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7년 이래 가장 낮은 수치… 주택가격 크게 올라
 

house.jpg
▲ 미국인들의 경제적 부담이 이사를 억제하고 있다. 사진은 올랜도 윈터가든내 한 주택단지 모습.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미국인들의 이동률이 예전보다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타임스>는 최근 미 인구조사국이 발표한 통계를 바탕으로 미국인들이 국내에서 다른 주나 도시로 이동하는 비율이 기록적으로 떨어졌다고 보도했다.

<뉴욕 타임스>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해 3월까지 기간에 이동한 사람의 비율이 9.8%로 나왔다. 이는 지난 1947년 인구조사국이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라고 한다. 워싱턴 민간 연구기관 브루킹스연구소는 미국인들의 이동률이 10% 아래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지적했다.

이렇게 이동률이 하락한 이유는 주택 가격과 임대료는 크게 오른 반면, 임금 인상은 이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또 흔히 밀레니얼로 불리는 20~30대 젊은이들이 경제적인 문제로 결혼을 미루는 것도 이유 가운데 하나로 지적됐다. 사실 미국은 선진국들 가운데 가장 이동성이 높은 나라 중 하나였는데, 1950년대에는 이동률이 현재 수준의 두 배인 20%에 달했다. 매년 5명 중 1명이 움직인 것이다.

일하던 공장이 문을 닫으면 다른 도시에 가서 쉽게 잠잘 곳이나 일자리를 찾을 수 있었는데, 요즘에는 대도시 집값이 너무 비싸서 엄두를 못 낸다는 것이다. 이런 이동률 하락은 어느 날 갑자기 일어난 일이 아니고 여러 해 동안 서서히 진행돼온 현상이다.

젊은이들의 이동률이 높기는 하지만 연령에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지난 2005년에서 2006년 기간에는 20세에서 24살 젊은이들 가운데 29%가 이동했는데, 지금은 20%에 그쳤다.

또 과거에는 나이 든 미국인들이 따뜻한 플로리다나 애리조나의 은퇴촌으로 이사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요즘에는 경제적 부담 때문에 원래 살던 집에 남는 사람이 늘고 있다. 60대 노인들 가운데 지난해 이사한 사람의 비율은 4%에 불과했다.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의 경제학자는 이동률 하락은 전반적인 사회 현상이라고 지적하면서 “나이뿐 아니라, 경제력, 교육환경과 상관없이 모든 계층에서 이동률이 내려가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397 캐나다 재개발 위해 토지 매각된 저층 아파트 주민들, "이사 안 간다" 시위 밴쿠버중앙일.. 16.07.13.
8396 캐나다 코퀴틀람, 가정집에서 약물 과다복용 의식잃은 사람 5명 발견 밴쿠버중앙일.. 16.07.13.
8395 미국 불면증엔 강박관념부터 없애야 코리아위클리.. 16.07.15.
8394 미국 2016 플로리다 공립학교 ‘A스쿨’ 감소 코리아위클리.. 16.07.16.
8393 미국 플로리다 기업 퍼블릭스, 마이애미서 식품 배달 서비스 코리아위클리.. 16.07.16.
8392 미국 올랜도 서쪽 오렌지밭 동네, 도시 개발 급물살 코리아위클리.. 16.07.16.
8391 미국 플로리다 4개 도시서 쿠바행 항공 노선 운행 코리아위클리.. 16.07.16.
8390 캐나다 $15.9 million달러를 들여서 Shouldice Athletic Park (SAP) 재개발 file 앨버타위클리 16.07.18.
8389 캐나다 2016 캘거리 스템피드 퍼레이드 file 앨버타위클리 16.07.18.
8388 캐나다 글로벌 캘거리 TV의 유명인의 소송 file 앨버타위클리 16.07.18.
8387 캐나다 반창고 크기의 이식장치가 당뇨병 환자들을 도울 수 있게 되었다 file 앨버타위클리 16.07.18.
8386 캐나다 우리 아이들을 다시 놀이터로 돌려 보냅시 file 앨버타위클리 16.07.18.
8385 캐나다 캘거리 스탬피드는 연중 계속되는 이벤트를 찾고 있다 file 앨버타위클리 16.07.18.
8384 캐나다 캘거리에 페스티벌 시즌이 돌아왔다 file 앨버타위클리 16.07.18.
8383 미국 [현장르뽀] 트럼프 대관식 개막..공화당 전당대회 file 뉴스로_USA 16.07.19.
8382 미국 뉴욕 다리 크레인붕괴 아찔…5명 경상 그쳐 file 뉴스로_USA 16.07.21.
8381 미국 한인女의사 ‘트럼프 대관식’ 찬조연설 화제 file 뉴스로_USA 16.07.22.
8380 미국 건강 위협하는 플로리다 벌레들 코리아위클리.. 16.07.22.
8379 미국 플로리다 '백투스쿨' 세금공휴일 8월5일 시작 코리아위클리.. 16.07.22.
8378 미국 비행기서 중간 좌석은 누구나 ‘노!’ 코리아위클리.. 16.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