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해 전 홍콩 지인의 결혼식에 초대받아 가게 됐는데, 축의금을 하얀색 봉투에 담아 갔다가 입구에서 빨간색 봉투를 제공받아 급하게 바꿔서 냈던 기억이 난다. 그리고 필자는 저녁 파티만 초대받아서 갔는데, 신랑 신부는 새벽부터 여러 예식을 거치고 있던 터라 굉장히 피곤해한 것에 많이 놀랐던 기억도 있다. 홍콩에 아무리 오래 살았어도, 가족 중에 홍콩 사람이 없으면 이런 홍콩 문화는 알 방도가 없다. 그래서 오늘은 홍콩의 결혼 문화에 대해 준비해 봤다.
역사적으로 진나라 때에는 양측 모두 혼례를 기쁘게 여기지 않았다고 한다. 새로운 가족의 탄생이라는 의미보다는, 기존 가족의 해체, 그리고 양가 부모의 노화에 좀 더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조용히, 그리고 엄숙하게 치러졌다고 한다. 그러던 것이 한나라 시대부터 사회가 풍요로워지고 삶에 여유가 생기면서, 점차 결혼을 축하하는 문화가 생겼다고 한다. 전통적으로 빙례(聘禮)라고 하여 우리의 예단과 비슷한 문화가 있고, 친영례(親迎禮 chaan1 ying4 lei5)라는 우리의 함들이와 비슷한 문화도 있다. 가장(嫁妝 ga3 zhong1)이라고 하여 우리의 혼수와 같은 개념의 문화도 있는데, 여기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가장의 모든 재산권은 신부만이 독점적으로 행사했다는 점이다. 부와 명예를 많이 가진 자일수록 결혼식을 오래 했다는 점도 눈여겨 볼만하다. 왕의 결혼식은 보통 1년 정도, 황족의 결혼식은 6개월 정도 지속됐으며, 서민들도 보통 3일 정도 결혼식을 지속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고 한다. 요신방(鬧新房 laau6 san1 fong)이라고 하여, 하객들을 결혼한 신랑 신부의 방에 미리 들어가도록 해서 그 방의 악귀와 불운을 모두 쫓아버리는 의식도 있었다고 한다. 우리나라 못지않게 남아선호사상이 강한 홍콩에서는 사내아이를 낳지 못하면 쫓겨나는 경우도 다반사였기 때문에, 일부다처제가 암묵적으로 인정되었고, 1930년이 되어서야 일부일처제가 법으로 정해졌다고 한다.
이렇듯 우리와 비슷하면서도 조금은 다른 역사와 전통을 가진 홍콩의 결혼식을 지금부터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1. 혼례일 정하기 (擇日 zhaak3 yat2)
신부와 신랑의 생년월일에 따라 정해야 한다고 한다. 풍수사에게 부탁하기도 하지만, 요즘은 간단하게 달력을 보고 정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2. 과대례(過大禮 gwo3 daai6 lei5) 신랑이 신부네 가서 선물과 예금을 주는 날
혼례 약 두 달 전에 신랑이 처가댁에 가서 예물을 드리고, 정식으로 신부 부모님께 허락을 받는 예식이다. 예물은 번성과 행운을 상징한다. 신부 부모님이 금팔찌, 통돼지, 양주, 전통 과자, 과일, 보석, 현금 등으로 구성된 예물을 받으면, 이 혼인을 인정하고 허락하는 것이다. 이 때 신부 측에서도 신랑 측에 좋은 관계를 갖자는 의미로 답례하는데, 주로 받은 예물의 절반과, 신랑에게 주는 시계, 지갑 그리고 과일, 과자 등을 준다.
이와 별도로 신부 측에서는 혼수도 따로 준비해야 한다. 용과 봉황 자수가 있는 이불, 찻잔, 식기(자식을 빨리 낳으라는 의미), 빨간 우산(집 나갈 때 쓰라는 의미), 옷가지 등(잘 살라는 의미) 등이 있다. 이러한 절차가 모두 끝나야 비로소 청첩장을 돌릴 수 있다.
3. 안상 (安床 ngon1 cho:ng4)
결혼식 며칠 전에 새 침대를 준비한다. 팔자가 좋은 남자와 여자에게 침대를 신혼방으로 옮기도록 하고, 새 이불보(신부가 혼수로 준비)를 씌운 다음에 말린 대추, 연밥, 백합 등의 열매를 침대위에 놓는다. 그리고 어린 아이를 침대에서 뛰어 놀게 한다. (아이를 낳으라는 의미) 그 이후에는 결혼식이 끝날 때까지, 신랑 신부를 포함한 그 누구도 그 침대위에 앉거나 자면 안 된다.
4. 상두 (上頭 so:ng5 tau4)
결혼 전날 밤, 신랑 신부는 모두 각자의 집에 머물러야 한다. 개인적으로 만나면 안 된다. 그 날 밤에는 각자의 가족과 저녁을 함께 먹고, 모과잎을 담갔다가 뺀 물로 목욕하고(안 좋은 운을 씻겨준다), 전통 빨간 내복을 입는다. 팔자가 좋은 여인(주로 어머니)이 머리를 빗겨주는데, 이 때 덕담과 축복을 전한다. 그 다음에 원만한 혼인을 상징하는 탕원(湯圓)을 먹고 의식이 끝난다.
5. 접신랑(接新娘 zhip3 san1 lo:ng2, 出門 cho:t1 mun4)
신랑이 신부를 자기 집으로 데려가는 예식이다. 전통 친영례(親迎禮)와 윤신방(鬧新房)이 합쳐져,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예식이라고 볼 수 있다. 신랑과 신랑의 친구들이 신부의 친구들이 준비한 여러 과정을 통과해야 신부를 만날 수 있다. 원래 신부 집에서 해야 하지만, 신부 가족, 들러리, 촬영팀까지 있어서 호텔방에서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절차들이 끝나고 신부를 만난 신랑은, 신부에게 사랑의 맹세, 각서를 읽어주고 고백한 다음에, 신부와 함께 신부 부모님과 어르신들한테 차를 드린다. 어른들은 미리 준비한 빨간 봉투, 금수식, 용봉 팔찌를 준다.
모든 예식 후에 신부가 집을 나서는 것을 출문(出門 cho:t1 mun4)이라고 한다.
6. 결혼 예식
같은 날 저녁에는 호텔이나 중식당에서 결혼 예식을 한다. 가족이나 친한 친구가 아닌 하객들이 초대받는 행사가 바로 이것이다. 7시나 8시 정도에 시작해서 10시반이나 11시, 심지어는 자정에 가까운 시간까지 한다. 그날 낮에 있었던 모습을 동영상을 통해 하객들에게 보여 준다.
7. 삼조회문 (三朝回門 saam1 zhiu1 wui4 mun4)
신부가 결혼식 후 셋째 날에 신랑과 같이 친정집에 돌아가는 예식을 말한다. 신부 부모님은 결혼하고 처음 온 딸과 사위를 성대하게 맞는다. 하지만 요즘은 이 예식이 많이 간소화되어, 결혼 예식 전에 양가 부모님 댁에 짧게 다녀오는 것으로 대신한다고 한다.
이상으로 홍콩의 결혼식에 대해 알아봤는데, 여러 가지 행위와 도구에 많은 의미를 부여하여 예식이 진행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의미를 중시하기 때문에, 부모의 상 100일 이내인 사람은 참석하지 않는 것이 예의라고 한다. 참고로,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축의금에 대한 암묵적인 선이 정해져 있는데, 홍콩 결혼식의 축의금과 관련된 대략의 암묵적 선을 전달하며 글을 마칠까 한다. (이는 일인당 금액이며 지극히 주관적일 수 있으니, 참고만 하시기 바람.)
1) 결혼 예식 전 디저트 파티 참여시, 축의금 약 300-500HKD
2) 중식당 결혼 예식 참여시, 축의금 약 800-1,000HKD
3) 호텔 결혼 예식 참여시, 축의금 약 1,000-1,500HKD
광동어 한마디
A 恭喜曬呀!祝你哋白頭到老, 永結同心!결혼 축하드립니다. 오래오래 행복하게 사세요.
gung1 hei2 saai3 a3! zhuk1 nei5 dei6 baak3 tau4 dou3 lou5, wing2 git3 tung4 sam1!
B: 多謝你嚟我哋婚禮呀! 결혼식에 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Do1 zhe6 nei6 lai4 ngo5 dei6 fan1 lai5 a3!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