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해외 결제량 감소-홍콩 시위·무역전쟁 여파로 결제량 감소

 

8.png

▲ 국제 결제에서 위안의 점유율이 6월 1.99%에서 7월 1.81%로 떨어졌고 캐나다 달러는 6번째로 많이 사용되었다. (사진=scmp)

 

미중 무역전쟁, 홍콩 반정부 시위로 인하여 글로벌 무역거래량이 감소하고 중국 정부의 위안화 가치 절상 조치를 실시하면서 지난 7월 전세계 결제량이 2018년 10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감소했다.

 

글로벌 금융 메시징 서비스 기업 네트워크 스위프트(Swift)에 따르면, 지난 7월 위안화의 해외 결제가 6월의 1.99%에서 1.81%로 하락하면서 해외 결제가 가장 많은 국가 통화 중 7위를 기록했다. 반면 미국 달러와 유로가 각각 전세계 해외 결제의 40%와 34%를 차지하고 있으며, 영국 파운드, 일본 엔화가 그 뒤를 이었다.

 

홍콩은 역외 위안화 결제 센터로, 홍콩 내 또는 홍콩을 통해 결제되는 역외 위안화 결제의 4분의 3을 차지하고 있다. 7월 중국 위안화 결제 중 홍콩이 75%, 영국 5.6%, 싱가포르 3.5%를 차지했다. 그러나 반정부 시위와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되면서 위안화를 국제 통화로 도약시키려는 중국 정부의 계획에 차질이 생기고 있다고 전문가들이 말하고 있다.

 

시아 레(Xie Le) BBVA 은행 경제학 전문가는 “홍콩 시위가 현지 경제, 특히 소매와 관광 산업에 큰 타격을 입히고 있다. 해당 산업들이 중국 관광객들로부터 위안화 결제를 제일 많이 받는 산업이다. 중국 관광객들이 홍콩을 찾지 않으면서 위안화 결제가 줄어들었다. 홍콩은 세계 어느 도시보다도 위안화 결제량 점유율이 높은 만큼 홍콩의 불안은 위안화 결제량에 큰 타격을 입힐 것이다”고 말했다.

 

미중 무역전쟁이 시작되면서 위안화가 약세를 보여 6월 말 기준 홍콩 내 위안화 예금은 6,040억 위안(840억 미 달러)까지 감소했다. 작년 3월 미중 무역전쟁이 시작된 이래 미국 관세의 여파를 상쇄하기 위해 중국 정부는 위안화를 미 달러 대비 약 15%까지 가치 절상했다. 지난 29일(목) 기준, 위안화 환율은 미 달러당 7.1705 위안으로 11년래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시아 레 전문가는 “위안화가 달러 당 7위안 선을 넘어서면서 글로벌 결제에서의 위안화 결제량이 계속 줄어들 것이다. 미중 무역전쟁이 지속되면서 위안화 가치는 더욱 하락할 것이며 위안화 투자 및 소비 심리를 크게 위축시킬 것이다”고 전망했다.

 

스텐다드차타드 은행은 미 정부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 조치에 따라 중국 정부는 위안화 가치를 더욱 하락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스텐다드차타드는 위안화 환율이 2019년 말 당초 예상했던 미 달러당 6.86에서 7.23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SEB 마켓(SEB Markets)은 미국 관세 여파를 상쇄하기 위해서 올해 말까지 위안화가 7.8 전후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캐리 리(Carie Li) OCBC 은행 경제학 전문가는 “미중 무역전쟁이 세계 2대 경제체재 간의 무역 흐름을 둔화시키면서 국경 간 위안화 결제에 큰 타격을 입히고 있다. 중국 무역 감소로 위안화의 해외 결제가 급감하면서 중국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위안화의 국제화에 큰 차질이 생기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위안화 가치 하락으로 위안화 자산에 대한 외국인 수요도 크게 줄어들고 있다고 덧붙였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8.png (File Size:799.8KB/Download:2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96 홍콩 겨울 이상 기후로 크리스마스 연말 경기 실종 file 홍콩수요저널 15.12.18.
1595 홍콩 홍콩 여성 재벌 수 증가 file 홍콩수요저널 16.01.05.
1594 홍콩 홍콩 연말 경기 소폭 개선 file 홍콩수요저널 16.01.05.
1593 중국 홍콩 부동산 시장 침체에도 오피스 임대료 하락않는 이유 file 홍콩수요저널 16.01.05.
1592 홍콩 외국여권 소지 홍콩시민에게도 중국법 적용 file 홍콩수요저널 16.01.11.
1591 홍콩 중국 금서 출판 사업자, 2013년 한해동안 15억원 벌어 file 홍콩수요저널 16.01.11.
1590 홍콩 '인기 낮은' 렁춘잉 홍콩 행정장관, 차기 대권 출마 시사 file 홍콩수요저널 16.01.19.
1589 홍콩 중국 당국 개입한 홍콩 시민 납치 사건 이전에도 있어 file 홍콩수요저널 16.01.19.
1588 홍콩 홍콩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는? "평당 5억 5천만원" 홍콩타임스 16.01.19.
1587 홍콩 1월 강수량 52년 만에 최고 홍콩타임스 16.01.19.
1586 홍콩 홍콩정부, '무상 유치원' 계획 발표 홍콩타임스 16.01.19.
1585 홍콩 홍콩 필리핀 가정부, "고용주가 중국에 데려가 일 시켜" 홍콩타임스 16.01.19.
1584 대만 쯔위 대만 국기 논란, 中 거센 반발 계속돼 홍콩타임스 16.01.21.
1583 홍콩 홍콩달러, 4년 만에 최저수준까지 폭락 홍콩타임스 16.01.21.
1582 홍콩 '쯔위 사태' 홍콩 현지 분위기는? 홍콩타임스 16.01.21.
1581 홍콩 '중국 비판 서적' 관련 실종사건 항의집회 열려 홍콩타임스 16.01.21.
1580 홍콩 다음 주 기온 '뚝', 홍콩에 눈이 올까? 홍콩타임스 16.01.21.
1579 중국 중국 인구 13억 7000만 명, 남자가 여자보다 3000만 명 더 많아 홍콩타임스 16.01.21.
1578 홍콩 홍콩 통화국, 미달러 페그제 고수 ‘天命’ file 홍콩수요저널 16.01.25.
1577 홍콩 세계가 한파에 몸살, 홍콩도 연일 최저 기록 경신 file 홍콩수요저널 16.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