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41437bf77db0861e9746ae938610f9_1452904568_6.jpg

밀렵꾼이나, 인근 주민 및 도로 운전자에 의해 2015년 한 해 사망한 그리즐리베어가 전년도 19마리에서 큰 폭으로 증가한 28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작년의 이러한 수치는 그리즐리베어 보호책을 마련중인 주 정부의 10년 통계자료에 따른 연간 19마리보다 훨씬 많은 수치이다. 앨버타 환경 및 공원청 육식동물 전문가 폴 프레임 씨는 “앨버타에 서식하는 그리즐리베어의 전체 숫자를 감안할 때 인적 원인(human-caused)에 의한 사망 건수를 최소화하려는 우리의 노력은 어느 정도 성공적”이라며, “문제는 불법적 밀렵이다. 이를 막기 위한 교육과 법집행을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때 앨버타에 서식하는 그리즐리베어가 700마리뿐이라는 보고가 있은 후 멸종 위기에 대한 경각심이 고조되었으나, 그 후 이어진 연구에서 그 실제 숫자는 증가해오고 있다. 2006년도에는 사냥을 금지하는 등 인적 원인에 의한 사망 건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규제가 엄격하게 적용되었다. 그러나 사냥 금지령이 발효된 상황에서도 매년 19마리가 목숨을 잃어, 10년 새 총 190마리가 사망했다. 

 

작년에 사망한 28마리 가운데 7마리는 자동차에 치였고, 최소한 8마리는 불법으로 밀렵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 밖에 3마리는 자기방위 차원에서 사살했으며, 한 마리는 관계 당국에 의해 안락사 처리되었다. 또한 그외 3마리는 야생동물관리 요원에 의해 문제를 일으키는 야생동물로 지목돼 사살되었으며, 2마리는 합법적 사냥, 4마리는 원인불명으로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야생동물 보호론자들은 2015년 한 해 사망한 그리즐리베어의 숫자가 몹시 실망스러운 수준이라며, 그리즐리베어 서식 지역에서 교통 도로를 줄이는 등의 조치를 통해 사전에 사고 예방에 힘썼다면 사망 건수를 많이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 전문가는 “도로에서 (충돌사고로) 많은 그리즐리베어가 사망하고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며, “이러한 측면에서 그리즐리베어 보호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과거 보수당 정부에도 그리즐리베어 서식 지역에서 자동차 도로 및 트레일의 분포 밀도를 제한하는 방안이 논의되었다”며, “현 정부에서는 실제 행동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사진: 캘거리헤럴드)

 

  • |
  1. 0141437bf77db0861e9746ae938610f9_1452904568_6.jpg (File Size:150.3KB/Download:6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077 캐나다 보수당 주수상들 스탬피드로 불러 모은 케니 주수상 file CN드림 19.07.16.
5076 캐나다 스탬피드 첫날 입장객, 역대 최대 기록 file CN드림 19.07.16.
5075 캐나다 BC주 광견병 감염으로 사망자 발생 밴쿠버중앙일.. 19.07.17.
5074 캐나다 노스로드 한인타운 인근 아파트단지 차량강탈 사건 밴쿠버중앙일.. 19.07.17.
5073 캐나다 부동산 경제 | 6월 BC주 주택거래 전년대비 감소 밴쿠버중앙일.. 19.07.17.
5072 캐나다 농식품 관련 이민자 적극 받아들이겠다 밴쿠버중앙일.. 19.07.18.
5071 캐나다 SFU인근 등산로 19세 여성 성추행 피해 밴쿠버중앙일.. 19.07.18.
5070 캐나다 임창정 콘서트-밴쿠버 한인의 행복지수를 한껏 올린 무대 밴쿠버중앙일.. 19.07.18.
5069 캐나다 캐나다인 중국에 대한 감정 점차 악화 밴쿠버중앙일.. 19.07.19.
5068 캐나다 6월 소비자물가 전년대비 2% 상승 밴쿠버중앙일.. 19.07.19.
5067 캐나다 주정부, 밴쿠버-시애틀 고속철 지속 추진 의지 밝혀 밴쿠버중앙일.. 19.07.19.
5066 미국 폼페이오 “北이 새 구상 제시하면 美도 상응조치” 뉴스로_USA 19.07.19.
5065 캐나다 한인문화의 날 준비 척척 밴쿠버중앙일.. 19.07.20.
5064 캐나다 5월 BC 실업급여 수급자 전달 대비 감소 밴쿠버중앙일.. 19.07.20.
5063 캐나다 밴쿠버 2베드룸 렌트하려면 시급 35달러 이상 되야 밴쿠버중앙일.. 19.07.20.
5062 미국 “대북제재 조기해제 가능성 없어” 러 UN대사 file 뉴스로_USA 19.07.20.
5061 캐나다 BC 정부 15억 달러 예산 흑자 밴쿠버중앙일.. 19.07.23.
5060 캐나다 27일 인도를 시작으로 밴쿠버 여름불꽃 경연 밴쿠버중앙일.. 19.07.23.
5059 캐나다 한국전통음악과 재즈의 조화-블랙스트링 밴쿠버중앙일.. 19.07.23.
5058 캐나다 국내 자유무역 강조한 케니 주수상, “당근과 채찍 전술” file CN드림 19.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