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 타운홀 역이나 윈야드 역 등 CBD 인근을 거닐 경우 믿기 어렵지만 가슴이 미어지는 장면을 목격하지 않을 수 없다.

거리 곳곳에는 포장박스를 깔고 침낭에 의존해 거리에서 잠을 청하는 노숙자나, 동전을 구걸하는 걸인들, 그리고 무료 급식소 앞에 펼쳐지는 장사진.

실제로 시드니 홈리스들을 위한 임시 비상 숙소가 거의 포화상태에 도달하면서 거리의 노숙자 수가 다시 증가추세라는 경고가 제기됐다.

시드니 카운슬(시장 클로버 모어)이 최근 발표한 최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시드니 CBD 인근의 거리에서 노숙하는 홈리스 수는 현재 244명으로 2018년 8월 대비 9% 감소했지만 임시 비상 숙소 이용 홈리스 수는 592명으로 같은 기간동안 20% 상승했다.

시드니 CBD인근의 임시 비상 숙소의 총 수용인원은 전년 대비 38명을 넘어선 수치다.

시장과 시드니 시내를 지역구로 하는 주의원은 한 목소리로 “위기 상황이다”라고 경고하고 있다.

무소속의 알렉스 그린위치 주의원은 보도문을 통해 “홈리스 문제가 위기상황에 도달했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 됐다”면서 “많은 홈리스들이 숙소 시설에 대한  도움을 바라지만 공공비상 숙소는 이미 포화상태가 됐다”고 우려했다.

그는 “NSW주에서 노숙자의 악순환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홈리스들을 위한 안전하고 재정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숙소 공급을 확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시드니 카운슬의 클로버 모어 시장은 “임시 비상 숙소의 포화상태는 정부와 비영리기구들이 운영하는 노숙자 지원 서비스가 나름 성공한 면도 있다”는 점에 방점을 뒀다.

하지만 클로버 모어 시장 역시 “안정적이고 장기적이며 감당할 수 있는 공공주거시설 공급이 확충되지 않으면 노숙자 문제는 반복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에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홈리스들은 절박하게 도움을 찾고 있고 하룻밤을 따뜻하고 편안히 보낼 수 있고 무료 급식을 받을 수 있는 임시비상숙소 시설을 알고 있는 상태임이 드러났지만, 이 같은 구조적 위기 상황에 임시처방으로 막고 있을 뿐임이 재확인됐다”고 주장했다.

모어 시장은 한발짝 더 나아가 “시드니가 부유층의 전유물이 될 수 없다”면서 “다양한 지역사회의 필요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주택 및 숙소 공급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변했다.

노숙자를 포함 적절한 주거 공간이 없는 무주택자를 가리키는 ‘홈리스’는 호주 전국적으로 11만6천명인 것으로 2016 인구조사에서 집계됐다. 

하지만 호주홈리스협회는 최소 28만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즉, 정부의 통계는 차에서 숙식을 해결하는 경우, 집단 숙소, 사회 공공기관 운용의 보호소나 쉼터 등에서 기거하는 사람들만 홈리스로 분류했지만, 홈리스 단체들은 “열악하거나 부적절한 공간에 기거하는 사람들, 주거 공간 사용에 자율권이 없는 경우” 등  광의의 의미를 적용하고 있다.

이같은 홈리스 가운데 7% 가량은 길거리에서 잠을 자는 노숙자들로 파악됐다.

더욱 큰 문제는 이들 노숙자를 포함한 홈리스의 수가 매년 증가 추세라는 점이다.

실제로 2016년 인구조사에 드러난 홈리스 수는 5년전 조사 대비 14% 증가한 수치다.

홈리스의 남여 성구성비는 58대 52 정도이며, 해외출생자도 15% 가량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홈리스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이유는 주택 문제가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가정폭력  ▶가정파탄  ▶재정파탄 ▶도박 ▶마약 혹은 알코올 중독 ▶정신질환 등의 이유로 홈리스가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뿐만 아니라 홈리스 문제는 바로 대도시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과 직결된다는 것이 사회학자들의 공통된 우려다.

©TOP Digital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651 호주 호주 크리켓의 전설 돈 브래드먼의 배트, 6만 달러에 호주한국신문 14.05.22.
6650 호주 NSW 정부, 연방 예산감축으로 병실 축소 불가피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9 호주 배우자 이민 프로그램, 인신매매 수단으로 악용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8 호주 머레이강, 지난 10년간 최다 익사사고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7 호주 NATSEM, “이번 예산안은 ‘공정-고통분담’과는 거리 멀어”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6 호주 와해된 아시리아계 폭력조직 ‘Dlasthr’는...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5 뉴질랜드 [Voice of Community - 굿데이신문 교민 설문조사 결과] 굿데이뉴질랜.. 14.05.23.
6644 뉴질랜드 한눈에 보는 '2014 NZ정부 예산안' file 굿데이뉴질랜.. 14.05.23.
6643 호주 시드니 부동산 경매 낙찰률, 79.3%로 다시 반등 호주한국신문 14.05.29.
6642 호주 카나본 골프클럽서 선보이는 한국 현대미술 호주한국신문 14.05.29.
6641 호주 총영사관, ‘찾아가는 범죄예방 홍보 활동’ 전개 호주한국신문 14.05.29.
6640 호주 ‘인보케어’사, 한인 추모공원 조성 계획‘ 설명회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9 호주 ‘2014 캠시 푸드 페스티벌’, 금주 토요일(31일)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8 호주 시드니, 2031년까지 1인 가구 비율 크게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7 호주 ‘2015 AFC 아시안컵 대회’ 티켓 판매 시작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6 호주 시드니 도심 ‘달링스퀘어’ 재개발 건설 계획 승인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5 호주 호주인 행복지수, 전 세계 국가 중 18번째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4 호주 테드 베일류 전 VIC 수상, “결혼지참금 금지” 촉구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3 호주 실업수당 수령자들, ‘생존’ 문제 절박하다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2 호주 호주 남성, 마약소지 협의로 인도네시아서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1 호주 가짜 경찰, 10대 소녀 성추행 및 절도 행각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0 호주 경찰 불명예... 전 수사관 살인혐의로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9 호주 시드니 도심 유흥업소 대상 주류 판매 규정 ‘강화’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8 호주 호주 비만율 급증, 지난 33년간 80% 늘어나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7 호주 “정부의 200억 달러 의료연구 기금은 과장된 것”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6 호주 본다이 정션 아파트, 분양 4시간 만에 완판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5 호주 대한민국 금속공예 조성준 명장, 시드니서 전시회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4 호주 재외동포재단, 인터넷 사이트 ‘한상넷’ 보완 개편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3 호주 한국문화원, ‘캠시 푸드 페스티벌’ 주역으로 참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2 호주 2013년 APSA 최고배우 선정 이병헌, 뒤늦게 수상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1 호주 ATO, ‘분기별 사업활동 보고서’ 빠른 제출 당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0 호주 케언즈 순회영사 및 한인 워홀러 안전 강좌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9 호주 시드니 한인회 접수 가능 민원업무 재공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8 호주 5월 시드니 주택가격 1.1% 하락, 08년 12월 이후 최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7 호주 대학 졸업생 6만5천명, 졸업 후 구직 힘들 듯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6 호주 시드니 교통체증, 주중 최악의 하루는 '수요일'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5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2.5%) 유지 결정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4 호주 시드니 유흥가 폭력 줄고 가정폭력은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3 호주 NSW 주 수상, 의료 목적의 마리화나 사용 검토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2 호주 시드니 여성, 200만 달러 온라인 데이트 사기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1 호주 2022 카타르 월드컵 유치 부정 의혹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0 호주 가정폭력 관련, 경찰의 현장 처리권한 강화 호주한국신문 14.06.05.
6609 호주 Queen's Birthday 연휴 불구, 경매 낙찰률 73.3%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8 호주 NSW 스토너 부수상, “한인 사업자 지원에 최선 다할 것”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7 호주 한국문화원, QLD 광산도시서 한국문화 선보여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6 호주 “한국 주류매체, 평통 호주협의회 활동상 조명”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5 호주 2014 브라질 월드컵 새벽 4시 개막식, 6시 개막전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4 호주 C20 정상회담, 20-21일 멜번대학에서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3 호주 킹스크로스 유흥업소들, 오늘(13일)부터 ID 스캔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2 호주 연방 정부, 휴면 계좌 3억6천만 달러 정부로 귀속 호주한국신문 14.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