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지 않는 전쟁 독립을 위한 도전.png

 

자기 민족의 생명을 희생하고, 피를 흘리며, 지성을 충분히 이용하는 것-독립은 길고 어려운 투쟁의 결과로서 국가와 국민의 가장 귀중한 자산이다. 지난 100년간의 몽골 역사는 그것이 얼마나 많은 노력으로 얻었는지 그리고 이 귀중한 자산에 얼마나 많은 희생이 필요했는지를 증명한다. 독립을 최종 목표로 하여, 큰 투쟁은 20세기 몽골의 역사를 정의한다.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건 중 하나는 80년 전 최동부에서 벌어진 할힌골 전투다.
이 역사적인 사건은 전쟁이었을까, 전투였을까, 아니면 단지 국경 분쟁이었을까? 비록 정확한 수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연구원이 제공한 통계에서 볼 때, 일본측과 만주국은 300기 이상 전투기, 탱크 182대, 대포 500대, 기관총 304기를 가진 7만 6천 명의 병사를 거느리고 들어왔다. 몽골과 구소련의 측면에 대해서는 1.5배 더 많은 병사를 거느리고 맞섰고, 비행기 1.6배, 전차 4배, 대포 2배, 기관총 1.7배로 양측의 병사는 모두 20만 명에 육박했다.
전투는 주로 현재의 몽골 동부 국경 부근의 폭 약20km, 길이 60~70km의 지역에서 일어났는데, 당시 양측의 합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또한 넘럭 강 유역(현재는 PRC의 일부)을 따라 일어났다.
4년 동안 계속된 국경분쟁이 있었던 시기 - 4개국(몽골, 소련, 일본, 만주국)의 군대가 개입된 이 역사적인 사건은 국경분쟁이나 단순한 분쟁으로 간주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전투 앞서 말한 통계는 전쟁과 같은 차원에서 일어났다는 명백한 증거다. 더욱이 국경 분쟁, 전투는 한쪽이 승리하는 결과를 가져오지 않지만, 승자를 낳은 대규모 화력 분쟁은 전쟁으로 간주한다. 이 전쟁을 하는 동안 몽골 사람들은 소련과 협력하여 침략자들을 물리칠 수 있었고, 독립을 강화했다. 그것은 2차 세계대전의 직접적인 시작이었다.
세계의 구석구석에는 무수한 갈등이 일어나고 있었다. 그러나 모든 갈등의 핵심에서는 주로 국가들 사이의 오해와 이해충돌의 실현된 형태였기 때문에 어느 대륙에서 어느 나라에 일어났는지는 중요하지 않았다. 할힌골 전투의 원인도 마찬가지였다. 세계 국가들이 세계 대전의 발발을 확인하면서 적대적 태도를 보이기 시작한 기간 동안, 강대국들은 화기와 무기 제조에 더 많은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아시아에서의 영향력이 증대하면서, 일본은 1931년 동북쪽에서 중국을 침공하여 1932년 만주국을 세웠다. 그 결과 몽골은 소련, 중국과 함께 군사력을 갖춘 새로운 이웃 국가를 갖게 되었다.
당시의 상황을 생각해 보면 전쟁의 원인은 두 국가의 지정학적 경쟁,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들의 세력 영역을 보호하고 더 연장하기 위한 그들의 지역 정책이었다. 그리고 그 변명은 몽골 인민 공화국과 일본의 지원을 받아 성립된 만주국 사이의 정의되지 않은 국경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동북아시아로의 침공으로 일본은 약 4000km의 지역에서 소련과 국경을 접하기 시작했다. 이 지역은 아르군, 아무르, 우즈리 강과 같은 "자연적인" 경계선을 가지고 있었고, 경계는 비교적 이해하기 쉬웠다. 몽골과 만주국의 경우 자연적인 국경이 없었고, 할흐와 바르가 몽골인들의 생활 방식 때문에 국경이 정의되지 않았다.
할흐족과 바르가족 은 청나라 시대에 정의되었던 종전의 국경을 가지고 있었지만, 가뭄이나 조드와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자주 국경 사이를 이동했다. 바르가족은 보통 할하스 땅에 정착했고, 실제로는 국경 지역이 쌍방이 공동 소유였다. 따라서 일본 정부는 관둥군에게 만주국-몽골 국경을 효과적으로 정의하라고 지시했다. 일본의 한 연구원에 따르면, 일본 측은 유목민의 국경 원칙을 이해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할흐강은 자연적인 국경으로 정의되어야 했기 때문에 몽골과 만주국의 경계선이 되었다.
이 때문에 양측은 1934년 5월부터 1939년 5월까지 끊임없이 서로를 비난하며 국경분쟁을 벌인 사례가 많았다. 일본 측과 만주국은 할흐강의 물줄기를 국경으로 간주하고 있는 반면, 몽골 측에서는 이 경계선을 강에서 노몬한, 버드오루까지 동쪽에 있는 지역으로 여겼다. 그 결과 몽골 국경군이 국경 검문을 위해 할흐강을 건넜고, 강 주변에 일본군과 만주국군 병사가 보일 때마다 양측은 이를 무단 침입으로 간주해 갈등을 빚었다.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1935년부터 몽골과 만주국 간의 협상과 대화가 진행되어 사태가 악화하지 않도록 하기 시작했다. 몽골과 만주국 모두 이 상황에 대해 냉철한 태도를 보였기 때문에, 그들은 합의를 통해 국경 분쟁을 스스로 해결하기를 바랐다. 그러나 회담의 열기가 뜨거울 때 몽골과 만주국 대표단(모두 몽골인)의 우두머리들이 상대편과 범 몽골주의자들의 간첩 활동으로 끊임없이 의심을 받아 처형당했다. 이리하여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전쟁으로 번지지 않게 하려는 몽골인들의 소망은 실패로 돌아갔고, 소련과 일본 사이에 지역분쟁이 일어나자 국경분쟁을 핑계로 즉시 할힌골 전투가 시작되었다.
1934년에 시작된 간간이 벌어진 국경분쟁이 결국 커져서 1939년 5월 11일부터 9월 16일까지 벌어진 할킨골 전투가 되었다. 연구원들은 이 전투를 연대순서에 따라 세 단계로 나누어 고려한다.
1단계 만주국의 군대와 함께 일본 천황의 제23 보병여단 병력이 몽골 영토에 깊숙이 침입했다. 침략 당시 몽골군의 기마 소대는 단 한 부대였다. 따라서 상호원조 협정에 따라 몽골에 배치되었던 소련군 병사들은 즉시 노몬한 부르드 오루, 부이르호, 할흐강 근처로 이동하여 일본군과 만주국의 제1공격의 진격을 저지하였다. 그러자 몽골과 소련의 병사들은 반격을 가했고, 5월 29일까지 일본군과 만주국군을 몽골에서 몰아내 1차 전쟁의 종말을 맞았다.
2단계 몽골과 소련군을 척결하고 할흐강 서쪽 강가에 자리를 굳히기 위한 첫 공격보다 여러 배의 무기와 병사를 갖추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7월 2일 바얀타가산맥에서 완패했다.
3단계 병력을 늘린 일본과 만주국은 8월 초까지 다시 공격을 시도했다. 몽골과 소련군은 공격을 중단한 채 8월 20일 공습을 지원하면서 반격에 나섰고, 8월 23일 일본군과 만주국을 차례로 점령하고 8월 28일 이들을 완파했다. 그런 다음 8월 31일까지 군대를 강에서 동쪽으로 밀어내고 노몬한과 버드오푸로 갔다.
패전을 거듭한 일본군과 만주국은 그 후 9월 12일 만주르-카일라 철도 사거리에서 약 20km 떨어진 마력산(할크와 누름강 근처에 위치) 부근의 강 동쪽 해안을 점령했다. 며칠 뒤인 9월 15일 모스크바에서 일본과 소련 사이에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로 인해 9월 16일 오후 2시에 모든 전쟁작전이 중단되어 몽골과 소련 측은 마력산 지역을 되찾기 위한 반격을 할 수 없게 되었다. 몽골은 훗날 중국 영토의 일부가 된 누름강 동쪽 해안과 마력산 지역을 일본, 만주국에 빼앗긴 것은 실로 비극이었다.
우리 사회의 이전 시대에는 몽골에서 할힌골 전투에 관한 수많은 이야기와 책이 출판되어 우리 시민들에게 강력한 애국정신을 점화시켰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 우리 시민들은 어떤 불합리한 "흔들림"에 얽매이지 않고 열린 마음으로 문제에 접근하도록 배운 것은 대단한 일이다. 그러나 주요 역사적 사건들의 과대 선전으로 유의미하게 위협적인 태평성대가 나타났다. 그러한 태도는 우리나라와 그 역사의 청렴성을 해치고 있는 어조를 낳았고, 나아가 어떤 경우에는 우리의 독립에 대한 역사적 이야기를 무시하는 결과를 낳았다. 할힌골 전투는 끈질긴 몽골인들에게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또 다른 도전이었다. 우리가 잃은 땅과 두 강대국의 대립적인 전선에서 무기를 들고 그들끼리 싸운 용감한 군인들의 삶은 한 국가로서의 독립을 대가로 지불된 무거운 대가였다. 우리의 독립은 몽골 민족의 분열, 많은 젊은이의 불행한 죽음, 유혈사태, 아무런 후회도 채우지 못할 광대한 국토의 상실, 그리고 우리가 소비한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값진 이유이다.
[montsame 2019.08.13.]
몽골한국신문 편집인

  • |
  1. 원하지 않는 전쟁 독립을 위한 도전.png (File Size:703.4KB/Download:2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880 몽골 추가 투표에 대한 투표율 문턱은 없어 file 몽골한국신문 21.10.12.
8879 몽골 국가비상대책위원회와 울란바타르시 특별 위원회의 활동을 병합하지 않고 조정 file 몽골한국신문 21.10.12.
8878 몽골 십억 그루의 나무 심기는 정치적인 쇼인 것인가, 경제적인 것인가, 아니면 생태학적 프로젝트인가? file 몽골한국신문 21.10.12.
8877 몽골 지난 하루동안 PCR 검사로 모두 1,348명의 새로운 감염이 확인되었고 14명이 사망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10.11.
8876 몽골 한국의 불법 체류자들은 COVID-19 백신 접종을 받고 자진해서 귀국 요청하면 벌금을 물지 않을 것 file 몽골한국신문 21.10.11.
8875 몽골 재·보궐 선거, 부재자 투표 추가 실시 file 몽골한국신문 21.10.11.
8874 몽골 어제 하루 동안 PCR 검사로 총 2,068명의 새로운 감염이 확인되었고, 17명이 사망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10.11.
8873 몽골 외교사절단 '십억 그루 나무 심기' 운동에 합류 file 몽골한국신문 21.10.11.
8872 몽골 지난 하루 동안 PCR 검사 결과 1,665명이 새로 감염되었으며, 15명이 사망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10.11.
8871 몽골 수년 동안 사용하지 않았던 토지 소유권을 취소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10.11.
8870 몽골 재감염된 사람은 16,000명이며, 알파 변이에 감염된 사람이 델타 변이에도 감염될 수 있어 file 몽골한국신문 21.10.11.
8869 몽골 시민들은 10월 29일까지 울란바타르 개발을 위한 마스터플랜 초안에 대한 의견을 요청받아 file 몽골한국신문 21.10.11.
8868 몽골 S.Bayar 전 총리, 하지 않고, 말하지 않고, 감히 하지 않은 것을 후회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10.11.
8867 몽골 항체 역가는 백신 2회 접종 후 14일째에 가장 뚜렷 file 몽골한국신문 21.10.11.
8866 몽골 지난 24시간 동안, 2,410명의 새로운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13명이 사망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8.
8865 몽골 몽골은 영국 관광 '적색 목록'에서 제외된 국가 중 하나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8.
8864 몽골 가정에서 발생하는 COVID-19 사망은 고려할 수 없어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8.
8863 몽골 총리의 '유산'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8.
8862 몽골 첫 9개월 동안, 41,500대의 자동차와 21,400대의 트럭을 수입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8.
8861 몽골 석탄 수출은 2020년보다 40% 감소했지만 원유 수출은 56% 증가 file 몽골한국신문 21.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