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레일 좌석 구조로 '불편한 대면' 필연
이에 대해 한 블로거는 선레일 내에서 가능한한 눈 마주침을 피하라고 경고했다. 때로 괜한 오해나 성적인 오해가 있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원치 않은 대화에 휘말릴 수 있다는 것이다. 1993년 < LA 타임스 >도 첫 지하철이 개통 된 후 독자들에게 지하철만의 독특한 문화를 지적하면서 승객들이 눈을 마주칠 때 가장 좋은 방법으로 책이나 잡지를 보는 것을 권고한 바 있다. 물론 요즈음은 책 대신 스마트폰이나 이어폰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같은 행위는 건너편 좌석 사람에게 '당신과 굳이 잡담하면서 가고 싶지는 않아요' 라는 무언의 몸짓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롤린스 칼리지의 폴 해리스 심리학 교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언의 몸짓을 읽는데 길들여져 있기 때문에 크게 유념할 필요는 없다고 지적한다. 어떤 사람이 팔짱을 낀채 발을 쳐다본다든지, 이어폰을 귀에 꽂은 채 창문 밖을 응시하고 있다면 대화의 끈이 될 수 있는 눈 접촉을 피하고 있음을 상대방이 알아 차린다는 것이다. 또 해리스 교수는 기차를 정해진 시간에 타다 보면 일정하게 만나는 사람이 생기게 되고 이들과는 자연스럽게 눈 접촉이나 인사가 이뤄질 수 있으며, 사람들은 어느 정도까지 친밀감을 표현할 지 결정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신문은 "조용한 열차는 승객의 영혼을 짓이긴다는 연구가 있다(Study Shows Riding The Quiet Car Is Crushing Your Spirit)"는 또다른 제목의 기사에서 열차 승객들이 조용히 여행을 하는 것보다 서로 대화를 주고 받으며 수다를 떠는 것이 서로를 행복하게 만든다는 연구 결과들을 소개했다. 또 승객들이 마치 약속이나 한 듯이 스마트 폰, 랩톱 등에 파묻혀 있는 최근의 통근열차 풍경을 지적했다. 하지만 선레일을 이용하는 많은 사람들이 출퇴근 시간에 날씨 얘기로 시간을 보내느니 업무를 보거나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하는 것을 더 선호할 수 있다는 의견들도 나름 설득력을 갖추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