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당 “다문화주의에 대한 위협” 맹비난

연방정부가 “지난 5월까지 1년 동안 시민권 신청서 승인 사례가 전년대비 88% 급증했다” 자화자찬했지만, 여전히 22만 1000명의 호주 시민권 신청자들이 16개월 이상을 대기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회계연도(2017/18)에는 24만5000명까지 적체된 바 있다.

하지만 이번 회계연도 동안 시민권 신청 사례는 전년 대비 무려 10건이나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7년 요란스럽게 추진됐던 연방정부의 시민권 취득 요건 강화 계획이 사실상 폐기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호주정부는 “호주 시민권 발급이 계속 증가세이며 심사절차를 가속화하고 있다”고 앞서 강조한 바 있다.

이민부는 지난 2018년 7월 1일부터 올해 5월 31일까지 총 13만2천명의 시민권 신청 서류에 대한 재가가 이뤄졌다면서는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88%의 급증세임을 부각시켰다.

하지만 현실은 사뭇 다른 것으로 노동당이 공개한 내무부의 자료를 통해 드러났다.

즉, 연방정부 주장대로 시민권 재가 사례는 늘어났을지언정, 시민권 신청사례가 급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권 심사는 역대급으로 적체되고 있는 현실로 드러난 것.

호주 시민권 신청을 한 이민자 수는 여전히 22만명을 넘어섰고, 이 가운데 인도 출신이 무려 3만 명 이상인 것으로 파악됐다.

그 뒤를 영국 계(2만7000명). 중국 계(1만7000명) 신청자들이 이었고, 아프가니스탄, 필리핀, 파키스탄, 베트남,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이라크 출신 이민자들이 출신 국가별 대기자 순위 10위에 포함됐다.

현재 시민권 신청 후 선서식까지 걸리는 평균 기간은 493일로, 이는 지난 2012/13 회계연도의 167일 대비 거의 3배 가량 늘어났다.

이와 관련 노동당의 예비이민장관 크리스티나 케넬리 연방상원의원은 “결국 자유당 연립정부의 무관심 때문이며, 이같은 현상은 다문화주의에 대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케넬리 상원의원은 “시민권 처리 기간은 늘어나고 항공편을 이용한 난민 희망자 수는 급증하고 있는 것은 내무부의 무능함의 방증이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내무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이후 항공편으로 호주에 입국한 난민 희망자는 최소 95,000명에 이른 것으로 파악됐다.

케넬리 상원의원은 “최근 5년 동안 항공편으로 호주에 입국한 난민 신청자의 90%가 난민이 아니며,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호주에서 착취나 인신매매에 노출됐다”고 우려했다.

 

©TOP Digital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451 호주 호주 실업률 6.4%, 12년래 최고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0 호주 ‘Islamic State’의 소셜 미디어, 호주 내 테러 위협 높여 호주한국신문 14.08.14.
6449 뉴질랜드 현경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오클랜드 통일강연회 개최 file 굿데이뉴질랜.. 14.08.15.
6448 호주 시드니 부동산, 전년 동기간의 ‘활황기’ 돌아오나...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7 호주 스트라스필드 봄 축제, 한국계가 메인 무대 장식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6 호주 한국관광공사, 명예 홍보대사로 임다미 위촉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5 호주 이휘진 총영사, 한인 워홀러들 작업장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4 호주 한국 ‘장애청년드림팀’, 한인회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3 호주 외곽 오지 지역 센터링크에서도 시민권 시험 가능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2 호주 “모든 고용주, 차별금지법 숙지해야...”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1 호주 ‘나플란’ 시험 쓰기 과목, “너무 어렵다” 지적 이어져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0 호주 이민부, 난민 아동에 임시보호비자 발급 계획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9 호주 그린필드 파크서 칼에 찔린 남성 사망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8 호주 캔버라 지역, 호주에서 평균 임금 가장 높아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7 호주 ‘국제적 비난’ 칼레드 샤로프, 그는 누구인가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6 호주 애보트 수상, 테러가담 관련 법안 추진 설명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5 호주 부동산 투자 비자 정책으로 주택가격 상승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4 호주 취재수첩-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총회?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3 호주 텔스트라 ‘콜센터’, 5년 이내 사라질 것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2 호주 클리브 팔머 대표, 중국 정부에 대한 ‘막말’ 사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1 호주 시드니 시티, ‘인종차별 규탄안’ 만장일치로 통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0 호주 “아시안컵 성공 개최 위해 한인사회 적극 협력...”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9 호주 “이너 시드니 아파트, 공급 과잉 불러올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8 호주 ‘크리스마스 섬 난민신청자 처우’에 집단소송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7 호주 애보트 수상, 테러 억제 위해 6천400만 달러 배정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6 호주 정부법률가, 총기소지 및 마약거리 혐의로 기소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5 호주 “마리화나, 젊은 층 정신질환 치료 이용 가능”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4 호주 NSW 새 음주법 도입 6개월, 뚜렷한 변화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3 뉴질랜드 아시아권 언어교육에 1천만 달러 투자 굿데이뉴질랜.. 14.09.01.
6422 뉴질랜드 국민당, 소득 중하층 첫 집 구매 시 최고 2만 달러 지원 예정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1.
6421 뉴질랜드 슈퍼마켓 주인, 3년간 매주 유치원에 과일 상자 기부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2.
6420 뉴질랜드 남극지하 생태계는 외계 생명체 존재 시사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2.
6419 뉴질랜드 NZ언론 초청- 공중보건 협회 주관 포럼 개최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3.
6418 호주 올 겨울 기간, 시드니 부동산 가격 5% 급등 호주한국신문 14.09.04.
6417 호주 소비자 보호기관, 휴가예약시 주의사항 권고 호주한국신문 14.09.04.
6416 호주 한국문화원, 2014 한국어도서 독후감대회 성료 호주한국신문 14.09.04.
6415 호주 캐나다베이 카운슬 ‘페라고스토 축제’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9.04.
6414 호주 어번 카운슬, ‘Festival of All Abilities’ 공동 주관 호주한국신문 15.11.05.
6413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낙찰률, 올 들어 최저 호주한국신문 15.11.05.
6412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1840년대 코티지 화제 호주한국신문 15.11.05.
6411 호주 시드니 주말시장의 상징, ‘로젤 마켓’ 종료 호주한국신문 15.11.05.
6410 호주 시드니 도심 초등학교, 교실 부족 사태 직면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9 호주 네드 켈리 수감됐던 빅토리아 주 감옥, 매물로 나와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8 호주 올해 멜번컵, 예상치 못한 ‘Prince Of Penzance’ 우승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7 호주 NSW 주 정부, 강화된 대테러 정책 발표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6 호주 노틀담 대학 시드니 캠퍼스, IB 교수 과정 도입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5 호주 50세 이상 호주 고령층, 단독주택 거주비율 높아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4 호주 카운슬 합병, “확고한 계획 없다는 게 이상하다”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3 호주 턴불 수상의 세제개혁안에 일부 자유당 의원들 ‘반발’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2 호주 투자의 귀재, 호주판 ‘워렌 버핏’은 누구일까 호주한국신문 15.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