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매 1).jpg

지난 주말(15일) 경매에서 화제가 된 라벤더 베이(Lavender Bay) 소재 주택. 매물 주택이 극히 드문 지역으로, 이 주택은 잠정 가격에서 무려 121만 달러 높아진 671만 달러에 낙찰됐다.

 

라벤더 베이 소재 주택, 잠정가서 121만 달러 높아져

관계자들, “시장 바닥세 여전하지만 분명한 회복 조짐...” 진단

 

기준금리 인하와 부동산 관련 정책에 힘입어 부동산 시장 회복 조짐이 드러나는 가운데 주말 경매 또한 이전과는 확연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 주말(15일) 시드니 경매에서 화제가 된 주택 중 하나는 로워노스쇼어(lower North Shore)의 하버 사이드(Harbourside) 지역인 라번더 베이(Lavender Bay) 소재 주택으로, 잠정 가격에서 무려 121만 달러가 높아진 금액에 낙찰됐다.

40여년 만에 처음 매물로 나온 이 주택은 경매 리스트에 등록된 이후 예비 구매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으며, 이날 경매에서도 100여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12명이 입찰, 이를 입증했다.

시드니 하버(Sydney Harbour) 전망을 가진 베이 뷰 스트리트(Bay View Street) 상의 3개 침실 주택은 500만 달러에서 경매가 시작됐으며 입찰자들이 1만5천 달러, 1만 달러씩 가격을 제시하며 금세 잠정 가격인 550만 달러를 넘어섰다.

 

종합(경매 2).jpg

시드니 하버(Sydney Harbour) 전망을 가진 라벤더 베이 소재 주택. 이 주택은 지난 1977년 8만 달러에 거래됐으며, 이후 40여년 만에 시장에 나온 매물이었다.

 

이후 입찰자들 가운데 9명이 여전히 2만 달러씩 가격을 제시하다 점차 1만 달러씩 오른 끝에 671만 달러에서 낙찰이 이루어졌다. 이는 벤더(vendor)가 제시한 550만 달러에서 121만 달러가 오른 가격이었다.

기록에 따르면 이 주택이 마지막으로 거래된 것은 지난 1977년으로 당시 매매가는 8만 달러였다. 이 기간의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면 지금의 45만 달러 가치이다.

이 주택 매매를 맡은 부동산 회사 ‘Belle Property Neutral Bay’의 톰 스카피그나토(Tom Scarpignato) 에이전트는 “인스펙션 과정에서 6명의 예비 구매자가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지만 이보다 훨씬 많은 이들이 입찰했다”면서 “낙찰 결과 또한 기대를 크게 뛰어넘는 것이었다”고 만족해했다.

그는 이어 “애초 잠정 가격을 약간 상회하는 575만 달러 선에서 거래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면서 “베이 뷰 스트리트 상의 흔치 않는 매물이어서 큰 관심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이 주택은 건축설계 회사인 ‘Allen Jack+Cottier’에게 낙찰됐다.

373스퀘어미터 부지의 이 주택은 구매 후 재건축 하려는 예비 구매자들로부터 관심을 받았다. 라벤더 베이에서 이런 주택이 매물로 나오는 것은 극히 드문 일이다. 지난 2015년, 바로 이웃에 자리한 620스퀘어미터 부지의 5개 침실 주택은 985만 달러에 매매된 바 있다.

 

종합(경매 3).jpg

웨스트라이드(West Ryde), 린턴 애비뉴(Linton Avenue) 상의 3개 침실 주택에는 무려 32명이 입찰했으며, 잠정 가격에서 23만5천 달러 높아진 133만5천 달러의 낙찰가를 기록했다.

 

부동산 시장이 다시 살아나는 조짐을 보이면서 로워노스쇼어 지역 매물들은 경매에서 높은 낙찰가를 기록하고 있다. 2주 전 소유자가 사망하면서 시장에 나온 모스만(Mosman), 발모랄 애비뉴(Balmoral Avenue) 상의 주택은 잠정 가격에서 101만 달러 오른 금액에 거래된 바 있다.

부동산 정보회사 ‘도메인’(Domain)의 트렌트 윌트셔(Trent Wiltshire) 연구원은 “시드니 주말 경매 낙찰률이 1년여 만에 60% 대에 이르면서 시장이 살아나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이런 가운데서 특히 주택 가격이 비교적 높은 북부 지역에서는 종종 강한 경매 결과를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 부동산 시장은 지난 2017년 상반기에 비해 여전히 침체된 상황이며 주말 경매는 지난 10년간의 평균 매물에 비해 20%정도 낮은 수준이다.

이런 가운데서 지난 달 연방 선거를 계기로 주택 시장이 바닥을 찍었다는 게 대다수 부동산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스카피그나토 에이전트 또한 “경매시장 분위기가 바뀌었다”며 “주택 가격이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할 수는 없지만 구매자들에게 신뢰를 줄 만한 몇 가지 긍정적인 요소들이 있다”고 자신했다.

라벤더 베이이의 이 주택은 지난 주말 시드니에서 진행된 465채의 주택 중 하나였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593채에 비해 마물 수는 줄어든 수치이다.

시드니 북서부, 웨스트라이드(West Ryde)의 경매 매물 또한 좋은 낙찰 결과를 보였다. 린턴 애비뉴(Linton Avenue) 상에 위치한, 590스퀘어미터 부지의 3개 침실 주택에는 무려 32명이 입찰해 화제가 됐다.

110만 달러의 잠정 가격에 책정된 이 주택은 80만 달러에서 경매가 시작돼 50회 넘는 입찰가 제시가 이어졌으며, 133만5천 달러에서 거래가 됐다. 이는 잠정가에서 23만5천 달러 오른 금액이었다.

벤더인 트레버(Trevor)와 맥스 위트(Max Wheat)씨는 이 집에서 자란 어린 시절을회상하며 낙찰 결과에 만족해했다. 기록에 의하면 이 주택은 위트씨 형제의 부모가 지난 1964년 4,650파운드에 구매한 것이다.

 

종합(경매 4).jpg

홍콩 거주자에게 낙찰된 노스 본다이(North Bondi)의 4개 침실 주택. 낙찰가는 330만 달러로, 이는 잠정 가격에서 17만5천 달러 높아진 금액이다.

 

트레버씨는 “부모가 우리 형제에게 남겨준 것”이라며 “(이날 낙찰 결과에 대해) 돌아가신 부모도 기뻐할 것”이라고 말했다.

매매를 진행한 ‘Professionals Ermington’ 사의 폴 타슨(Paul Tassone) 에이전트는 “예상 외의 결과”라며 “바로 한 달 전, 이 주택 맞은편, 비슷한 조건의 매물이 101만 달러에 거래된 것에 비해 훨씬 높은 낙찰가”라고 말했다. 심지어 위트 형제의 이 주택은 건너편 주택 부지에 비해 더 작은 규모이다.

시드니 동부(eastern suburbs)에서는 사진작가 프루 루스코(Prue Ruscoe)씨의 4개 침실 주택이 17만5천 달러 높은 가격에 낙찰됐다.

노스 본다이(North Bondi)의 길간드라 로드(Gilgandra Road) 상에 자리한 이 매물은 290만 달러에서 경매가 시작됐으며 2명의 예비 구매자가 5만 달러씩 입찰가를 내놓는 등 공격적인 가격 제시 끝에 330만 달러에서 낙찰이 이루어졌다. 220스퀘어미터 부지의 이 주택은 홍콩 거주자에게 돌아갔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경매 1).jpg (File Size:108.4KB/Download:25)
  2. 종합(경매 2).jpg (File Size:89.3KB/Download:19)
  3. 종합(경매 3).jpg (File Size:104.7KB/Download:21)
  4. 종합(경매 4).jpg (File Size:92.5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401 뉴질랜드 퀸스타운 겨울축제 “6월 22일부터 시작” NZ코리아포.. 17.06.21.
5400 뉴질랜드 자신의 아이인 양 허위 서류 제출, 영주권자 징역형 선고받아 NZ코리아포.. 17.06.21.
5399 뉴질랜드 뉴질랜드 은행 이자율,오를 조짐 나타나 NZ코리아포.. 17.06.22.
5398 호주 겨울 시즌 경매 낙찰률, 2주 연속 70% 이하로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97 호주 크라운 그룹 ‘워터폴 아파트’, 하루 만에 최다 판매액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96 호주 온라인 쇼핑 강세 속 오프라인 소매업 전략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95 호주 결혼 전 최적의 연애 횟수도 컴퓨터로 계산할 수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94 호주 유니세프, “호주 교육 수준 맨 뒤에서 세 번째...”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93 호주 비시민권자 자녀, 10세 되어도 시민권 자동 부여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92 호주 호주 내 불법 체류자 6만4,600명, 한국인도 2천명 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91 호주 중국계 교육-정치계 개입, 고위 정치인으로 확산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90 호주 Six of the best luxury South Australian stays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89 호주 NSW budget 2017-18; ‘Winners and Losers’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88 호주 NSW budget 2017-18; 첫 주택구입자 세계혜택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87 뉴질랜드 퀸스타운 윈터 페스티벌, 한국 전통음식 큰 인기 끌어 NZ코리아포.. 17.06.26.
5386 뉴질랜드 낚시 중이던 아시아 출신 외국 관광객 익사 NZ코리아포.. 17.06.26.
5385 뉴질랜드 아메리카스컵 “14년 만에 다시 NZ로 돌아왔다 NZ코리아포.. 17.06.27.
5384 뉴질랜드 뉴질랜드인 18%, 독거 노인과 편부모 자립생활 등 어려움 느껴 NZ코리아포.. 17.06.28.
5383 뉴질랜드 뉴질랜드, 가정폭력으로 도움 요청하는 사람들 늘어 NZ코리아포.. 17.06.28.
5382 뉴질랜드 랜섬웨어 '패티야' 사이버 공격, 130개 국가 피해입어 NZ코리아포.. 17.06.29.
5381 호주 시드니 경매, 69.5% 집계... 3주 연속 낙찰률 70% 밑돌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5380 호주 호주 언론, “이민자 증가를 비난해서는 안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5379 호주 2억5천만 달러 투입, ‘피시마켓’ 새 계획안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5378 호주 세계 최대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가치, 56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5377 호주 Why do Americans and Brits drive on different sides of the road?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5376 호주 아마추어 사진가가 기록한 호주의 옛 철길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5375 호주 Census 2016- 퇴색되어가는 ‘Great Australian Dream’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5374 호주 Census 2016- 시드니 지역별 라이프스타일 차이 심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5373 호주 Census 2016- 고령화 가속, 민족적 다양성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5372 뉴질랜드 뉴질랜드 빌 잉글리쉬 총리, 미국 갑부 '피터 티엘' 시민권 부여 만족한다고 NZ코리아포.. 17.06.30.
5371 뉴질랜드 덜 익힌 육류, 어린이 4명 사망- 60명 급성 신부전 file NZ코리아포.. 17.06.30.
5370 뉴질랜드 운전면허 시험 통과, 그러나 35분만에 불합격 통지 NZ코리아포.. 17.07.03.
5369 뉴질랜드 해스팅스 연쇄 방화범 “잡고 보니 15세 청소년” NZ코리아포.. 17.07.03.
5368 뉴질랜드 백화점 진열대를 올라탄 승용차 NZ코리아포.. 17.07.05.
5367 뉴질랜드 뉴질랜드 노숙자,감옥 들어가기 위해 범죄 저지른다고... NZ코리아포.. 17.07.05.
5366 뉴질랜드 뉴질랜드 기름값, 다른 선진국 비교 가장 비싸 NZ코리아포.. 17.07.05.
5365 뉴질랜드 [KopoTV] 뉴질랜드에서 가장 긴 터널 워터뷰 터널 NZ코리아포.. 17.07.05.
5364 호주 ‘인지세 혜택 확대’, 시드니 부동산 시장 반영은 ‘아직’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63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5% 동결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62 호주 NSW 대법원장, “명예훼손 보상금 너무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61 호주 ‘NAPLAN’ 학력평가 출제기관, 사기업에 이관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60 호주 메디케어 개인정보 유출, 불법 사이트서 거래돼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59 호주 “광역시드니서 65만 달러 미만 주택 구입은 가능한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58 호주 ‘명문학군 쏠림’에 NSW 지역간 빈부격차도 심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57 호주 여행지 비용... 전 세계 가장 저렴한 비치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56 호주 ‘Best cities to visit in 2017’... 시드니, 두 번째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55 호주 노동조합, 계약직 고용자의 ‘정규직 전환’ 법안 요청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54 호주 호주인 가계자산, 최고 수준... ‘잘못된 부의 분배’ 경고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53 뉴질랜드 [포토뉴스] 팀 뉴질랜드 우승 환영 퍼레이드, 많은 시민들 기쁨 나눠 NZ코리아포.. 17.07.07.
5352 호주 턴불 총리 “호주, 미사일 방어 체계 구축할 것”…사드는 “부적합” 톱뉴스 17.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