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2019 대양주 취업박람회).jpg

오는 8월9일 총영사관 및 코트라가 공동 개최하는 취업박람회가 개최된다. 사진은 2019 대양주 취업박람회 포스터

 

8월9일(금) 시내 힐튼호텔에서, 총영사관과 코트라 공동 주최

호주 및 한국 기업, 동포 기업 등 30개사 60여개 일자리 지원 접수중

 

주시드니총영사관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시드니 무역관이 한국 청년의 해외취업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공동 주최하는 ‘2019 대양주 취업박람회(2019 Korea-Australia Job Fair)가 오는 8월9일 (금) 시내 힐튼 시드니(Hilton Sydney) 호텔에서 개최된다.

주최 측에서 보내온 보도 자료에 따르면 올해로 7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취업박람회에는 회계법인 FINDEX와 같은 호주기업을 비롯하여 우리은행, 현대상선 등 호주에 진출한 한국기업들 및 해피텔, 스시베이 등 동포기업들, 그리고 한국관광공사, KOTRA와 같은 한국 공공기관 등 분야별 총 30개사가 참여하여 한인 인재들 채용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프로그램에는 구직자들을 대상으로 한 직접적인 면접 외에도 성공적인 호주 취업을 위한 정보 제공 세미나가 병행 개최되어, 최근에 개편/신설되고 있는 482, 지방, 워홀 등의 취업 관련 호주 비자제도 현황 및 취득 전략, 그리고 변호사/회계사와 같은 전문 직종 공략법 등에 대해 각계 전문가가 이날 행사장을 찾아 설명할 예정이라고 주최측은 밝혔다.

한편 멜버른 소재 구직자들을 위해 KOTRA 멜버른 무역관에서는 올해 시드니 지역보다 한 주 빠른 8월1일에 취업박람회를 멜버른 컨벤션 센터 (Melbourne Convention & Exhibition Centre)에서 개최한다. 이들 행사와 관련하여 시드니 및 멜버른 이외 지역 거주 구직자들을 위해서는 화상 면접 또한 가능하다는 것이 추최측의 설명이다. 시드니 지역 취직을 희망하는 시드니 이외 지역 거주 구직자는 시드니 취업박람회 행사 당일 (8월9일 금요일) KOTRA 멜버른 무역관 사무실 혹은 지역별 지정장소에서 화상면접에 임할 수 있다는 것이다.

‘2019 대양주 취업박람회’ 참여 희망 구직자는 7월31일(수)까지 신청접수가 가능하며, 호주뿐 아니라 세계 어느 나라에서라도 호주로 취업을 희망하는 한인 청년이라면 박람회 사이트(https://www.kotrajobfair.com.au/)를 통하여 참가를 신청할 수 있다.

 

행사 개요

- 일시/장소 : 2019년8월9일(금) 오전 9:30 – 오후 5시

- 장소 : Hilton Sydney Hotel, Level 2 (Stateroom, Room 3~4)

-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 https://www.kotrajobfair.com.au/

- 기타: google에서 ‘2019 대양주 취업박람회’ 검색 가능, 지원자 수에 따라 일부는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희망 구직자는 가급적 빠른 신청 권장

- 문의: 02-8233-4066/77, k-move@kotra.org.au

 

(총영사관 보도자료 정리)

 

  • |
  1. 종합(2019 대양주 취업박람회).jpg (File Size:51.2KB/Download:2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03 호주 NSW 공립학교 쇠퇴? 사립학교 등록 학생 증가 호주한국신문 15.02.12.
702 호주 캔터베리 카운슬, ‘통합’ 관련 주민의견 접수 호주한국신문 15.02.12.
701 호주 금연 보조 ‘전자담배’, 폐 면역력 악영향 호주한국신문 15.02.12.
700 호주 주 선거 앞두고 베어드 지지율 23%대 하락 호주한국신문 15.02.12.
699 호주 아스페르거 증후군 여성, 경찰 대치 중 총 맞고 사망 호주한국신문 15.02.12.
698 호주 ‘샘 해밍턴이 소개하는 안전한 호주 워킹홀리데이’ 호주한국신문 15.02.12.
697 호주 NSW 노동당, 한인 대상 ‘스몰 비즈니스 포럼’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2.12.
696 호주 제12대 재호주대한체육회, 정기총회 파행 호주한국신문 15.02.12.
695 호주 한국 중앙선관위, 재외선거 준비 돌입 호주한국신문 15.02.12.
694 호주 북 인권 개선 위한 동포 주관 NGO 출범 호주한국신문 15.02.12.
693 호주 중앙은행 금리인하, 투자대출 35% 증가 전망 호주한국신문 15.02.12.
692 호주 ‘The Water Diviner’와 ‘The Babadook’, 호주 최고 영화상 호주한국신문 15.02.05.
691 호주 중국 자산가의 호주 정계 후원금, 1년 사이 크게 늘어 호주한국신문 15.02.05.
690 호주 이집트 억류 호주인 그레스트 기자, 400여일 만에 귀국 호주한국신문 15.02.05.
689 호주 호주 팀 카이힐, 중국 ‘상하이 선화’ 팀으로 이적 호주한국신문 15.02.05.
688 호주 네산 키스틴씨, 어번 카운슬 ‘올해의 시민상’에 호주한국신문 15.02.05.
687 호주 경전차 차고에서 녹슬던 시드니 마지막 전차 ‘부활’ 호주한국신문 15.02.05.
686 호주 계속되는 자유-국민 연립의 인기도 하락 호주한국신문 15.02.05.
685 호주 호주 유권자들, 토니 애보트 현 수상 ‘외면’ 호주한국신문 15.02.05.
684 호주 인질극 당일의 현장 상황은... 호주한국신문 1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