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Budj Bim 1).jpg

고대 원주민 유적으로 호주의 20번째 세계유산(World Heritage)에 등재된 ‘부즈 빔 유적지’(Budj Bim Cultural Landscape). 빅토리아(Victoria) 남서부, 포틀랜드(Portland) 지역에 자리한 이 유적은 원주민 ‘군디츠마라’(Gunditjmara) 부족이 6천600년 전에 만든 장어 양식장이다.

 

빅토리아 남서부 포틀랜드 인근 ‘Budj Bim Cultural Landscape’

6,600년 전 ‘Gunditjmara’ 부족이 돌을 이용해 만든 장어 양식장

 

원주민 고대 유적지가 호주에 또 하나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World Heritage) 목록을 안겨주었다. 세계유산위원회(WHC)는 지난 토요일(6일, 현지 시각)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Baku, Azerbaijan)에서 진행된 올해 제43차 회의에서 빅토리아(Victoria) 주 남서부 포틀랜드(Portland) 지역에 자리한 원주민 고대 유적지인 ‘부즈 빔 유적지’(Budj Bim Cultural Landscape)를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했다.

이로써 호주는 20번째 유네스코 지정의 자연 및 문화유산을 갖게 되며, 호주가 보유한 이 리스트 가운데 토착민의 문화적 가치를 가진 유적으로는 첫 번째 장소가 됐다.

유엔의 ‘세계유산위원회’는 1년에 한 차례 회의를 통해 예비로 등록된 리스트를 검토, 지정 여부를 결정한다. 앞서 연방 정부는 지난 2017년 1월 콘다 호수(Lake Condah) 주변에 있는 ‘부즈 빔 유적지’를 호주의 ‘세계문화유산 예비 목록’(World Heritage Tentative List)으로 유네스코에 제출한 바 있다(본지 2017년 1월25일자 보도). 세계유산위원회의 심사를 위해 최소한 12개월 전 예비 목록에 올려야 하기 때문이다.

‘군디츠마라’(Gunditjmara) 부족은 수천 년 동안 콘다 호수와 주변 습지대를 삶의 터전으로 삼아온 이들로, 약 6천600년 전, 콘다 호수의 장어를 잡기 위해 연못을 조성하고 돌을 이용해 장어가 들어오는 정교한 길목을 만들었다. 이는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양식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이 부족이 살았던 돌 거주지에는 잡은 장어를 보존하고자 했던 증거가 남아 있으며 장어를 훈제로 만들고자 했던 나무들도 확인된 바 있다.

6천600년 전이면, 영국의 스톤헨지(Stonehenge), 이집트의 여러 피라미드(Pyramid)에 앞서 만들어졌음을 뜻한다. 결국 ‘부즈 빔’ 유적지는 호주 원주민들이 유목 생활을 했고 농업에는 종사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기존의 학설을 뒤집는 증거이기도 하다.

 

종합(Budj Bim 2).jpg

포틀랜드 지역에서 수천 년 살아온 ‘군디츠마라’(Gunditjmara) 부족은 이곳의 콘다 호수(Lake Condah. 사진)를 기반으로 장어를 잡아 살았으며, 이 호수 주변에 돌을 이용한 장어잡이 시설 및 양식장을 조성했다.

 

종합(Budj Bim 3).jpg

‘부즈 빔 유적지’가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기까지는 오랜 시간 동안 이 지역을 지키고 보호해 온 군디츠마라 부족 후손들의 노력이 있었다. ‘군디츠마라’(Gunditjmara) 부족의 후손으로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노력해 온 ‘Gunditj Mirring Traditional Owners Aboriginal Corporation’의 프로젝트 매니저 데니스 로즈(Denis Rose)씨.

 

세계문화유산 등재까지...

“길고 의미 있는 작업”

 

‘부즈 빔 유적지’가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기까지는 오랜 시간 동안 이 지역을 지키고 보호해 온 군디츠마라 부족 후손들의 노력이 있었다.

전통적으로 이 지역에서 거주해 왔으며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노력해 온 ‘Gunditj Mirring Traditional Owners Aboriginal Corporation’의 프로젝트 매니저 데니스 로즈(Denis Rose)씨는 “유네스코의 인정을 받기까지 긴 여정이었지만 가치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부즈 빔 유적지를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기 위한 계획은 2002년 시작됐다. 그는 “많은 증거를 바탕으로 등재 가능성을 확신했고, 오랜 시간 끝내 마침내 유네스코의 인정을 받게 됐다”며 기쁨을 표했다.

로즈 매니저는 이번 문화유산 등재 의미에 대해 △군디츠마라 부족의 지혜가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았으며 △부즈 빔 유적지 보호가 강화되었고 △이곳의 관광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는 것 등 세 가지 효과를 꼽았다.

그는 “일단 특정 지역이 유네스코의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는 경우 여행자들의 발길이 크게 늘어나게 된다”고 말했다.

세계유산위원회의 이번 결정 직후 빅토리아 주 정부는 발 빠르게 부지 빔 유적지의 방문객을 위해 여행자 정보센터(visitor centre) 및 주요 시설을 위해 800만 달러를 배정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지역을 관할하는 지방정부 ‘Glenelg Shire’의 애니타 랭크(Anita Rank) 시장은 “세계유산 등재는 우리 지역 전체에도 많은 혜택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은 이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방문해 오랜 역사 유적을 보게 될 것”이라며 “관광 측면에서도 중요하지만 이곳의 문화-역사적 요소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것은 큰 의미”라고 덧붙였다.

 

종합(Budj Bim 4).jpg

‘Gunditj Mirring Traditional Owners Aboriginal Corporation’의 다미안 벨(Damein Bell. 왼쪽) 의장이 빅토리아 주 원주민부 나탈리 허친스(Natalie Hutchins) 장관에서 부지 빔 유적지를 설명하고 있다.

 

종합(Budj Bim 5).jpg

선조들이 만들어놓은 장어잡이 시스템을 설명하는 ‘Gunditj Mirring Traditional Owners Aboriginal Corporation’의 데니스 로즈(Denis Rose) 프로젝트 매니저.

 

종합(Budj Bim 6).jpg

‘부즈 빔 유적지’(Budj Bim Cultural Landscape)를 방문한 이들이 고대 원주민 유적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호주의 20번째 세계유산

 

유네스코의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는 것은 탁월하고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았음을 뜻한다.

호주는 퀸즐랜드 동부 해안의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Great Barrier Reef), 북부 호주(Northern Territory) 소재 ‘카카두’(Kakadu National Park), ‘울룰루’(Uluru-Kata Tjuta National Park), 리버슬리(Riversleigh, 퀸즐랜드 주)-나라쿠테(Naracoorte-남부 호주 주)의 ‘Australian Fossil Mammal Sites’를 비롯해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Sydney Opera House), 멜번의 ‘Royal Exhibition Building’ 및 ‘Carlton Gardens’ 등의 문화 명소에 걸쳐 19개의 세계유산을 갖고 있다.

로즈 매니저는 “피라미드, 스톤헨지(Stonehenge), 아크로폴리스(Acropolis)와 같은 수준의 가치 있는 고대 유적지를 갖고 있다는 것이 더없이 자랑스럽다”는 말도 덧붙였다.

로즈 매니저는 이어 “이곳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이 거대하고 정교한 시스템이 6천600년 전에 만들어졌음’을 강조한다”면서 “오늘날 존재하는 많은 유적들 가운데 이보다 오래된 것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종합(Budj Bim 7).png

군디츠마라 부족이 수천 년 터를 잡고 살아온 곳 콘다 호수(Lake Condah)는 ‘Budj Bim National Park’ 지역에 자리해 있다.

 

 

  • |
  1. 종합(Budj Bim 1).jpg (File Size:117.1KB/Download:28)
  2. 종합(Budj Bim 2).jpg (File Size:55.6KB/Download:29)
  3. 종합(Budj Bim 3).jpg (File Size:100.6KB/Download:31)
  4. 종합(Budj Bim 4).jpg (File Size:59.2KB/Download:28)
  5. 종합(Budj Bim 5).jpg (File Size:94.3KB/Download:26)
  6. 종합(Budj Bim 6).jpg (File Size:59.4KB/Download:25)
  7. 종합(Budj Bim 7).png (File Size:107.2KB/Download:2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651 호주 호주 크리켓의 전설 돈 브래드먼의 배트, 6만 달러에 호주한국신문 14.05.22.
6650 호주 NSW 정부, 연방 예산감축으로 병실 축소 불가피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9 호주 배우자 이민 프로그램, 인신매매 수단으로 악용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8 호주 머레이강, 지난 10년간 최다 익사사고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7 호주 NATSEM, “이번 예산안은 ‘공정-고통분담’과는 거리 멀어”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6 호주 와해된 아시리아계 폭력조직 ‘Dlasthr’는...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5 뉴질랜드 [Voice of Community - 굿데이신문 교민 설문조사 결과] 굿데이뉴질랜.. 14.05.23.
6644 뉴질랜드 한눈에 보는 '2014 NZ정부 예산안' file 굿데이뉴질랜.. 14.05.23.
6643 호주 시드니 부동산 경매 낙찰률, 79.3%로 다시 반등 호주한국신문 14.05.29.
6642 호주 카나본 골프클럽서 선보이는 한국 현대미술 호주한국신문 14.05.29.
6641 호주 총영사관, ‘찾아가는 범죄예방 홍보 활동’ 전개 호주한국신문 14.05.29.
6640 호주 ‘인보케어’사, 한인 추모공원 조성 계획‘ 설명회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9 호주 ‘2014 캠시 푸드 페스티벌’, 금주 토요일(31일)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8 호주 시드니, 2031년까지 1인 가구 비율 크게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7 호주 ‘2015 AFC 아시안컵 대회’ 티켓 판매 시작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6 호주 시드니 도심 ‘달링스퀘어’ 재개발 건설 계획 승인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5 호주 호주인 행복지수, 전 세계 국가 중 18번째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4 호주 테드 베일류 전 VIC 수상, “결혼지참금 금지” 촉구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3 호주 실업수당 수령자들, ‘생존’ 문제 절박하다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2 호주 호주 남성, 마약소지 협의로 인도네시아서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1 호주 가짜 경찰, 10대 소녀 성추행 및 절도 행각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0 호주 경찰 불명예... 전 수사관 살인혐의로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9 호주 시드니 도심 유흥업소 대상 주류 판매 규정 ‘강화’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8 호주 호주 비만율 급증, 지난 33년간 80% 늘어나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7 호주 “정부의 200억 달러 의료연구 기금은 과장된 것”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6 호주 본다이 정션 아파트, 분양 4시간 만에 완판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5 호주 대한민국 금속공예 조성준 명장, 시드니서 전시회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4 호주 재외동포재단, 인터넷 사이트 ‘한상넷’ 보완 개편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3 호주 한국문화원, ‘캠시 푸드 페스티벌’ 주역으로 참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2 호주 2013년 APSA 최고배우 선정 이병헌, 뒤늦게 수상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1 호주 ATO, ‘분기별 사업활동 보고서’ 빠른 제출 당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0 호주 케언즈 순회영사 및 한인 워홀러 안전 강좌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9 호주 시드니 한인회 접수 가능 민원업무 재공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8 호주 5월 시드니 주택가격 1.1% 하락, 08년 12월 이후 최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7 호주 대학 졸업생 6만5천명, 졸업 후 구직 힘들 듯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6 호주 시드니 교통체증, 주중 최악의 하루는 '수요일'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5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2.5%) 유지 결정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4 호주 시드니 유흥가 폭력 줄고 가정폭력은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3 호주 NSW 주 수상, 의료 목적의 마리화나 사용 검토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2 호주 시드니 여성, 200만 달러 온라인 데이트 사기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1 호주 2022 카타르 월드컵 유치 부정 의혹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0 호주 가정폭력 관련, 경찰의 현장 처리권한 강화 호주한국신문 14.06.05.
6609 호주 Queen's Birthday 연휴 불구, 경매 낙찰률 73.3%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8 호주 NSW 스토너 부수상, “한인 사업자 지원에 최선 다할 것”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7 호주 한국문화원, QLD 광산도시서 한국문화 선보여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6 호주 “한국 주류매체, 평통 호주협의회 활동상 조명”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5 호주 2014 브라질 월드컵 새벽 4시 개막식, 6시 개막전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4 호주 C20 정상회담, 20-21일 멜번대학에서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3 호주 킹스크로스 유흥업소들, 오늘(13일)부터 ID 스캔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2 호주 연방 정부, 휴면 계좌 3억6천만 달러 정부로 귀속 호주한국신문 14.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