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주택시장 예상 1).jpg

부동산 시장에 대한 긍정적 정책과 이에 따른 신뢰 확산, 다른 지역에 비해 좋은 경제상황 및 인구 증가에 힘입어 내년도 시드니와 멜번의 주택 가격이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SQM Research 전망, 신뢰도 확산-강한 경제-높은 인구 증가로

 

올 들어 부동산 시장이 회복세로 전환된 가운데 2020년 호주 주택 시장을 선도하는 시드니 및 멜번의 주택 가격이 두 자릿수 성장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지속적인 인구 증가와 낮은 기준금리에 힘입어 멜번이 최대 15%, 시드니는 14% 상승을 기록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이는 부동산 컨설팅 사인 ‘SQM Research’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제시한 것으로, 두 도시 외 브리즈번(Brisbane), 캔버라(Canberra), 호바트(Hobart)는 물론, 상당한 가격 하락을 보였던 퍼스(Perth)의 주택 시장도 회복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됐다.

 

보고서는 이 같은 전망의 배경으로 세 가지 점들을 꼽았는데, 첫 번째로 지난 5월 연방 선거를 통해 명확하게 나타난 정부의 부동산 경기 부양 주택 정책, 두 번째로 호주중앙은행(RBA)의 연이은 기준금리 인하 조치, 마지막으로 호주 신용자산관리국인 APRA(Australian Prudential Regulation Authority)의 주택담보 대출 규제 완화로 주택 구입자들이 보다 많은 액수의 대출이 가능해지면서 부동산 시장에 대한 신뢰가 확산되고 있는 점을 들었다.

‘SQM’의 루이스 크리스토퍼(Louis Christopher) 대표는 “이는 매우 강한 상승 수치”라면서 특히 시드니와 멜번에 대해 “낮은 기준금리, 주택 시장에 대한 신뢰 확산에 더해 두 도시의 경우 다른 지역 보다 앞선 경제 상황을 보이면서 인구 증가가 두드러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5월 연방 총선을 앞두고 노동당은 주택 가격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계획으로 네거티브 기어링(negative gearing. 부동산 투자자의 투자 손실을 개인 세금에서 감면해 주는 정책)의 세금 혜택 폐지를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자유-국민 연립의 승리가 확정된 이틀 후, APRA는 기존 제도를 그대로 유지할 것임은 물론, 주택담보 대출 규정을 완화, 최소 7%의 대출 이자 상환에 대한 모기지(mortgage) 신청자의 스트레스 심사를 폐지한다고 발표했다. 대신 APRA는 은행들로 하여금 모기지 신청자가 최소 2.5% 포인트 높은 담보대출 이자를 상환할 능력 여부만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실제로 대출 규제를 완화한 바 있다.

 

종합(주택시장 예상 2).jpg

전문가들은 시드니와 멜번의 주택 가격이 전 세계 주요 도시에 비해 높은 편이라며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이 주택구입 능력을 보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은 시드니 도심 인근 글리브(Glebe)의 주택가. 사진 : Flickr / Andrea Castelli

 

‘도메인’의 최근 집계에 따르면 지난 9월 분기 시드니 주택 가격(median house price)은 전년대비 4.8%, 멜번은 4.1% 성장을 기록했는데, 크리스토퍼 대표는 “지난 5월 총선 이전의 부동산 시장은 자산취득세 인상과 네거티브 기어링 폐지 예고에 따른 부동산 관련 세금 증가 우려가 높았었다. 총선 이후 시장은 긍정적 분위기로 돌아섰으며 특히 APRA의 대출신청자 신용 조사 완화와 RBA 기준금리 인하가 뒤따랐다”며 이런 점들이 두 도시의 주택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내년도 시드니 주택 가격이 10-14%, 멜번은 11-15%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그러나 이 같은 상승세가 그 이후에도 지속될 것이라고는 기대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그는 “두 도시의 주택 시장은 과대평가된 부분이 있으며, 그럼에도 18개월 이상의 침체기 동안 (주택 가격이) 바닥을 쳤기 때문에 자연히 가격이 상승하리라 보는 것”이라며 “만약 이 전망이 확실하다면 내년 이후 예비 구매자들의 주택구입 능력은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크리스토퍼 대표는 이 같은 전망이 ‘낮은 기준금리 상황이 이어지고 APRA가 2020년 하반기까지 주택담보 대출 규제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전제에서 나온 것이라 밝혔다. 이런 전제 조건 하에서 ‘SQM’은 여타 도시들에 대해 호바트는 5-8%, 캔버라 3-7%, 브리즈번 3-6%, 애들레이드 1-4%, 퍼스는 3-6%가량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윈(Darwin)은 2-5%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크리스토퍼 대표는 “낮은 기준금리 여건에서 모기지 대출이 수월하다는 것은 호주 전역의 부동산 시장에 거시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퍼스의 경우 점차 늘어나고 있는 광산투자로 혜택을 볼 것”이라고 말했다.

‘SQM’ 보고서는 이어 앞으로 한 차례 더 금리인하가 결정되고 호주 경제가 안정을 유지하게 된다면 시드니 주택 가격은 11-16%, 멜번은 12-17% 더 상승할 수 있다고도 전망했다. 하지만 경제 사정이 어려워지면 금리가 0%가 되더라도 주택가격 상승세는 아예 없거나 4% 이내일 것이라는 전망도 함께 내놓았다.

 

한편 ANZ은 하락했던 주택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면서 예비 구매자들이 부동산 시장에 진입하는 데 있어 다시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ANZ 조사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가구 소득 대비 주택가치 비율은 2018년 3월 7배에서 올해 6월 분기 6.5배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2013년 12월 분기 이후 가장 낮아진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 해도 이 수치는 각 가구가 연간 수입 중 15%를 저축한다고 가정할 경우, 주택 구입 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는 20%의 구입 자금을 마련하기까지는 여전히 8.6년이 소요되는 수치이다.

 

ANZ의 펠리시티 에멧(Felicity Emmett) 수석 연구원에 따르면 시드니와 멜번의 경우 호주 전역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지만, 거주자 수로 볼 때 낮은 밀도의 주거지가 많음을 감안할 때 전 세계 다른 도시에 비해서 주택 가격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에멧 연구원은 “두 도시의 경우 이번 부동산 침체기 동안 가격이 크게 하락하면서 주택 구입 능력은 가장 많이 개선됐지만 역시 지난 수개월 사이 부동산 시장 회복과 함께 두 도시의 주택 가격이 가장 크게 상승했다”며 “이런 점을 감안할 때 연방 정부의 ‘First Home Loan Deposit’ 정책 및 각 주 정부의 대중교통망 개선 프로젝트들과 주택 공급 개선 정책은 가구의 수입 증가와 더불어 소비자들의 주택구입 능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주택시장 예상 1).jpg (File Size:106.4KB/Download:19)
  2. 종합(주택시장 예상 2).jpg (File Size:79.8KB/Download:2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401 뉴질랜드 퀸스타운 겨울축제 “6월 22일부터 시작” NZ코리아포.. 17.06.21.
5400 뉴질랜드 자신의 아이인 양 허위 서류 제출, 영주권자 징역형 선고받아 NZ코리아포.. 17.06.21.
5399 뉴질랜드 뉴질랜드 은행 이자율,오를 조짐 나타나 NZ코리아포.. 17.06.22.
5398 호주 겨울 시즌 경매 낙찰률, 2주 연속 70% 이하로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97 호주 크라운 그룹 ‘워터폴 아파트’, 하루 만에 최다 판매액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96 호주 온라인 쇼핑 강세 속 오프라인 소매업 전략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95 호주 결혼 전 최적의 연애 횟수도 컴퓨터로 계산할 수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94 호주 유니세프, “호주 교육 수준 맨 뒤에서 세 번째...”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93 호주 비시민권자 자녀, 10세 되어도 시민권 자동 부여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92 호주 호주 내 불법 체류자 6만4,600명, 한국인도 2천명 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91 호주 중국계 교육-정치계 개입, 고위 정치인으로 확산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90 호주 Six of the best luxury South Australian stays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89 호주 NSW budget 2017-18; ‘Winners and Losers’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88 호주 NSW budget 2017-18; 첫 주택구입자 세계혜택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2.
5387 뉴질랜드 퀸스타운 윈터 페스티벌, 한국 전통음식 큰 인기 끌어 NZ코리아포.. 17.06.26.
5386 뉴질랜드 낚시 중이던 아시아 출신 외국 관광객 익사 NZ코리아포.. 17.06.26.
5385 뉴질랜드 아메리카스컵 “14년 만에 다시 NZ로 돌아왔다 NZ코리아포.. 17.06.27.
5384 뉴질랜드 뉴질랜드인 18%, 독거 노인과 편부모 자립생활 등 어려움 느껴 NZ코리아포.. 17.06.28.
5383 뉴질랜드 뉴질랜드, 가정폭력으로 도움 요청하는 사람들 늘어 NZ코리아포.. 17.06.28.
5382 뉴질랜드 랜섬웨어 '패티야' 사이버 공격, 130개 국가 피해입어 NZ코리아포.. 17.06.29.
5381 호주 시드니 경매, 69.5% 집계... 3주 연속 낙찰률 70% 밑돌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5380 호주 호주 언론, “이민자 증가를 비난해서는 안 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5379 호주 2억5천만 달러 투입, ‘피시마켓’ 새 계획안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5378 호주 세계 최대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가치, 560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5377 호주 Why do Americans and Brits drive on different sides of the road?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5376 호주 아마추어 사진가가 기록한 호주의 옛 철길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5375 호주 Census 2016- 퇴색되어가는 ‘Great Australian Dream’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5374 호주 Census 2016- 시드니 지역별 라이프스타일 차이 심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5373 호주 Census 2016- 고령화 가속, 민족적 다양성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29.
5372 뉴질랜드 뉴질랜드 빌 잉글리쉬 총리, 미국 갑부 '피터 티엘' 시민권 부여 만족한다고 NZ코리아포.. 17.06.30.
5371 뉴질랜드 덜 익힌 육류, 어린이 4명 사망- 60명 급성 신부전 file NZ코리아포.. 17.06.30.
5370 뉴질랜드 운전면허 시험 통과, 그러나 35분만에 불합격 통지 NZ코리아포.. 17.07.03.
5369 뉴질랜드 해스팅스 연쇄 방화범 “잡고 보니 15세 청소년” NZ코리아포.. 17.07.03.
5368 뉴질랜드 백화점 진열대를 올라탄 승용차 NZ코리아포.. 17.07.05.
5367 뉴질랜드 뉴질랜드 노숙자,감옥 들어가기 위해 범죄 저지른다고... NZ코리아포.. 17.07.05.
5366 뉴질랜드 뉴질랜드 기름값, 다른 선진국 비교 가장 비싸 NZ코리아포.. 17.07.05.
5365 뉴질랜드 [KopoTV] 뉴질랜드에서 가장 긴 터널 워터뷰 터널 NZ코리아포.. 17.07.05.
5364 호주 ‘인지세 혜택 확대’, 시드니 부동산 시장 반영은 ‘아직’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63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5% 동결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62 호주 NSW 대법원장, “명예훼손 보상금 너무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61 호주 ‘NAPLAN’ 학력평가 출제기관, 사기업에 이관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60 호주 메디케어 개인정보 유출, 불법 사이트서 거래돼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59 호주 “광역시드니서 65만 달러 미만 주택 구입은 가능한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58 호주 ‘명문학군 쏠림’에 NSW 지역간 빈부격차도 심화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57 호주 여행지 비용... 전 세계 가장 저렴한 비치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56 호주 ‘Best cities to visit in 2017’... 시드니, 두 번째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55 호주 노동조합, 계약직 고용자의 ‘정규직 전환’ 법안 요청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54 호주 호주인 가계자산, 최고 수준... ‘잘못된 부의 분배’ 경고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7.06.
5353 뉴질랜드 [포토뉴스] 팀 뉴질랜드 우승 환영 퍼레이드, 많은 시민들 기쁨 나눠 NZ코리아포.. 17.07.07.
5352 호주 턴불 총리 “호주, 미사일 방어 체계 구축할 것”…사드는 “부적합” 톱뉴스 17.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