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은행 출현에 따른 경쟁력 확보

 

6.jpg

▲ 스탠다드 차타드는 8월 1일부터 요금을 폐지 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탠다드 차타드 은행은 8월 1일부터 소액 은행 예금자에게 부과되는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 제도를 폐지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가상 은행의 출현으로 금융업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면서 스탠다드 차타드 은행이 HSBC와 중국은행(홍콩)에 이어 시중 은행 중 3번째이다.

 

25일(화), 스탠다드 차타드는 성명서에서 “은행의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대중과의 약속을 보여주기 위해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를 폐지한다”고 밝혔다.

 

6월 19일, HSBC와 중국은행(홍콩) 또한 8월 1일부터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를 폐지할 것을 발표했다. 시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3대 은행이 더 이상 소액 예금주에게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게 된다. HSBC는 수수료 폐지로 약 3백만 명의 예금주들이 수혜를 볼 것으로 예측했다. HSBC의 자회사인 항생은행 또한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 폐지를 고려중이라고 밝혔다. 2001년부터 도입된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는 소액 예금자에게 벌금처럼 간주되어 부과되는 수수료이다.

 

스탠다드 차타드 은행은 1859년 홍콩에 설립되었으며 거래 규모가 20만 홍콩 달러 이하인 계좌 소유자에게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 명목으로 분기별 360 홍콩 달러를 청구했다. 이지 뱅킹(Easy Banking) 계좌 소유자의 경우, 1만 홍콩 달러 미만의 거래 규모일 때 분기별 180 홍콩 달러를 청구했다. 이밖에도 잔액이 1만 홍콩 달러 미만인 자에게 청구되던 월 100 홍콩 달러 수수료와 클릭 어 카운트(click-a-count) 계좌 소유자의 건당 20 홍콩 달러인 거래 수수료 제도도 폐지된다.

 

전문가들은 올해 4분기부터 가상 은행들의 운영이 시작되기 전 더 많은 시중 은행들이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 폐지 대열에 합류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3월 이후 총 8개의 가상 은행이 홍콩 중앙은행인 통화국(HKMA)으로부터 가상 은행 허가증을 발급받으면서 시중 은행으로 독점된 금융 산업 경쟁에 가세했다. 가상 은행은 오프라인 지점 없이 온라인으로만 운영된다. 또한 최소 잔액 유지를 위한 수수료 부과가 금지되어 있다.

 

홍콩 HKMA는 홍콩 3대 최대 은행 모두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를 비롯해 기타 은행 수수료를 폐지한 것에 대하여 환영의 입장을 보였다. HKMA는 “대중들이 수수료 폐지로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것이며, 모두에게 평등한 은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모건 스탠리의 아닐 아가왈(Anil Agarwal) 경제전문가는 “최근 HSBC를 시작으로 은행의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 폐지가 가상 은행 출현에 대한 압박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가상 은행 중 하나인 위랩(WeLeb)의 공동 설립자인 사이먼 룽(Simon Loong)씨는 HSBC와 기타 전통적 은행들의 최소 잔액 유지 수수료 폐지 대응에 대한 걱정이 없다고 전했다. 그는 “가상 은행과 전통적 일반 은행의 주요 차별성은 가상 은행은 낮은 비용 및 수수료와 고객 중심 서비스이다. 전통적 은행은 오프라인 지점과 텔레마케팅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가상 은행은 AI, 빅데이터 등과 같은 혁신 기술을 활용해 개인에게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고객에게 즐겁고 유익한 은행 서비스 경험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6.jpg (File Size:246.7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16 홍콩 '구급요원, 신호위반할 때마다 보고하라'? 홍콩타임스 16.04.29.
1515 홍콩 웡육만 입법회의원, 무죄 입증할 증거 제출해 홍콩타임스 16.04.29.
1514 홍콩 젊음의 거리 란콰이펑, 스트릿푸드 축제로 들썩 홍콩타임스 16.04.29.
1513 홍콩 홍콩-주하이-마카오 대교 인공섬 약 2.9미터 이동 홍콩타임스 16.04.29.
1512 홍콩 한국마사회, 홍콩 경마장에서 ‘Korean Night’행사 펼쳐 홍콩타임스 16.04.30.
1511 홍콩 비욘드클로젯, 홍콩 PMQ에서 팝업 스토어 오픈 홍콩타임스 16.04.30.
1510 홍콩 BBC 중국어판 본사 홍콩 이전 소식에 직원들 걱정 홍콩타임스 16.05.05.
1509 홍콩 터키 남성, 홍콩행 여객기서 귀중품 3억 원어치 도난당해 홍콩타임스 16.05.05.
1508 홍콩 작년 홍콩 세수 4% 감소 홍콩타임스 16.05.05.
1507 홍콩 세계 최고 하이킹 코스, 홍콩에도 있다 홍콩타임스 16.05.05.
1506 홍콩 관광공사, ‘Fly To Korea 캠페인’ 기자간담회 열어 홍콩타임스 16.05.07.
1505 홍콩 홍콩 주요 3개 대학, 전 세계 100대 대학에 이름 올려 홍콩타임스 16.05.07.
1504 홍콩 홍콩정부, 선전주민들 위한 복수비자 발급 재개할 계획 없어 홍콩타임스 16.05.07.
1503 홍콩 알리바바, 홍콩 신생 벤처 기업 3곳에 1억 홍콩달러 지원 홍콩타임스 16.05.12.
1502 홍콩 홍콩 란타우섬에서 상어 발견돼 화제 홍콩타임스 16.05.12.
1501 홍콩 구찌, 짝퉁 종이가방 사용금지령 내렸다가 사과 홍콩타임스 16.05.12.
1500 홍콩 홍콩 로또 '마크식스' 사상 최대 당첨금 홍콩타임스 16.05.12.
1499 홍콩 홍콩 소매업 매출액 1999년 이후 가장 낮아 홍콩타임스 16.05.12.
1498 중국 한국 유명배우들, 中 진출 준비 박차 홍콩타임스 16.05.19.
1497 홍콩 프랑스 맥주, 광고 문구 오타로 웃음거리 홍콩타임스 16.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