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Budj Bim 1).jpg

고대 원주민 유적으로 호주의 20번째 세계유산(World Heritage)에 등재된 ‘부즈 빔 유적지’(Budj Bim Cultural Landscape). 빅토리아(Victoria) 남서부, 포틀랜드(Portland) 지역에 자리한 이 유적은 원주민 ‘군디츠마라’(Gunditjmara) 부족이 6천600년 전에 만든 장어 양식장이다.

 

빅토리아 남서부 포틀랜드 인근 ‘Budj Bim Cultural Landscape’

6,600년 전 ‘Gunditjmara’ 부족이 돌을 이용해 만든 장어 양식장

 

원주민 고대 유적지가 호주에 또 하나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World Heritage) 목록을 안겨주었다. 세계유산위원회(WHC)는 지난 토요일(6일, 현지 시각)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Baku, Azerbaijan)에서 진행된 올해 제43차 회의에서 빅토리아(Victoria) 주 남서부 포틀랜드(Portland) 지역에 자리한 원주민 고대 유적지인 ‘부즈 빔 유적지’(Budj Bim Cultural Landscape)를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했다.

이로써 호주는 20번째 유네스코 지정의 자연 및 문화유산을 갖게 되며, 호주가 보유한 이 리스트 가운데 토착민의 문화적 가치를 가진 유적으로는 첫 번째 장소가 됐다.

유엔의 ‘세계유산위원회’는 1년에 한 차례 회의를 통해 예비로 등록된 리스트를 검토, 지정 여부를 결정한다. 앞서 연방 정부는 지난 2017년 1월 콘다 호수(Lake Condah) 주변에 있는 ‘부즈 빔 유적지’를 호주의 ‘세계문화유산 예비 목록’(World Heritage Tentative List)으로 유네스코에 제출한 바 있다(본지 2017년 1월25일자 보도). 세계유산위원회의 심사를 위해 최소한 12개월 전 예비 목록에 올려야 하기 때문이다.

‘군디츠마라’(Gunditjmara) 부족은 수천 년 동안 콘다 호수와 주변 습지대를 삶의 터전으로 삼아온 이들로, 약 6천600년 전, 콘다 호수의 장어를 잡기 위해 연못을 조성하고 돌을 이용해 장어가 들어오는 정교한 길목을 만들었다. 이는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양식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이 부족이 살았던 돌 거주지에는 잡은 장어를 보존하고자 했던 증거가 남아 있으며 장어를 훈제로 만들고자 했던 나무들도 확인된 바 있다.

6천600년 전이면, 영국의 스톤헨지(Stonehenge), 이집트의 여러 피라미드(Pyramid)에 앞서 만들어졌음을 뜻한다. 결국 ‘부즈 빔’ 유적지는 호주 원주민들이 유목 생활을 했고 농업에는 종사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기존의 학설을 뒤집는 증거이기도 하다.

 

종합(Budj Bim 2).jpg

포틀랜드 지역에서 수천 년 살아온 ‘군디츠마라’(Gunditjmara) 부족은 이곳의 콘다 호수(Lake Condah. 사진)를 기반으로 장어를 잡아 살았으며, 이 호수 주변에 돌을 이용한 장어잡이 시설 및 양식장을 조성했다.

 

종합(Budj Bim 3).jpg

‘부즈 빔 유적지’가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기까지는 오랜 시간 동안 이 지역을 지키고 보호해 온 군디츠마라 부족 후손들의 노력이 있었다. ‘군디츠마라’(Gunditjmara) 부족의 후손으로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노력해 온 ‘Gunditj Mirring Traditional Owners Aboriginal Corporation’의 프로젝트 매니저 데니스 로즈(Denis Rose)씨.

 

세계문화유산 등재까지...

“길고 의미 있는 작업”

 

‘부즈 빔 유적지’가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기까지는 오랜 시간 동안 이 지역을 지키고 보호해 온 군디츠마라 부족 후손들의 노력이 있었다.

전통적으로 이 지역에서 거주해 왔으며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노력해 온 ‘Gunditj Mirring Traditional Owners Aboriginal Corporation’의 프로젝트 매니저 데니스 로즈(Denis Rose)씨는 “유네스코의 인정을 받기까지 긴 여정이었지만 가치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부즈 빔 유적지를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기 위한 계획은 2002년 시작됐다. 그는 “많은 증거를 바탕으로 등재 가능성을 확신했고, 오랜 시간 끝내 마침내 유네스코의 인정을 받게 됐다”며 기쁨을 표했다.

로즈 매니저는 이번 문화유산 등재 의미에 대해 △군디츠마라 부족의 지혜가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았으며 △부즈 빔 유적지 보호가 강화되었고 △이곳의 관광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는 것 등 세 가지 효과를 꼽았다.

그는 “일단 특정 지역이 유네스코의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는 경우 여행자들의 발길이 크게 늘어나게 된다”고 말했다.

세계유산위원회의 이번 결정 직후 빅토리아 주 정부는 발 빠르게 부지 빔 유적지의 방문객을 위해 여행자 정보센터(visitor centre) 및 주요 시설을 위해 800만 달러를 배정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지역을 관할하는 지방정부 ‘Glenelg Shire’의 애니타 랭크(Anita Rank) 시장은 “세계유산 등재는 우리 지역 전체에도 많은 혜택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은 이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방문해 오랜 역사 유적을 보게 될 것”이라며 “관광 측면에서도 중요하지만 이곳의 문화-역사적 요소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것은 큰 의미”라고 덧붙였다.

 

종합(Budj Bim 4).jpg

‘Gunditj Mirring Traditional Owners Aboriginal Corporation’의 다미안 벨(Damein Bell. 왼쪽) 의장이 빅토리아 주 원주민부 나탈리 허친스(Natalie Hutchins) 장관에서 부지 빔 유적지를 설명하고 있다.

 

종합(Budj Bim 5).jpg

선조들이 만들어놓은 장어잡이 시스템을 설명하는 ‘Gunditj Mirring Traditional Owners Aboriginal Corporation’의 데니스 로즈(Denis Rose) 프로젝트 매니저.

 

종합(Budj Bim 6).jpg

‘부즈 빔 유적지’(Budj Bim Cultural Landscape)를 방문한 이들이 고대 원주민 유적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호주의 20번째 세계유산

 

유네스코의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는 것은 탁월하고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았음을 뜻한다.

호주는 퀸즐랜드 동부 해안의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Great Barrier Reef), 북부 호주(Northern Territory) 소재 ‘카카두’(Kakadu National Park), ‘울룰루’(Uluru-Kata Tjuta National Park), 리버슬리(Riversleigh, 퀸즐랜드 주)-나라쿠테(Naracoorte-남부 호주 주)의 ‘Australian Fossil Mammal Sites’를 비롯해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Sydney Opera House), 멜번의 ‘Royal Exhibition Building’ 및 ‘Carlton Gardens’ 등의 문화 명소에 걸쳐 19개의 세계유산을 갖고 있다.

로즈 매니저는 “피라미드, 스톤헨지(Stonehenge), 아크로폴리스(Acropolis)와 같은 수준의 가치 있는 고대 유적지를 갖고 있다는 것이 더없이 자랑스럽다”는 말도 덧붙였다.

로즈 매니저는 이어 “이곳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이 거대하고 정교한 시스템이 6천600년 전에 만들어졌음’을 강조한다”면서 “오늘날 존재하는 많은 유적들 가운데 이보다 오래된 것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종합(Budj Bim 7).png

군디츠마라 부족이 수천 년 터를 잡고 살아온 곳 콘다 호수(Lake Condah)는 ‘Budj Bim National Park’ 지역에 자리해 있다.

 

 

  • |
  1. 종합(Budj Bim 1).jpg (File Size:117.1KB/Download:28)
  2. 종합(Budj Bim 2).jpg (File Size:55.6KB/Download:29)
  3. 종합(Budj Bim 3).jpg (File Size:100.6KB/Download:31)
  4. 종합(Budj Bim 4).jpg (File Size:59.2KB/Download:28)
  5. 종합(Budj Bim 5).jpg (File Size:94.3KB/Download:26)
  6. 종합(Budj Bim 6).jpg (File Size:59.4KB/Download:25)
  7. 종합(Budj Bim 7).png (File Size:107.2KB/Download:2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351 호주 호주 전체 근로자 거의 절반, 부채에 ‘허덕’... 정신건강 전문가들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350 호주 호주 전역의 캐러밴 여행자들, 현지 투어리스트 파크에 발 묶여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6349 호주 호주 전역에서 주택 임대료 상승... 일부 지역, 최대 50%↑ file 호주한국신문 21.07.15.
6348 호주 호주 전역 주택가격 상승... 70만 달러 대 구입 가능한 곳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2.
6347 호주 호주 전역 부동산의 36%, 임대보다 구입이 저렴...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6346 호주 호주 전역 도시의 여름, 겨울 비해 두 배 길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6345 호주 호주 전역 대도시 주택가격 오름세 보이지만... 상승 속도는 더디게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6344 호주 호주 전 지역서 주택 거래에 소요되는 기간, 크게 짧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6343 호주 호주 전 산업 부문에서 성별 임금격차 ‘뚜렷’... 해결 위한 조치는?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342 호주 호주 저명 학자, “중국 정부로부터 침묵 강요당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6341 호주 호주 작가 플레러 맥도널드, “미국 ‘Books3’가 작품 내용 도용” 제기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6340 호주 호주 자동차 제조업 붕괴로 20만 개 일자리 사라져 호주한국신문 14.04.17.
6339 호주 호주 입국 난민 희망자들, 평균 대기기간 9개월 호주한국신문 14.05.08.
6338 호주 호주 임대주택 시장, 높은 수요 비해 공급은 제자리... 임차인 ‘고통’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6337 호주 호주 임금 성장률 20년만에 최저치 기록 톱뉴스 17.09.13.
6336 호주 호주 임금 상승률, 물가 상승률 ‘간발차’ 추월 톱뉴스 18.03.01.
6335 호주 호주 일자리 호황 속 ‘안정적 실업률’ 이어져... RBA의 이자율 인상 ‘압력’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6334 호주 호주 일자리 붐, 주인공은 여성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6333 호주 호주 일자리 도심 편중... “출퇴근 문제 심각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25.
6332 호주 호주 인구증가율, 선진국 가운데 최고... 과연 사실인가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6331 호주 호주 인구시계... 중간 연령 37세로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330 호주 호주 인구성장률 감소 불구, 지속적인 주택가격 상승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6329 호주 호주 인구, 역사적 이정표... 8월 초 2천500만 명 넘어설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6328 호주 호주 인구 진단- 인프라 상황 file 호주한국신문 18.03.15.
6327 호주 호주 인구 진단- 고령화 진입 file 호주한국신문 18.03.15.
6326 호주 호주 인구 빠르게 늘어, 16일 새벽 2400만 명 돌파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325 호주 호주 이민자, 10년 만에 최저... 연 해외 유입 10%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6324 호주 호주 이민자 지방분산정책, 영주 이민자 수 감소 초래 톱뉴스 19.09.10.
6323 호주 호주 이민부, 글로벌 우수 인재 5천명에게 영주권 부여 톱뉴스 19.08.20.
6322 호주 호주 의학계 "시드니 대기 오염, ‘공중 보건 비상 사태’" 강력 경고 톱뉴스 19.12.17.
6321 호주 호주 의약품 규제당국, COVID-19 예방치료제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6320 호주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 화이자 COVID-19 백신 추가접종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6319 호주 호주 의사단체, ‘설탕세’(Sugar Tax) 도입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11.17.
6318 호주 호주 의료계, '신종 코로나' 사망 원인은 급성 폐렴! 치료시기가 가장 중요… 호주브레이크.. 20.02.08.
6317 호주 호주 의대생, “의대 입학 정원 축소하라” 톱뉴스 17.09.08.
6316 호주 호주 응급실에서 주목받는 ‘침술’ 톱뉴스 17.07.14.
6315 호주 호주 음악치료사의 ‘Every Little Cell’, 지구촌으로 퍼져나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6314 호주 호주 육상 영웅, 베티 커스버트 사망... 79세로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
6313 호주 호주 육상 ‘올림픽 금메달 소녀’ 베티 커스버트 별세…향년 78세 톱뉴스 17.08.11.
6312 호주 호주 육군 장성 출신 데이빗 헐리, 차기 호주 총독 지명 file 호주한국신문 18.12.19.
6311 호주 호주 유일 ‘이중언어’ 학교 캠시초등, 내년도 유치원생 모집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310 호주 호주 유엔인권이사국 진출… “북한인권 유린 실태 부각시킬 것” 톱뉴스 17.10.19.
6309 호주 호주 유아용 조제분유서 유해물질 검출 톱뉴스 17.07.10.
6308 호주 호주 유권자들, 세금인상 우려해 연립 여당 지지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307 호주 호주 유권자들 표심, 집권여당보다 ‘개인 집중’ 드러내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6306 호주 호주 유권자 46%, “무슬림 이민자 수용 제한 원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6305 호주 호주 유권자 2/3 동성결혼 우편투표 참여 톱뉴스 17.10.30.
6304 호주 호주 월드컵 대표팀, 예비 엔트리(30명)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5.15.
» 호주 호주 원주민의 고대 양식장,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 file 호주한국신문 19.07.11.
6302 호주 호주 원주민들의 성역, 울룰루만 있는 게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