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트럼프 재선 출정식, 26일 마이애미서 민주당 대선 후보 첫 토론회
 

donald.jpg
▲ 2016년 공화당 전국대회에 등장한 도널드 트럼프. <위키피디아 퍼블릭 도메인>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내년 11월 3일 미국 대선을 앞두고 18일 오후 8시 올랜도에서 트럼프의 재선 출정식이 열리는데 이어 마이애미에서는 26일과 27일 민주당 대선 후보 첫 토론회가 열린다. 양당이 미국 대선에서 최대의 경합주로 꼽히는 플로리다에서 한치의 양보도 허용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민주당전국위원회(DNC)는 13일 첫 토론회 참가자 20명을 확정 발표했다.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 나선 후보가 24명에 이르는 가운데 스티브 블록 몬태나 주지사, 세스 몰턴 연방 하원의원 등 4명이 탈락한 반면 지난달 뒤늦게 경선에 뛰어든 빌 더블라지오 뉴욕 시장은 이번 명단에 포함됐다.

민주당 대선후보 토론회 참가자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3개 여론조사에서 1% 이상 지지를 받거나, 미국내 50개 주 가운데 최소한 20개 주에서 각각 200명 이상, 전체 6만5천 명 이상으로부터 기부금을 받아야 한다.

이번에 탈락한 후보들 가운데 블록 주지사가 참가자 선정 조건에 불만을 나타내고 항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블록 주지사는 지난 1월 <워싱턴포스트>와 < ABC > 방송이 벌인 여론조사에서 1% 이상 지지를 받았으나, 민주당전국위원회(DNC)는 당시 조사가 후보 명단을 주고 지지 후보를 고르게 한 게 아니었다며 제외시켰다.

이틀에 걸쳐서 진행되는 민주당 토론회 첫날인 26일에는 코리 부커, 에이미 클로부처,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과 베토 오뤄크 전 하원의원, 훌리언 카스트로 전 주택도시개발부 장관 등이 나온다. 둘째 날인 27일에는 조 바이든 전 부통령, 버니 샌더스, 커스틴 질리브랜드, 카말라 해리스 연방 상원의원, 피트 부티지지 인디애나주 사우스벤드 시장이 나선다.

특히 둘째날 토론회에서 그동안 여론조사에서 지지율 1위 를 차지한 조 바이든 전 부통령과 그 뒤를 쫓은 샌더스 상원의원이 격돌하게 되어 관심을 끌고 있다.

대통령 선거 운동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행사라고 할 수 있는 대선후보 토론회는 TV로 전국에 생방송되기 때문에 토론회에서 눈에 띄게 잘하면 지지율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 트럼프도 2015년 6월에 처음 출마 선언을 했을 때는 대통령 당선은 물론, 공화당 후보 지명을 받을 가능성도 높지 않았다. 하지만 그해 8월 첫 토론회에서 거침없는 언사로 관심을 독차지하면서 지지율 기반을 다졌다.

당시 공화당 후보는 18명에 달했고, 민주당은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압도적인 우세를 보이면서 몇 명 안 되는 상황이었으나 이번에는 상황이 바뀌었다.

이번 대선에선 윌리엄 웰드 전 매사추세츠 주지사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도전장을 내밀었지만, 사실상 트럼프 대통령이 공화당 후보로 확정됐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민주당은 현재 20명이 넘는 후보가 난립하는 상황이다.

한편 이번 민주당 대선 후보 첫 토론회는 대부분의 후보가 선두주자인 바이든 전 부통령을 공격하고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오는 9월로 예정된 세 번째 토론회부터 참가 조건을 두 배로 강화할 계획인데, 여론조사 지지율 2% 이상에 기부자 13만 명 이상 확보 등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만 토론회 참가 자격이 주어진다.

민주당은 앞으로 전체 12차례 TV토론을 이어간다. 내년 2월3일 아이오와에서 예비 경선을 시작하고, 7월13~16일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전당대회를 열고 대선 후보를 지명한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137 캐나다 코로나19 본격화 전부터 관광산업 불안 징조 밴쿠버중앙일.. 20.03.26.
5136 캐나다 고용주, 직원 해고없이 무급휴가 조치 가능 밴쿠버중앙일.. 20.03.26.
5135 캐나다 주밴쿠버총영사관 건물 출입 통제 밴쿠버중앙일.. 20.03.26.
5134 캐나다 학교, 데이케어 무기한 휴교 - 16일부로 즉시 시행 CN드림 20.03.25.
5133 캐나다 실직, 격리 근로자에 대한 주정부 현금 지원 시행 file CN드림 20.03.25.
5132 캐나다 캘거리 시, 유틸리비 비용 3개월 납부 유예 - 4월~ 6월까지 시행, 페널티, 연체이자 없어 file CN드림 20.03.25.
5131 캐나다 밴쿠버 | 주정부 코로나19 손세정제 공급 늘린다 밴쿠버중앙일.. 20.03.24.
5130 캐나다 캐나다 | 올림픽 앞둔 일본에서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건가? 밴쿠버중앙일.. 20.03.24.
5129 캐나다 캐나다 | 20일 캐나다 코로나19 확진자 수 1000명 넘겨...세계 18위 밴쿠버중앙일.. 20.03.24.
5128 캐나다 앨버타주 실직, 격리 근로자에 대한 주정부 현금 지원 시행 CN드림 20.03.22.
5127 미국 올랜도 관광명소 ‘홀리 랜드’ 폐장 수순… 주상복합단지 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0.03.22.
5126 미국 플로리다 각급학교 봄방학 연기… 올랜도 테마공원들도 휴업 코리아위클리.. 20.03.22.
5125 미국 플로리다주 코로나19 확진자 17일 오후 143명 코리아위클리.. 20.03.22.
5124 미국 미국 코로나19, 17일 현재 사망자 99명-환자 5704명 코리아위클리.. 20.03.22.
5123 미국 ‘3월의 광란’ 대학농구 토너먼트도 취소 코리아위클리.. 20.03.22.
5122 미국 연준, ‘제로 금리’로 전격 금리인하 단행… 코로나19 충격파 코리아위클리.. 20.03.22.
5121 미국 방청객 없이 진행된 민주당 대선주자 양자 토론 코리아위클리.. 20.03.22.
5120 캐나다 코로나19에 트랜스링크 대중교통 이용 문제없나? 밴쿠버중앙일.. 20.03.18.
5119 캐나다 공항 입국 검역 까다롭게 밴쿠버중앙일.. 20.03.18.
5118 캐나다 17일 오전 9시 현재 코로나19 캐나다 사망자 5명으로 늘어 밴쿠버중앙일.. 20.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