Michael) 컴퓨터정보기술과 교수는 “이번 사건은 개인정보가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전 세계로 판매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라고 말했다.

미첼 교수에 따르면 이번 사건과 같이 개인 정보를 판매하는 업체들은 일명 ‘데이터 브로커’(data broker)라고 불린다. 이들은 갖가지 개인 정보를 모아 축적한다.

미국 연방무역위원회(Federal Trade Commission) 조사에 따르면 한 데이터 브로커가 미국인 한 명당 3천개 가량의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브로커 업체들이 얼마나 되는지 정확한 수치는 파악하기 어렵지만 보도에 따르면 미국에만 2,500~4,000개 업체 사이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이 복잡한 데이터 수집 알고리즘으로 무엇을 할 수 있고 자신이 어떤 피해를 당할 수 있는지 잘 모르고 있다. 매릴랜드 대학교(University of Maryland)의 프랭크 파스켈(Frank Pasquale) 법대교수는 “이 브로커들은 수집된 데이터를 가지고 사람들을 특정 카테고리로 분류한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노인이며 잘 속아 넘어가는 사람’이라는 그룹을 만들고 이 안에 포함되는 사람들의 정보를 도박 업체들에게 판다는 설명이다.

파스켈 교수는 “개인이 가진 취약성에 대한 정보가 그 사람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호주에는 개인정보 유출 및 사이버 보안법이 마련되어 있지만, 호주의 국내 사법권 밖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가 쉽지 않다.

미첼 교수는 “세계적인 플랫폼을 사용한다는 것 자체로 이미 개인의 데이터가 미국에 산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도에 따르면 현재 700만명 이상의 호주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세계 최대 전자결제업체 페이팔(Paypal)은 사용자들의 정보를 600개 이상의 업체들과 공유하고 있다.

미국에는 데이터 브로커들이 이미 정착돼 호주와 같이 새로운 국제 시장에도 발을 넓히고 있다.

미첼 교수는 “글로벌 데이터 브로커들은 미국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알고리즘을 다른 국가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종합(개인정보 4).jpg

페이스북은 개인정보 유출 논란의 중심에 있다. 페이스북은 상업 및 정부 데이터베이스를 구매해 동 사의 웹사이트 및 앱에서 수집한 정보와 비교, 대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페이스북,

개인정보 유출 논란의 중심

 

페이스북(Facebook) 및 인스타그램(Instagram)과 같은 소셜미디어 사이트에서는 방대한 개인정보가 불특정 다수에게 무작위로 공개되고 있다.

미국 버지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Virginia)의 시바 바이디아나단(Siva Vaidhyanathan) 미디어과 교수는 “이 같이 많은 정보를 하나의 완성된 그림으로 만드는 데에 있어서는 페이스북이 단연 최고”라고 말한다.

바이디아나단 교수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수년간 상업 및 정부 데이터베이스를 구매해 동 사이트에서 수집한 정보와 비교 대조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 개인이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페이스북의 앱인 메신저(Messenger), 왓츠앱(Whatsapp) 또는 인스타그램을 사용하면 페이스북은 그 사람의 위치를 기록한다.

바이디아나단 교수는 “당신이 쇼핑센터를 걸어가면 페이스북은 당신이 방문하는 상점을 기록하고 소비활동을 분석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당신이 페이스북에 가장 친한 친구와 정치적 성향 및 가장 좋아하는 음악과 책이 무엇인지를 밝히게 되면 이를 페이스북이 상업적으로 활용한다”고 덧붙였다.

바이디아나단 교수는 결국 “사람들을 분류하고 차별을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지적한다.

 

김진연 기자 / herald@koreanherald.coma.au

  • |
  1. 종합(개인정보 1).jpg (File Size:53.3KB/Download:22)
  2. 종합(개인정보 2).jpg (File Size:50.5KB/Download:25)
  3. 종합(개인정보 3).jpg (File Size:64.7KB/Download:24)
  4. 종합(개인정보 4).jpg (File Size:39.7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51 호주 턴불 총리 “역사 기념물 논쟁은 스탈린주의 발상, 대다수 국민 경악” 톱뉴스 17.08.28.
5050 호주 복지수당 수급자 대상 약물 테스트 대상 지역 3곳 확정 톱뉴스 17.08.28.
5049 호주 연방정부, 호주 내 난민희망자 100명 재정지원 중단 및 출국 통보 톱뉴스 17.08.28.
5048 호주 멜버른 카운슬로 튄 쿡 선장 동상 등 역사 기념물 훼손 불똥 톱뉴스 17.08.28.
5047 뉴질랜드 “4천불 현상금까지 걸었건만…” 총에 맞아 죽은 채 발견된 반려견 NZ코리아포.. 17.08.29.
5046 뉴질랜드 경찰무전기에서 들리는 ‘돼지 꿀꿀’ 소리의 정체는? NZ코리아포.. 17.08.29.
5045 호주 Ch10, 도산 위기 모면…미국 CBS 인수 확정 톱뉴스 17.08.29.
5044 호주 호주 “북한 미사일 도발, 전 세계 평화와 안보 위협”…강력 규탄 성명 잇따라 톱뉴스 17.08.29.
5043 뉴질랜드 향후 2년간 뉴질랜드 방문 크루즈 유람선 50% 신장 NZ코리아포.. 17.08.30.
5042 뉴질랜드 북한에 대한 미국 주도 공격 NZ 지지 여부, 반반 의견으로 나눠져 NZ코리아포.. 17.08.30.
5041 호주 CBA ‘산 넘어 산’…AUSTRAC이어 APRA도 조사 착수 톱뉴스 17.08.30.
5040 호주 2017 NSW 카운슬 선거, 한국계 후보 6명 출사표 톱뉴스 17.08.30.
5039 호주 ‘리틀 코리아’ 스트라스필드 카운슬의 ‘진흙탕 싸움’ 톱뉴스 17.08.30.
5038 뉴질랜드 폐쇄된 옛날 노천광산 인근에서 대형 싱크홀 나타나 NZ코리아포.. 17.08.31.
5037 뉴질랜드 뜨거운 한낮에 차에 아기 방치한 채 한잔 하고 잠들었던 아빠 NZ코리아포.. 17.08.31.
5036 뉴질랜드 승객 급증으로 본격 확장에 나서는 퀸스타운 공항 NZ코리아포.. 17.08.31.
5035 호주 지난 주 이어 낙찰률 하락... 16개월 만에 가장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34 호주 탈북 학생들의 꿈... “어려운 이들 위해 일하고 싶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33 호주 ‘용의자 사살권’ 등 경찰 공권력, 시민들의 공포 탓?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32 호주 최장기간 연구 보고서, “성공하려면 성(姓)도 잘 타고나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31 호주 베레지클리안, 서울 명예시민 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30 호주 우울증-불안감에 시달리는 여성 비율, ‘우려’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9 호주 호주 초등학교 남학생 5명 중 1명, ‘정서행동장애’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8 호주 저소득층 지역, 임대주택 보증금 환불 거부 비율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7 호주 보수 진영 정치 인사들, 동성결혼 ‘Yes’ 캠페인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6 호주 ‘동성결혼’ 관련 우편조사 등록 마감일의 ‘해프닝’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5 호주 Australia's best country and outback festivals(4)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4 호주 베레지클리안 주 총리, “한국어 등 가상교실 확대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3 호주 호주 대학 평가... 골드코스트 ‘본드대학교’, 최고 점수 file 호주한국신문 17.08.31.
5022 호주 “동성결혼 반대진영의 광고도 결사 반대하는 노동당” 톱뉴스 17.08.31.
5021 호주 수그러들지 않는 연방의원 이중국적 파동…이번에는 노동당과 무소속으로 톱뉴스 17.09.01.
5020 호주 해리 큐얼, 잉글랜드 감독 데뷔 후 ‘첫 승’ 톱뉴스 17.09.01.
5019 호주 갈 길 바쁜 사우디, UAE에 덜미…원정 경기서 1-2 역전패 톱뉴스 17.09.01.
5018 호주 NSW 전 교육장관 피콜리 의원 정계 은퇴…보궐 선거 3곳으로 늘어 톱뉴스 17.09.01.
5017 호주 쇼튼 당수 “잘못된 역사는 바로 잡아야…” 톱뉴스 17.09.01.
5016 호주 NSW주 카운슬 선거 9월 9일 톱뉴스 17.09.01.
5015 호주 "내 옆자리에는 앉지 마!" 톱뉴스 17.09.01.
5014 호주 연방법원, 아다니 탄광개발 무효 소송 항소심 기각 톱뉴스 17.09.01.
5013 호주 주택문제 전문 정당 창당…급진적 주택난 해소 대책 발표 톱뉴스 17.09.01.
5012 호주 "출산 전후 우울증 챙기자" 호주, 정신건강 검진비 무료로 톱뉴스 17.09.01.
5011 호주 호주 콴타스항공, 시드니-런던 1만7천km 무착륙 비행편 추진 톱뉴스 17.09.01.
5010 호주 호주 부모 10명 중 7명 "스마트폰 때문에 '차'에서도 대화 단절" 톱뉴스 17.09.01.
5009 호주 자동차 번호판이245만 달러….호주 번호판 경매 최고가 톱뉴스 17.09.01.
5008 호주 “주택난, 최소 40년 지속된다” 톱뉴스 17.09.01.
5007 뉴질랜드 해안 절벽 아래서 난파된 후 11시간 만에 구조된 남녀 NZ코리아포.. 17.09.02.
5006 뉴질랜드 5년 이래 주택 가격 상승 속도 가장 느려 NZ코리아포.. 17.09.02.
5005 뉴질랜드 라이벌 갱단 간의 장례식장 싸움에서 총까지 발사했던 갱 단원 NZ코리아포.. 17.09.02.
5004 뉴질랜드 경고!!페이스북 메신저로 받은 비디오 링크 클릭하지 말것 NZ코리아포.. 17.09.02.
5003 호주 호주, “북한의 무모한 도발행위, 강력 규탄”…가능한 모든 조치 촉구 톱뉴스 17.09.04.
5002 호주 북한 수소탄 실험 성공 주장 톱뉴스 17.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