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울룰루.jpg

북부 호주 노던테리토리 내륙의 레드센터 지역(Red Centre region)에 자리한 거대한 단일 바위 울룰루(Uluru. 사진)는 이 지역 원주민 부족의 성역이다. 이 때문에 울룰루 방문자들에게 지속적으로 등반을 자제해 달라고 요구해 왔다. 이처럼 원주민들이 신성시 하는 장소는 호주 전역에 무수히 많다. 사진 : 인스타그램 / Eleni Curry

 

월럼빈(Wollumbin)-블루 홀(Blue Hole)-칼카자카(Kalkajaka) 등

‘신성한 장소’ 곳곳에.. 각 주 국립공원 당국, 문화적 요소 상세 설명

 

호주 북부 노던테리토리(Northern Territory) 내륙 중앙부, 레드 센터 지역(Red Centre region)의 거대한 단일 바위 울룰루(Uluru)는 이곳에서 터를 잡고 살아온 원주민 아낭구(Anangu) 부족에게 있어 더없이 신성한 장소이다. 이들 부족의 탄생 설화의 중심이며, 조상들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곳이라 믿기 때문이다. 그것이 아낭구 원주민들이 울룰루가 관광지로 개발된 이후 이 바위를 오르는 여행자들에게 등반을 자제해 달라고 지속적으로 요구한 이유이다.

그리고 지난 10월26일부터 이곳의 등반이 전면 금지됐다. 이 조치로 인해 울룰루 지역 관광산업이 타격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지만, 지역 당국은 원주민 문화체험을 비롯해 다양한 여행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호주 땅에서 6만년 기간 동안 살아온 원주민 부족들은 대략 600여 개가 있으며, 이들의 언어는 모두 제각각이다. 부족들 간의 전통적인 삶의 터전이 있고, 그러다보니 울룰루처럼 원주민들이 신성한 장소로 여기는 곳들이 곳곳에 있다. 여행지로 알려진 지역 중 이런 장소들이 또 어디가 있는지 알아본다.

 

Wollumbin, NSW

마운트 워닝(Mount Warning)으로 알려진 월럼빈(Wollumbin)은 NSW 주 북부, 노던리버 지역(Northern Rivers region) 트위드 산맥(Tweed Range)에 솟아 있는 산으로, 분잘렁(Bundjalung) 부족이 터를 잡아 온 곳이다.

이곳에 조성된 8.8km 길이의 트랙은 NSW 주의 인기 있는 트레킹 코스 중 하나로, 특히 아침 해가 떠오르는 장엄한 광경을 보고자 하는 이들이 인기가 높다. 그러기에 영적인 장소로 발을 들이는 것을 자제해 달라는 분잘렁 부족의 표지판을 무시하거나 놓치는 여행자들이 있다.

이 지역 원주민들은 월럼빈에 오르기보다는 스프링브룩 국립공원(Springbrook National Park)에 마련된 ‘Best Of All’ 전망대에서도 멋진 일출을 볼 수 있다며 여행자들을 안내하고 있다. 이 코스는 월럼빈으로 가는 것에 비해 짧은 거리이며, 만약 좀더 걷고자 한다면 전망대 인근에 있는 펄링 브룩 폭포(Purling Brook Falls)까지 트레킹을 할 수 있다.

 

1 Wollumbin-1.JPG

NSW 주 노던리버 지역(Northern Rivers region), 트위드 산맥(Tweed Range)에 솟아 있는 봉우리 ‘월럼빈’(Wollumbin)은 이 지역 분잘렁(Bundjalung) 부족이 신성하게 여기는 곳이다. 사진 : NSW Nationl Park andWildlife Service

 

1 Wollumbin-2.jpg

월럼빈 봉우리가 유명해진 것은 멋진 일출 장면 때문이다. 분잘렁 부족은 일출을 보려는 하이커들에게 스프링브룩 국립공원(Springbrook National Park)에 마련된 ‘Best Of All’ 전망대를 권하고 있다. 사진은 전망대에서 바라본 일출. 사진 : 인스타그램 / Katie Purling

 

-----------

 

The Blue Hole, Qld

퀸즐랜드 북부, 휴양도시인 케언즈 북쪽(north of Cairns)에 자리한, 호주 최대 열대우림 지대인 데인트리 국립공원(Daintree National Park)에 있는 물웅덩이이다. 데인트리 지역은 원주민 쿠쿠 얄란지(Kuku Yalanji) 부족이 대를 이어 살아온 곳이다. 이 ‘블루 홀’(Blue Hole)은 쿠쿠 얄란지 부족이 가장 신성하게 여기는 장소로, 남자들은 이곳을 들어갈 수 없으며 여성에게만 수영을 허락하는 게 이들의 전통이다.

NSW 주의 월럼빈처럼 이곳으로 가는 트랙의 시작 지점에는 데인트리 열대우림의 전통적 소유자인 쿠쿠 얄란지 부족이 관광객들에게 블루 홀에서 수영을 하지 말 것을 당부하는 안내판이 서 있다. 대신 모스만 협곡(Mossman Gorge)에 조성된 ‘드림타임 트렉’(Dreamtime walk)를 소개하며, 이 지역 원주민들의 전통 가옥에서 이들만의 의식인 ‘스모킹 세레머니’(smoking ceremony)를 받을 수도 있다고 안내하고 있다. smoking ceremony는 호주 원주민들이 오래 전부터 부족민들에게 행해 오던 의식으로, 자연에서 나온 여러 토종 식물들을 태워 연기를 피운 뒤, 의식을 받은 사람에게 연기를 맞게 함으로써 악한 기운을 쫒아내고 몸을 깨끗하게 한다는 의미이다. 이들은 부족 여성이 출산을 하거나 그 외 중요한 일이 있을 때마다 이 의식을 행해왔으며, 오늘날에는 호주 국가의 주요 행사에서, 본래 이 땅의 주인으로서 모든 이들을 환영한다는 의미로 이 의식을 거행하기도 한다.

 

2 The Blue Hole-1.jpg

‘블루 홀’(Blue Hole)은 쿠쿠 얄란지 부족이 성스럽게 여기는 물웅덩이로, 남성의 출입을 금하고 있지만 이 표시판(사진)을 무시하는 여행자들이 있다.

 

2 The Blue Hole-2.jpg

쿠쿠 얄란지 부족은 ‘블루 홀’ 출입을 금하는 대신 모스만 협곡(Mossman Gorge. 사진)을 추천한다. 사진 : 인스타그램 / Sera J Wright

 

--------------

 

St Mary Peak, SA

남부 호주(South Australia) 플린더스 산맥(Flinders Ranges)에서 가장 높은 1,168m의 봉우리이며, 19km 길이의 트랙인 ‘윌페나 파운드 서킷’(Wilpena Pound Circuit)이 끝나는 지점인 세인트 메리 피크는 플린더스 산맥 일대에서 살아온 아냐마타나(Adnyamathanha) 부족 탄생 설화의 중심 장소이다.

이곳의 전통적 소유주임을 자처하는 아냐마타나 부족은 이 봉우리에 대해 “우리 부족이 시작된 곳이며 우리의 일부”라는 말로 아주 신성한 곳임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기에 원주민들은 이 트랙을 방문하는 여행자들에게 트랙의 탄데라 새들(Tanderra Saddle)까지는 가더라도 봉우리에는 오르지 말 것을 강력히 요청한다.

탄데라 새들에서도 세인트 메리 피크 모지 않게 플린더스 산맥의 탁 트인 파노라믹 전망을 즐길 수 있다.

 

3 St Mary Peak-1.jpg

남부 호주(South Australia) 플린더스 산맥(Flinders Ranges)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 ‘St Mary Peak’(사진)는 일대에서 살아온 아냐마타나(Adnyamathanha) 부족이 탄생된 성역이다. 사진 : WalkingSA

 

3 St Mary Peak-2.jpg

윌페나 파운드 서킷의 탄데라 새들(Tanderra Saddle)에서 바라본 플린더스 산맥 풍경. 사진 : 인스타그램 / Jasmine Seow

 

----------------

 

Biamanga Cultural Area, NSW

퀸즐랜드 주 데인트리 열대우림 안의 The Blue Hole이 여성들에게만 수영을 허락하는 반면 NSW 주 Biamanga Cultural Area의 Mumbulla Falls는 남성만 출입이 가능하다.

비아망가 원주민 문화구역(Biamanga Cultural Area)은 이 지역 원주민 유인(Yuin)부족의 땅인데 다른 유명 여행지의 부족들이 특정 장소에 발을 디디는 것에 강하게 반대하는 반면 유인 부족은 자기네 구역을 ‘절대’ 출입해서는 안 된다고 하지는 않는다. 다만 울룰루의 경우처럼 방문은 해도 되지만(등반금지 조치 결정 이전까지) 가능한 수영은 금해 달라는 것이다.

비아망가 국립공원 관리위원회의 분자 스미스(Bunja Smith) 위원장은 Mumbulla Falls와 큰 호수인 Biamanga Cultural Area에 대해 “유인 부족 남성의 탄생 근거였던 뭄불라 산(Mumbulla mountain)과 영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남성만을 위한 특별한 장소”라고 설명하며, “(그러나) 이곳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은 우리 부족의 바람과는 달리 이곳에서 수영을 해 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신 이곳에서 남쪽으로 1시간 정도 거리에 아름다운 풍광을 가진 번다 라군(Bournda Lagoon)이 있어 수영과 낚시, 야생동물 관찰을 즐길 수 있다”고 추천했다.

비아망가 국립공원(Biamanga National Park)은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로 세계적으로 인정된 ‘Ulladulla to Merimbula Important Bird Area’에 속하며, 관련 관광 당국은 특히 번다 라군에서는 머리 위를 날아다니는 독수리를 경계하고 또한 캥거루에게서도 시선을 놓지 말 것을 조언하고 있다.

 

4 Biamanga Cultural Area-1.jpg

NSW 주 남부, 비아망가 국립공원(Biamanga National Park)에 있는 Biamanga Cultural Area(Mumbulla Falls. 사진)는 남성만 출입이 가능하다. 사진 : NSW National Park and Wildlife Service

 

4 Biamanga Cultural Area-2.jpg

이 지역 원주민 유인(Yuin)부족은 비아망가 국립공원의 물웅덩이에서 수영을 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인근 번다 라군(Bournda Lagoon. 사진)을 추천한다. 사진 : 인스타그램 / Andrew Buesnel

 

--------------

 

Kalkajaka, Qld

‘칼카자카’(Kalkajaka)는 퀸즐랜드 주 먼 북부, 쿡타운(Cooktown) 남서쪽에 있는 블랙 마운틴 국립공원(Black Mountain National Park)을 말하며, ‘칼카자카’라는 이름은 이 지역 원주민 쿠쿠낭칼(Kuku Nyungkal) 부족이 부르는 말이다.

쿠쿠낭칼 부족의 역사에서 칼카자카는 부족민들이 신성시하는 전장이었다. 또한 보이지 않는 어둠의 힘이 있다고 여겨 이곳의 출입을 금하고 있다. 부족 여성 앤티 마리 십턴(Aunty Marie Shipton)씨는 “이 지역에 들어가는 이들은 몸에 이상이 생긴다”고 경고한다.

781헥타르 넓이의 보호구역인 칼카자카와 관련하여 ‘이곳에 들어간 사람이나 동물들이 갑자기 사라진다’는 이야기가 오래 전부터 전해져 왔다. 백인 정착자들이 이 땅에 들어온 이후 이 산에 들어갔던 사람들이 갑자기 사라져버렸다는 첫 공식 보고가 나온 것은 1877년이었다. 이후에도 이런 사례는 계속 일어났고, 실종자를 수색하러 이곳에 들어간 경찰이나 추적자들조차 사라져버린 일도 있었다. 이후 칼카자카는 ‘호주판 버뮤다 삼각지대’(Bermuda Triangle)로 불려 왔다. 사실 이런 일은 그 훨씬 이전부터 있어 온 듯하다. 이는 쿠쿠낭칼 부족이 이 산을 ‘칼카자카’라고 부른 것에서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 이 말은 쿠쿠낭칼 부족 언어로 ‘사라지는 장소’(the place of the spear)라는 뜻이다.

십턴씨는 이 지역 방문자들에게 ‘칼카자카’를 포기하고 쿡타운과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Great Barrier Reef)의 그림 같은 해안선이 내려다보이는 마운트 쿡(Mount Cook)의 3km 트레킹 코스를 추천했다.

한편 이곳 국립공원 당국은 특히 도마뱀, 자주색 비단뱀(amethystine python), 쿠올(quolls. 호주와 파푸아뉴기니 등에 서식하는 작은 체구의 주머니고양이)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5 Kalkajaka-1.jpg

블랙 마운틴 국립공원(Black Mountain National Park. 사진)은 이곳 원주민 쿠쿠낭칼(Kuku Nyungkal) 부족이 ‘칼카자카’(Kalkajaka)라고 부르는 곳으로, 이는 부족 언어로 ‘사라지는 장소’를 뜻한다. 사진 : QLD 주 정부

 

5 Kalkajaka-2.jpg

이곳을 여행하는 이들에게 쿠쿠낭칼 부족은 대신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Great Barrier Reef)의 그림 같은 해안선이 내려다보이는 마운트 쿡(Mount Cook)을 권한다. 사진 : 퀸즐랜드 관광청

 

원주민들의 성역은

어디에든 있다

 

수만 년, 각 지역별로 터를 잡고 살아온 호주의 여러 원주민 부족들에게는 나름대로 성스럽게 여기는 장소들이 있다. 신성 장소들 이외에도 원주민들이 방문객들에게 출입을 자제하거나 신성시 하는 대상에 대해 나름의 예를 지켜줄 것을 당부하는 곳들은 더욱 많다.

원주민 문화를 연구하는 마샤 랭턴(Marcia Langton) 교수(멜번대학교 ‘Australian Indigenous Studies’ 설립자)는 지난 2018년 출간한 저서 <Welcome to Country: A Travel Guide to Indigenous Australia>을 통해 원주민 문화 지역을 여행하는 이들에게 이에 관한 광범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랭턴 교수는 이 책에서 “이 땅에 대한 광범위하고 역사적인 지식을 기반으로 각 지역의 전통적 소유주(해당 지역 원주민 부족)들은 이상적인 여행 가이드를 제공한다”고 언급한다. 원주민들이 각 지역의 문화적 요소들, 역사, 오랜 삶을 통해 자신들이 체득한 지식 등을 폭넓게 전해준다는 얘기다.

여행자들은 원주민이 운영하는 문화투어에 참여하거나 원주민 가이드를 활용함으로써 이들에게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줄 수도 있다. 여행자들이 각 지역의 원주민 문화단체와 함께 하는 것은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호주 원주민의 생활문화를 보존하는 데에도 일조하는 일임에 분명하다.

각 주(State) 국립공원 관리 당국은 웹사이트를 통해 호주 여행자들이 각 지역을 방문하는 것에 관련된 정보 뿐 아니라 어떤 문화적 요소들을 품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6 Aborigin.jpg

원주민 문화를 연구하는 멜번대학교 ‘Australian Indigenous Studies’의 마샤 랭턴(Marcia Langton) 교수의 <Welcome to Country: A Travel Guide to Indigenous Australia>. 랭턴 교수는 원주민 문화 지역을 여행하는 이들을 위해 광범위한 정보를 담아냈다. 사진 : 김지환 / 한국신문 객원기자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0 울룰루.jpg (File Size:64.3KB/Download:63)
  2. 1 Wollumbin-1.JPG (File Size:90.7KB/Download:37)
  3. 1 Wollumbin-2.jpg (File Size:42.9KB/Download:31)
  4. 2 The Blue Hole-1.jpg (File Size:92.1KB/Download:33)
  5. 2 The Blue Hole-2.jpg (File Size:81.9KB/Download:31)
  6. 3 St Mary Peak-1.jpg (File Size:119.8KB/Download:37)
  7. 3 St Mary Peak-2.jpg (File Size:49.4KB/Download:58)
  8. 4 Biamanga Cultural Area-1.jpg (File Size:93.7KB/Download:32)
  9. 4 Biamanga Cultural Area-2.jpg (File Size:77.4KB/Download:32)
  10. 5 Kalkajaka-1.jpg (File Size:61.9KB/Download:23)
  11. 5 Kalkajaka-2.jpg (File Size:54.2KB/Download:30)
  12. 6 Aborigin.jpg (File Size:118.8KB/Download:3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351 호주 호주 전체 근로자 거의 절반, 부채에 ‘허덕’... 정신건강 전문가들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15.
6350 호주 호주 전역의 캐러밴 여행자들, 현지 투어리스트 파크에 발 묶여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6349 호주 호주 전역에서 주택 임대료 상승... 일부 지역, 최대 50%↑ file 호주한국신문 21.07.15.
6348 호주 호주 전역 주택가격 상승... 70만 달러 대 구입 가능한 곳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2.
6347 호주 호주 전역 부동산의 36%, 임대보다 구입이 저렴...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6346 호주 호주 전역 도시의 여름, 겨울 비해 두 배 길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0.04.16.
6345 호주 호주 전역 대도시 주택가격 오름세 보이지만... 상승 속도는 더디게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6344 호주 호주 전 지역서 주택 거래에 소요되는 기간, 크게 짧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1.07.22.
6343 호주 호주 전 산업 부문에서 성별 임금격차 ‘뚜렷’... 해결 위한 조치는? file 호주한국신문 24.03.07.
6342 호주 호주 저명 학자, “중국 정부로부터 침묵 강요당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11.16.
6341 호주 호주 작가 플레러 맥도널드, “미국 ‘Books3’가 작품 내용 도용” 제기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6340 호주 호주 자동차 제조업 붕괴로 20만 개 일자리 사라져 호주한국신문 14.04.17.
6339 호주 호주 입국 난민 희망자들, 평균 대기기간 9개월 호주한국신문 14.05.08.
6338 호주 호주 임대주택 시장, 높은 수요 비해 공급은 제자리... 임차인 ‘고통’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6337 호주 호주 임금 성장률 20년만에 최저치 기록 톱뉴스 17.09.13.
6336 호주 호주 임금 상승률, 물가 상승률 ‘간발차’ 추월 톱뉴스 18.03.01.
6335 호주 호주 일자리 호황 속 ‘안정적 실업률’ 이어져... RBA의 이자율 인상 ‘압력’ file 호주한국신문 23.04.20.
6334 호주 호주 일자리 붐, 주인공은 여성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6333 호주 호주 일자리 도심 편중... “출퇴근 문제 심각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25.
6332 호주 호주 인구증가율, 선진국 가운데 최고... 과연 사실인가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6331 호주 호주 인구시계... 중간 연령 37세로 집계 file 호주한국신문 16.06.02.
6330 호주 호주 인구성장률 감소 불구, 지속적인 주택가격 상승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6329 호주 호주 인구, 역사적 이정표... 8월 초 2천500만 명 넘어설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6328 호주 호주 인구 진단- 인프라 상황 file 호주한국신문 18.03.15.
6327 호주 호주 인구 진단- 고령화 진입 file 호주한국신문 18.03.15.
6326 호주 호주 인구 빠르게 늘어, 16일 새벽 2400만 명 돌파 file 호주한국신문 16.02.18.
6325 호주 호주 이민자, 10년 만에 최저... 연 해외 유입 10%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6324 호주 호주 이민자 지방분산정책, 영주 이민자 수 감소 초래 톱뉴스 19.09.10.
6323 호주 호주 이민부, 글로벌 우수 인재 5천명에게 영주권 부여 톱뉴스 19.08.20.
6322 호주 호주 의학계 "시드니 대기 오염, ‘공중 보건 비상 사태’" 강력 경고 톱뉴스 19.12.17.
6321 호주 호주 의약품 규제당국, COVID-19 예방치료제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6320 호주 호주 의약품 규제 당국, 화이자 COVID-19 백신 추가접종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6319 호주 호주 의사단체, ‘설탕세’(Sugar Tax) 도입 권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11.17.
6318 호주 호주 의료계, '신종 코로나' 사망 원인은 급성 폐렴! 치료시기가 가장 중요… 호주브레이크.. 20.02.08.
6317 호주 호주 의대생, “의대 입학 정원 축소하라” 톱뉴스 17.09.08.
6316 호주 호주 응급실에서 주목받는 ‘침술’ 톱뉴스 17.07.14.
6315 호주 호주 음악치료사의 ‘Every Little Cell’, 지구촌으로 퍼져나가 file 호주한국신문 20.04.02.
6314 호주 호주 육상 영웅, 베티 커스버트 사망... 79세로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
6313 호주 호주 육상 ‘올림픽 금메달 소녀’ 베티 커스버트 별세…향년 78세 톱뉴스 17.08.11.
6312 호주 호주 육군 장성 출신 데이빗 헐리, 차기 호주 총독 지명 file 호주한국신문 18.12.19.
6311 호주 호주 유일 ‘이중언어’ 학교 캠시초등, 내년도 유치원생 모집 file 호주한국신문 15.12.17.
6310 호주 호주 유엔인권이사국 진출… “북한인권 유린 실태 부각시킬 것” 톱뉴스 17.10.19.
6309 호주 호주 유아용 조제분유서 유해물질 검출 톱뉴스 17.07.10.
6308 호주 호주 유권자들, 세금인상 우려해 연립 여당 지지 file 호주한국신문 16.03.17.
6307 호주 호주 유권자들 표심, 집권여당보다 ‘개인 집중’ 드러내 file 호주한국신문 18.06.28.
6306 호주 호주 유권자 46%, “무슬림 이민자 수용 제한 원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1.22.
6305 호주 호주 유권자 2/3 동성결혼 우편투표 참여 톱뉴스 17.10.30.
6304 호주 호주 월드컵 대표팀, 예비 엔트리(30명)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5.15.
6303 호주 호주 원주민의 고대 양식장,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 file 호주한국신문 19.07.11.
» 호주 호주 원주민들의 성역, 울룰루만 있는 게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