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외로움 0).jpg

 

‘스윈번대학교-VicHealth’ 조사... 어린이-청소년 대상 교육 필요성 강조

 

디지털 기술로 스마트폰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이를 이용한 소셜 미디어가 일상화 된 오늘날, 호주 청년들의 정신 건강을 알아보는 흥미로운 조사 결과가 나왔다. 18세에서 25세 사이의 호주 청년 3명 중 1명이 ‘심각한 외로움’을 호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멜번 소재 스윈번공과대학교(Swinburne University of Technology)와 빅토리아 주 정부 보건 기구인 ‘Victorian Health Promotion Foundation’에서 빅토리아 주에 거주하는 12세에서 25세 사이 청(소)년 1천520명을 대상으로 ‘외로움’에 대한 이들의 경험을 조사했다. 또한 그들이 느끼는 우울증과 사회적 불안감에 대해서도 질문을 던졌다.

그 결과 전체 조사 대상 연령(12-25세) 4명 중 1명은 최근 1주일(week) 사이에 3회 이상 외로움을 느꼈다는 답변이었다.

 

종합(외로움 1).jpg

오늘날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소셜 미디어가 일상화 된 상황이지만 호주 젊은이들의 상당 비중이 심각한 외로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감정은 청소년 계층보다는 청년층에서 더 높았다. 사진 : pexels

 

이 감정은 청년들 사이에서는 더 높았다. 18-25세 사이 응답자(청년) 가운데 3명 중 1명이 최근 일주일 사이 세 차례 이상 외롭다는 생각을 했다. 연구진은 이번 조사 결과 이들이 느끼는 외로움의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증으로 비약될 위험이 12%, 사회적 불안은 10% 증가함을 확인했다.

청년들과 달리 12-17세 사이 청소년들은 보다 나은 결과를 보여 일주일에 3회 이상 외로움을 느꼈다는 답변은 7명 중 1명뿐이었다. 이 연령 그룹은 청년(18-25세) 그룹에 비해 우울증과 사회적 불안을 염려할 기능성이 크게 낮았다.

이번 조사를 진행한 스위번공과대학교 임상심리학자 미셸 림(Michelle H Lim) 교수는 학술연구, 정치평론 등의 주제를 다루는 비영리 인터넷 매체 ‘The Conversation’을 통해 오늘날 청(소)년들이 느끼는 외로움과 불안감에 대한 문제를 심도 있게 파헤쳐 눈길을 끌었다.

 

“청년기 겪으며

외로움 느낄 수 있다”

 

림 교수에 따르면 누구나 삶의 어떤 시점에서든 외로움을 경험할 수 있다. 이는 종종 인생의 중요한 사건에 의해 유발되는데, 새 직장, (자녀 출생으로) 부모가 될 때 등 긍정적인 일일 수도 있고, 또는 부모의 사망이나 이혼, 건강문제 등의 부정적인 사건들 양쪽에 모두 해당된다.

성인이 되면 대개의 청년들은 부모에게서 독립하거나 대학, TAFE로 진학하는 등 새로운 도전의 시기를 맞게 된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거의 절반(48%)은 가족이나 보호자에게서 독립한 청년들이었으며 77%는 직업을 가진 이들이었다.

 

종합(외로움 2).jpg

외로움을 느끼는 감정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좋지 않다는 것은 이미 드러난 결과이다. 6개월 이상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은 우울증, 사회적 불안, 편집증(피해망상)으로 발전할 위험 비율이 더욱 높아진다. 사회적 불안감을 갖게 되면 나중에 더 많은 외로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사진 : Flickr / Jenna Carver

 

또 청소년들, 즉 하이스쿨에 재학 중인 이들이 외로움을 덜 느끼는 것은 여러 해 동안 알고 지내온 학교 친구들과의 교제를 통해 그 외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일단 수년 동안 친숙했던 환경을 벗어나게 되면 청년들은 새로운 유대관계를 맺기 위해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 이전에 관계를 이어 왔던 친구와의 교류가 끊어지는 경우도 많다.

림 교수는 “독립된 생활로의 전환 과정에서 청년기 젊은이들은 다양한 연령대의 동료, 그들과의 상호관계를 포함해 진화해 가는 소셜 네트워크에서 자신을 확인할 수 있다”면서 “이처럼 서로 다른 관계를 찾아가는 과정은 개별적 조절과정과 어느 정도의 시행착오를 필요로 한다”고 설명했다.

 

소셜 미디어는

어떻게 사용되나...

 

그러나 청소년기에 지나치게 소셜 미디어에 의존하는 것은 오히려 외로운 감정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게 림 교수의 설명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외로움과 소셜 미디어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조사 연구는 없는 상황이다.

다만 외로움을 느끼는 이들이 온라인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오프라인에서의 교류에 더 적은 시간을 들인다는 증거는 있다. 하지만 소셜 미디어 사용이 더 많은 외로움을 유발시키는지에 대한 부분은 확실하지 않다.

소셜 미디어는 오프라인 관계를 온라인 교류로 대체하는 데 활용될 수도 있지만, 한발 더 나아가 기존의 교류 관계를 향상시키고 사회적 기회를 더욱 풍부히 만드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림 교수는 최근의 관련 연구를 인용, “소셜 미디어 사용과 심리적 고통 사이의 관계는 크지 않다”고 말한다.

 

종합(외로움 3).jpg

 

외로움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외로움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좋지 않다는 것은 이미 드러난 결과이다. 6개월 이상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은 우울증, 사회적 불안, 편집증(피해망상) 위험 비율이 더욱 높아진다. 사회적 불안감을 갖게 되면 나중에 더 많은 외로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

림 교수에 따르면 이런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외로움을 느끼는 당사자가 이미 관계를 맺고 있는 그룹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친구를 사귀고자 좀 더 노력한다고 간단히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외로움을 느끼는 이들은 가슴 속에서는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기를 원하지만 오히려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스트레스를 겪을 수 있다.

뇌 영상 연구는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보상 느낌을 보통 사람들 보다 덜 느끼며, 대신 타인의 고통에 더 잘 반응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임 교수는 “외로움을 느끼는 이들은 친목 활동을 하면서 비 협조적이라는 오해를 받을 수 있는 자기 패배적 행동 패턴을 보이며 부정적 감정과 과장된 제스처를 취한다. 자신이 남으로부터 거부되는 것에서 스스로를 보호하려는 무의식적인 시도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교수에 따르면 외로움을 느끼는 이들은, 다른 사람들이 ‘남을 신뢰하지 않거나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이유’를 찾으려 하고 또한 ‘타인들은 (본인보다) 현실에 대해 더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

 

우리 사회가

할 수 있는 것은

 

그렇다면 젊은이들이 느끼는 외로움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림 교수는 “한 가지 방법은, 젊은이들이 우정에 대해 (본인 스스로) 친구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도록 돕고, 또 외로움을 느끼는 이들 스스로의 감정과 행동이 타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시키는 것”이라며, “부모, 교사들, 컨설턴트 등이 우정의 의미와 그 변해가는 속성에 대해 어린이와 청소년을 지도하라”고 제시했다.

그는 이어 “여기에는 젊은이들 스스로 자신의 행동과 사고 패턴을 평가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데 스스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과, 또한 서로가 긍정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림 교수가 제시하는 보다 구체적인 전략은 먼저 △타인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생각이나 부정적인 견해를 떨쳐버리고자 스스로 도전하고, △청소년 스스로 자신의 장점을 파악하도록 노력하며, △타인과 강하고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우치도록 하는 것이다. 가령 유머에 강점이 있다면 다른 사람과의 관계맺음에 이 유머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림 교수는 “이 같은 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사회적 정신건강 문제 해결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이 토론을 건강 관련 수업에 통합시켜도 좋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또한 오늘날 청소년들이 디지털 기술에 익숙하다는 것을 고려해 대인관계와 관련된 디지털 도구를 개발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도구는 청소년들이 보다 의미 있는 관계를 발전, 유지하는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되며 또한 (외로움을 느끼는 경우 타인과의 접촉을 꺼릴 수 있기에) 안전한 공간에서 우선 사회적 자신감을 키우고 새로운 기술을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다는 게 림 교수의 설명이다.

림 교수는 이어 “중요한 것은, 외로움을 느끼는 청소년들의 마음을 정상으로 되돌리는 것이며, 따라서 외로움은 약점이 아니라 모든 인간이 가진 ‘사회적으로 타인과 관계를 맺고 싶다’는 선천적 욕구라는 점을 인식케 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림 박사는 “외롭다는 감정이 무시되거나 해결되지 않을 경우,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또한 그로 인한 고통이 지속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오늘날 젊은이들은 외로움이 스스로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지 못하기에 이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의미 있는 사회적 관계를 발전, 유지할 수 있도록 미리 조치를 취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종합(외로움 4).jpg

 

외로움 관련 상담 기구

-Lifeline : 13 11 14

-Kids Helpline : 1800 551 800

-MensLine Australia : 1300 789 978

-Suicide Call Back Service : 1300 659 467

-Beyond Blue : 1300 22 46 36

-Headspace : 1800 650 890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외로움 0).jpg (File Size:53.2KB/Download:21)
  2. 종합(외로움 1).jpg (File Size:51.3KB/Download:23)
  3. 종합(외로움 2).jpg (File Size:41.2KB/Download:23)
  4. 종합(외로움 3).jpg (File Size:130.8KB/Download:23)
  5. 종합(외로움 4).jpg (File Size:35.3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451 호주 호주 실업률 6.4%, 12년래 최고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0 호주 ‘Islamic State’의 소셜 미디어, 호주 내 테러 위협 높여 호주한국신문 14.08.14.
6449 뉴질랜드 현경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오클랜드 통일강연회 개최 file 굿데이뉴질랜.. 14.08.15.
6448 호주 시드니 부동산, 전년 동기간의 ‘활황기’ 돌아오나...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7 호주 스트라스필드 봄 축제, 한국계가 메인 무대 장식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6 호주 한국관광공사, 명예 홍보대사로 임다미 위촉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5 호주 이휘진 총영사, 한인 워홀러들 작업장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4 호주 한국 ‘장애청년드림팀’, 한인회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3 호주 외곽 오지 지역 센터링크에서도 시민권 시험 가능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2 호주 “모든 고용주, 차별금지법 숙지해야...”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1 호주 ‘나플란’ 시험 쓰기 과목, “너무 어렵다” 지적 이어져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0 호주 이민부, 난민 아동에 임시보호비자 발급 계획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9 호주 그린필드 파크서 칼에 찔린 남성 사망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8 호주 캔버라 지역, 호주에서 평균 임금 가장 높아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7 호주 ‘국제적 비난’ 칼레드 샤로프, 그는 누구인가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6 호주 애보트 수상, 테러가담 관련 법안 추진 설명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5 호주 부동산 투자 비자 정책으로 주택가격 상승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4 호주 취재수첩-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총회?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3 호주 텔스트라 ‘콜센터’, 5년 이내 사라질 것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2 호주 클리브 팔머 대표, 중국 정부에 대한 ‘막말’ 사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1 호주 시드니 시티, ‘인종차별 규탄안’ 만장일치로 통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0 호주 “아시안컵 성공 개최 위해 한인사회 적극 협력...”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9 호주 “이너 시드니 아파트, 공급 과잉 불러올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8 호주 ‘크리스마스 섬 난민신청자 처우’에 집단소송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7 호주 애보트 수상, 테러 억제 위해 6천400만 달러 배정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6 호주 정부법률가, 총기소지 및 마약거리 혐의로 기소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5 호주 “마리화나, 젊은 층 정신질환 치료 이용 가능”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4 호주 NSW 새 음주법 도입 6개월, 뚜렷한 변화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3 뉴질랜드 아시아권 언어교육에 1천만 달러 투자 굿데이뉴질랜.. 14.09.01.
6422 뉴질랜드 국민당, 소득 중하층 첫 집 구매 시 최고 2만 달러 지원 예정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1.
6421 뉴질랜드 슈퍼마켓 주인, 3년간 매주 유치원에 과일 상자 기부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2.
6420 뉴질랜드 남극지하 생태계는 외계 생명체 존재 시사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2.
6419 뉴질랜드 NZ언론 초청- 공중보건 협회 주관 포럼 개최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3.
6418 호주 올 겨울 기간, 시드니 부동산 가격 5% 급등 호주한국신문 14.09.04.
6417 호주 소비자 보호기관, 휴가예약시 주의사항 권고 호주한국신문 14.09.04.
6416 호주 한국문화원, 2014 한국어도서 독후감대회 성료 호주한국신문 14.09.04.
6415 호주 캐나다베이 카운슬 ‘페라고스토 축제’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9.04.
6414 호주 어번 카운슬, ‘Festival of All Abilities’ 공동 주관 호주한국신문 15.11.05.
6413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낙찰률, 올 들어 최저 호주한국신문 15.11.05.
6412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1840년대 코티지 화제 호주한국신문 15.11.05.
6411 호주 시드니 주말시장의 상징, ‘로젤 마켓’ 종료 호주한국신문 15.11.05.
6410 호주 시드니 도심 초등학교, 교실 부족 사태 직면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9 호주 네드 켈리 수감됐던 빅토리아 주 감옥, 매물로 나와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8 호주 올해 멜번컵, 예상치 못한 ‘Prince Of Penzance’ 우승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7 호주 NSW 주 정부, 강화된 대테러 정책 발표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6 호주 노틀담 대학 시드니 캠퍼스, IB 교수 과정 도입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5 호주 50세 이상 호주 고령층, 단독주택 거주비율 높아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4 호주 카운슬 합병, “확고한 계획 없다는 게 이상하다”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3 호주 턴불 수상의 세제개혁안에 일부 자유당 의원들 ‘반발’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2 호주 투자의 귀재, 호주판 ‘워렌 버핏’은 누구일까 호주한국신문 15.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