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절수조치2).jpg

시드니에서는 현재 절수조치가 시행중이다. 차량이나 건물을 호스로 세척할 수는 있지만, 꼭 분무기나 고압 세척기가 장착된 호스를 사용해야 한다.

 

 

9월1일 부터 적발시 과태료 부과 가능... 개인 $220, 사업체 $550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가뭄 때문에 현재 시드니를 포함한 NSW 전 지역에서는 지난 6월1일 부터 1단계 절수 조치가 시행중이다.

시드니에 물을 공급하는 댐 수위는 1940년대 이래 최저 수치를 기록하고 있고, 기상청에서는 여전히 건조하고 높은 기후에 적은 강우량을 예상하고 있는 상황이다.

시드니 수도 당국(Sydney Water)에 따르면 광역 시드니는 물 공급량의 85% 이상을 비에 의존하고 있으며, 가뭄이 지속될 경우 물이 충분히 공급될 수 없어 절수 조치가 내려지게 된다. 이 조치는 시드니, 블루 마운틴, 일라와라 지역의 모든 주민들에게 적용되며, 가정과 사업체 모두를 포함한다.

지난 3개월간의 유예기간이 끝나 이제 9월1일 부터는 조치를 어길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개인 $220, 사업체 $550). 이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을 위해 1단계 절수 조치의 세부 사항을 수도 당국의 보도 자료를 통해 자세히 소개한다. [편집자 주]

 

잔디와 정원에 물주기

- 물뿌리개 또는 양동이를 이용해 물을 준다. 스프링클러나 관수 시스템은 사용할 수 없다.

- 오전 10시 이전 또는 오후 4시 이후, 분무기가 장착된 호스를 손으로 들고 물을 준다. 호스나 수도꼭지의 물을 틀어 놓고 방치하면 안된다.

- 점적관수 시스템 사용은 가능함

- 관수 시스템은 (1) 날씨별 자동 급수 조절, (2)빗방울 감지센서, (3)토양 수분 감지센서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 새 잔디를 깔았을 경우에는 일주일 동안 물을 줄 수 있다. (단 잔디 판매처의 지시사항을 따라야 함)

 

차와 건물 청소

- 양동이, 손 분무기 호스, 고압 세척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손 분무기 또는 고압 세척기가 장착되지 않은 호스는 사용할 수 없다.

- 또한 호스나 수도꼭지의 물을 틀어 놓고 방치하면 안 된다.

- 쓰레기통이나 쓰레기통 세척 구역은 손 분무기 호스 또는 고압 세척기를 이용해 청소한다.

- 보트 엔진 청소 , 배 바닥 또는 보트 트레일러의 브레이크/바퀴와 같은 주요 안전장치들은 손 분무기 호스나 고압 세척기를 이용해 청소한다.

 

수영장과 스파 욕조에 물 채우기

- 증발된 물을 채우기 위해 기존의 수영장과 스파 욕조에 물을 보충할 수 있

- 1만 리터 미만 규모의 신설 또는 새로 수리한 수영장은 허가 없이도 물을 채울 수 있다.

- 그러나 1만 리터 보다 큰 규모의 신설 또는 새로 수리한 수영장/스파 욕조는 수영장 덮개가 있어야 하고, 또 수영장 판매처의 허가 없이 물을 채울 수 없다.

 

땅바닥 청소(길 또는 차고 앞 진입로)

- 건강이나 안전상의 문제가 있을 경우, 또는 비상시에만, 손 분무기 호스나 고압 세척기를 이용해 더러운 부분에 한해 세척할 수 있다.

- 길, 차고 앞 진입로, 포장된 땅바닥을 청소할 때 호스를 사용할 수 없다

- 호스나 수도꼭지의 물을 틀어 놓고 방치하면 안 된다.

 

종합(절수조치1).jpg

사진은 광역 시드니 및 불루마운틴 지역 3백7십만명 이상의 주민들에게 물을 공급하는 주요 상수원 와라감바 댐(Warragamba Dam)의 모습(유튜브 영상 캡쳐).

 

절수 조치에 포함되지 않는 것들은?

 

▶ 절수 조치에서 제외된 물의 종류

- 재활용수 (보라색 관을 통해 일부 시드니 지역에 공급됨)

- 잡배수 (싱크대, 욕조, 세탁기에서 배출되는 물)

- 빗물 (빗물 탱크/댐이 식수로 채워지거나 식수 공급용으로 전환되지 않는 한)

- 지하수

- 강물 (면허를 소지해야 함)

▶ 절수 조치에서 제외된 물 사용 경우는?

- 워터파크

- 소방용수 또는 테스트용과 관련된 작업에 사용되는 물

- 먼지 억제용 물

▶ 절수 조치를 따르지 않았을 때, 벌금은 얼마?

- 개인은 $220, 사업체는 $550의 벌금이 적용됩니다.

▶ 절수 조치 면제 신청 가능자는 누구?

- 해당 지역의 주민이 아닌 비거주자로서 야외에서 물을 사용할 경우, 면제를 신청할 수도 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www.sydneywater.com.au/korean 에서 찿아 볼 수 있다.

 

이기태 기자 / francislee@koreanherald.com.au

 

 

  • |
  1. 종합(절수조치1).jpg (File Size:90.6KB/Download:22)
  2. 종합(절수조치2).jpg (File Size:89.4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 호주 "물 아껴 쓰세요" 시드니는 현재 절수조치 시행중 file 호주한국신문 19.09.05.
3222 호주 <2019년 전문가에게 듣는다> 세미나 성황리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3221 호주 <낙숫물> - 이런 나라에서 살고 싶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1.16.
3220 호주 <리뷰: 칸토포유 일곱 번째 정기공연> 톱뉴스 17.09.22.
3219 호주 <민주평통 아세안지역회의> 북미정상회담 후속 활동 잰걸음 톱뉴스 18.06.17.
3218 호주 <세계 여성의 날> 에 울려 퍼진 ‘일본군 성노예제’ 항의 함성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3217 호주 <속보>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사람간 전염 첫 사례 발생! “해당지역 교민들 주의 당부” 호주브레이크.. 20.03.02.
3216 호주 <인터뷰> 장재곤 변호사 “쫓기면 안돼, 적성에 맞아야 미래 그릴 수 있어” 톱뉴스 18.08.09.
3215 뉴질랜드 <일요시사>지령 700호를 맞으며 일요시사 19.02.13.
3214 호주 <취재수첩>-청소년층 지지율 0%, ‘빵점’ 맞으셨군요 호주한국신문 16.11.17.
3213 호주 <택시운전사>에서 최근 흥행작 <지금 만나러 갑니다>까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3212 호주 <호주한인사회 현주소 점검 1부…타일업계> 한인타일업계 “부동산 붐 속 타일업종 호황…인력난 심화” 톱뉴스 18.04.01.
3211 호주 "457비자 스폰서 명목의 임금 착취는 명백한 불법입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3210 뉴질랜드 "71년간 이어져오고 있는 전쟁의 종식을 기원하며 열린 한반도 평화 기원 특별 콘서트" 일요시사 21.08.30.
3209 호주 "갖가지 쓰레기 줄이고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회복에 주력..."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3208 뉴질랜드 "다시는 전쟁이 없기를", 625전쟁 70주년 NZ코리아포.. 20.06.26.
3207 호주 "대학 진학 아니라면 전문 직업교육 과정 고려해 보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0.01.23.
3206 호주 "병원 가실 때 한국어로 도와드립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9.19.
3205 뉴질랜드 "북치고 장구치고" 프랭클린 풍물패, 150여 명 관객과 함께... NZ코리아포.. 18.09.17.
3204 호주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법이 한반도 항구적 평화 정착” 민주평통 호주협의회 18기 출범…황인성 사무처장 방호 톱뉴스 17.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