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매 1).jpg

연방 선거 이후 시드니 경매 시장이 활기를 이어가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와 긍정적인 부동산 정책에 힘입어 주택 시장이 예비 구매자들의 신뢰를 얻고 있다는 분석이다. 사진은 지난 주말(22일) 클로벌리에서 거래된 3개 침실 주택. 이 매물은 잠정 가격에 28만5천 달러 높은 가격에 낙찰됐다.

 

낙찰가 오름세... 클로벌리 3개 침실 주택, 28만5천 달러 ↑

부동산 부양 정책 힘입어 예비 구매자들, 부동산 시장 신뢰

 

지난 달 연방 선거 이후 시드니 주말 경매의 낙찰 가격 오름세가 지속되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와 긍정적인 부동산 정책에 힘입어 주택 시장이 예비 구매자들의 신뢰를 얻고 있는 것이다.

지난 주말 화제가 된 주택 중 하나는 시드니 동부(eastern suburbs) 해안가의 작은 서버브(suburb)인 클로벌리(Clovelly) 소재 매물로, 바운더리 스트리트(Boundary Street) 상에 자리한 3개 침실의 이 주택은 재건축을 원하는 5인 가족이 잠정 가격보다 훨씬 높은 363만5천 달러를 지급했다.

40년 만에 처음 시장에 나온 이 주택은 354스퀘어미터의 작은 블록임에도 4명의 입찰자가 가격 경쟁을 펼쳤으며, 잠정 가격에서 28만5천 달러 높은 금액에서 낙찰이 결정됐다.

이 주택은 지난 주말 시드니 지역에서 진행된 443채의 매물 중 하나로, 이날 저녁 부동산 정보회사 ‘도메인’(Domain)에 결과가 접수된 252채의 낙찰률은 62.9%로 올 들어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290만 달러에서 시작된 이 주택 경매는 입찰 개시와 동시에 5만 달러씩 가격이 제시돼 금세 잠정 가격인 335만 달러를 넘어섰고, 이어 입찰자들의 제시 가격은 2만5천 달러, 1만 달러로 줄어들었지만 이 주택을 손에 넣으려는 예비 구매자들의 가격 제시가 이어져 363만5천 달러까지 치솟았다.

이 주택을 매물로 내놓은 존 불버트(John Bulbert)씨는 부모가 물려준 이 주택이 높은 가격에 거래돼 기쁘다는 반응이었다. 불버트씨의 부모는 지난 1979년 이 주택을 구입했으며, 당시 구매가는 5만8천 달러였다.

 

종합(경매 2).jpg

발메인(Balmain), 테임즈 스트리트(Thames Street) 상에 자리한 1960년대 코티지. 벤더가 제시한 잠정 가격에서 40만 달러 오른 315만 달러에 거래가 이루어졌다.

 

매매를 진행한 ‘Belle Property Bondi Junction’의 다니엘 길레스피(Daniel Gillespie) 에이전트는 “매우 강한 낙찰 결과”라며 “매물이 많지 않은 이 지역의 특성상 불버트씨의 주택은 예비 구매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주택 시장에 나오는 매물이 많지 않은 점이 높은 낙찰가를 끌어내고 있다”고 언급한 그는 “주택을 매매하려는 이들이 봄 시즌을 기다리고 있다”면서 “만약 당신이 벤더(vendor)라면 지금처럼 매물이 부족한 시기를 활용하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매를 맡은 쿨리 옥션(Cooley Auctions)의 앤드류 쿨리(Andrew Cooley) 경매사는 “연방 선거 후 시장에 대한 신뢰와 모기지 규제 완화,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로 주택을 매각하려는 많은 이들이 봄 시즌의 주택 시장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시드니 주말 경매 낙찰률이 증가했다는 것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는 그는 “올해 초반까지의 저조한 수치에 비해 지금은 최소 55% 이상, 60%의 낙찰 결과를 기록하고 있다”면서 “각 경매마다 최소 3명 이상의 입찰자가 나오는 등 예비 구매자들의 구매 의지가 높아졌음을 확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너웨스트(inner west)에서도 좋은 경매 결과를 보인 매물들이 많았다. 발메인(Balmain)의 테임즈 스트리트(Thames Street) 상에 자리한 1960년대 코티지 경매에는 무려 10명이 입찰해 가격 경쟁을 벌였으며 잠정 가격(275만 달러)에서 40만 달러 높은 315만 달러에 거래가 이루어졌다. 309스퀘어미터 부지의 이 주택이 마지막 거래된 것은 1998년으로, 당시 매매가는 70만 달러였다.

 

종합(경매 3).jpg

740스퀘어미터 부지의 로즈빌(Roseville) 소재 3개 침실 주택. 지난 2010년 104만 달러에 매매된 바 있는 이 주택은 지난 주말 경매에서 200만1천 달러의 낙찰 가격을 기록했다.

 

로워노스쇼어(lower north shore)의 채스우드(Chatswood) 소재 주택 또한 예비 구매자들로부터 경쟁을 끌어내 높은 낙찰가를 기록했다. 풀러 로드(Fullers Road)에 자리한 1041스퀘어미터 부지의 이 주택에는 5명이 입찰했다.

220만 달러에서 시작된 경매는 입찰자들이 5만 달러씩 가격을 제시하며 빠르게 245만 달러를 넘어섰고, 이후 낮은 입찰가 제시가 이어진 끝에 256만 달러에서 낙찰이 결정됐다. 이는 잠정 가격(235만 달러)에서 21만 달러 높아진 금액이었다.

매매를 맡은 ‘Tracy Yap Realty North Shore’의 프랜시스 장(Francis Zhang) 에이전트는 듀플렉스 주택을 새로 건축할 수 있다는 점에 예비 구매자들의 관심을 글었던 것으로 설명했다. 기록에 따르면 이 주택은 1999년 벤더가 61만 달러에 구매했다.

 

종합(경매 4).jpg

지난 1996년 29만9천 달러에 거래됐던 웨이버튼(Waverton) 소재 2개 침실 아파트. 지난 주말 경매에서의 낙찰 가격은 119만 달러였다.

 

채스우드 인근의 로즈빌(Roseville)에 있는 3개 침실 주택은 비슷한 시간, 200만1천 달러에 거래됐다. 바르쿠 스트리트(Barcoo Street)의 이 주택은 150만 달러에서 경매가 시작돼 5만 달러, 2만5천 달러씩 입찰가가 제시돼 금세 잠정 가격(175만 달러)를 넘어섰고 이어진 입찰자 경쟁 끝에 25만1천 달러 더 오른 가격에 낙찰이 이루어졌다.

740스퀘어미터 부지의 이 주택은 지난 2010년 마지막 거래됐으며, 당시 매매가는 104만 달러였다.

웨이버튼(Waverton) 소재, 웨이버튼 애비뉴(Waverton Avenue) 상의 2개 침실 아파트 경매에는 16명이 입찰했으며 119만 달러의 낙찰가를 기록했다. 이는 잠정 가격(107만 달러)에서 12만 달러 높은 가격이었다.

비교적 오래된 이 아파트가 마지막 거래된 것은 지난 1996년이며, 당시 매매가는 29만9천 달러였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경매 1).jpg (File Size:96.9KB/Download:28)
  2. 종합(경매 2).jpg (File Size:82.4KB/Download:22)
  3. 종합(경매 3).jpg (File Size:66.8KB/Download:23)
  4. 종합(경매 4).jpg (File Size:55.6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701 호주 NSW 주, 호주 내 경제 부분에서 ‘선두’ 달려 호주한국신문 14.05.01.
6700 호주 호주 내 마약 압수 및 사용자 체포 크게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5.01.
6699 호주 킹스크로스 유흥업소들, 도심으로 눈 돌려 호주한국신문 14.05.01.
6698 호주 NSW 주 강력한 법질서 정책으로 재소자 급증 호주한국신문 14.05.01.
6697 호주 호주 해군, 케냐 해안에서 1톤가량의 헤로인 압수 호주한국신문 14.05.01.
6696 호주 호주인들, “양부모 가족은 아이 성장에 필요” 호주한국신문 14.05.01.
6695 호주 시드니 부동산 경매 낙찰률, 4주 연속 80% 이하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5.08.
6694 호주 시드니 어퍼노스쇼어 지역, ‘100만 달러 클럽’ 진입 호주한국신문 14.05.08.
6693 호주 시드니한인회, ‘인종차별법 개정 반대’ 포럼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5.08.
6692 호주 평통, 북한의 현 정세와 한반도 주변 상황 분석 호주한국신문 14.05.08.
6691 호주 김봉현 대사, 서부 호주 광산개발 시찰 호주한국신문 14.05.08.
6690 호주 NSW 빅터 도미넬로 장관, ‘세월호 참사’ 희생자 애도 호주한국신문 14.05.08.
6689 호주 호주 두 젊은 재벌의 대낮 난투극은 미란다 커 때문? 호주한국신문 14.05.08.
6688 호주 경기회복 신호탄, 4개월 연속 구인광고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5.08.
6687 호주 호주 입국 난민 희망자들, 평균 대기기간 9개월 호주한국신문 14.05.08.
6686 호주 NSW 주 교통부 장관, ‘자전거 라이센스’ 도입 검토 호주한국신문 14.05.08.
6685 호주 사커루 핵심 수비수 루카스 닐, 월드컵 선발서 제외 호주한국신문 14.05.08.
6684 호주 Australian Teen Sex Survey... ‘섹스팅’, 청소년 교제의 한 형태로... 호주한국신문 14.05.08.
6683 뉴질랜드 선거 앞둔 국민당, 외국인 이민문호개방 역설 file 굿데이뉴질랜.. 14.05.09.
6682 뉴질랜드 작년 19,237명 혼인신고, 동성결혼도 146건이나 file 굿데이뉴질랜.. 14.05.09.
6681 뉴질랜드 2014 세계한민족축전 굿데이뉴질랜.. 14.05.09.
6680 호주 차고(Garage) 유무, 부동산 가격에 상당한 영향 호주한국신문 14.05.15.
6679 호주 강해연의 이유 있는 카타르시스 밀어들(20)- 44번 버스 호주한국신문 14.05.15.
6678 호주 호주인 선교사들이 남긴 한국의 근·현대 모습은... 호주한국신문 14.05.15.
6677 호주 재외공관 '출입국에 관한 사실증명서' 발급 서비스 시행 호주한국신문 14.05.15.
6676 호주 호주 구세군, 새 예산안에 심각한 우려 표시 호주한국신문 14.05.15.
6675 호주 전환기, 호주의 장애인 복지제도는... 호주한국신문 14.05.15.
6674 호주 마이클 커비, ‘북한인권조사위원회의 교훈’ 강의 호주한국신문 14.05.15.
6673 호주 재미한국학교 북가주협의회, ‘한국 역사 표준 교육과정’ 개발 호주한국신문 14.05.15.
6672 호주 어번 시티 도서관, “도서관 예산 감축 막아 달라” 호소 호주한국신문 14.05.15.
6671 호주 호주 월드컵 대표팀, 예비 엔트리(30명)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5.15.
6670 호주 경찰, 시드니 서부 일대 폭력조직 체포작전 전개 호주한국신문 14.05.15.
6669 호주 제임스 패커-데이빗 긴젤, 각 500달러 벌금 호주한국신문 14.05.15.
6668 호주 연방 경찰, NAB 직원에 자료 유출시킨 ABS 직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15.
6667 호주 결혼생활의 스트레스가 조기 사망 부를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5.15.
6666 호주 Budget 2014... 애보트, “세금 인상은 없을 것” 선거공약 파기 호주한국신문 14.05.15.
6665 호주 Budget 2014... 새로운 예산안이 미치는 부문별 영향은 호주한국신문 14.05.15.
6664 호주 Budget 2014... 애보트 정부, “국민 기만한 것” 호주한국신문 14.05.15.
6663 호주 동해안 지역, 대량의 수중메탄가스 저장발견 file 굿데이뉴질랜.. 14.05.17.
6662 호주 4월 주택 판매가는 상승, 거래량은 대폭 감소 file 굿데이뉴질랜.. 14.05.17.
6661 호주 Korean Food Show in Wellington file 굿데이뉴질랜.. 14.05.17.
6660 호주 에어뉴질랜드 항공기 납치범, 뉴질랜드 영주권 취득 사실 알려져 file 굿데이뉴질랜.. 14.05.22.
6659 호주 렌 브라운 “2021년까지 오클랜드 관광 소득 72억 달러로 끌어올리겠다” file 굿데이뉴질랜.. 14.05.22.
6658 호주 시드니 고급 부동산 시장, 거래량 증가로 가격 상승 호주한국신문 14.05.22.
6657 호주 한국 근•현대 사진전, ‘Korea: Then and Now’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5.22.
6656 호주 ‘북한인권주간’ 개막... 다양한 행사 펼쳐져 호주한국신문 14.05.22.
6655 호주 재외동포재단, 두 번째 사진 공모전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5.22.
6654 호주 구세군 ‘2014 레드쉴드 어필’ 모금운동 전개 호주한국신문 14.05.22.
6653 호주 대학생 수천 명 ‘예산안 반대’ 가두행진 벌여 호주한국신문 14.05.22.
6652 호주 애보트 정부의 초긴축 예산안, ‘지지율 급락’으로 호주한국신문 14.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