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에서 인구 고령화로 치매 및 알츠하이머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이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료 전문가들의 연구도 계속 진행되고 있다. 최근 ABC 방송은 뉴스 프로그램을 통해 치매 관련 약물의 임상시험 결과 치매 예방 및 치료에 낙관적임을 보여주는 소식을 전해 눈길을 끌었다. 사진은 초기 치매 진단을 받은 카렌 쿡(Karen Cooke. 오른쪽)씨.
호주 연구진의 시도, 알츠하이머 환자에 희망 될 수 있을까
멜번 기반 ‘Austin Health’의 연구, 치매 치료의 획기적 시도로 평가
카렌 쿡(Karen Cooke)씨는 손녀 파이틴(Paityn)에게 책 읽어 주는 것을 좋아한다. 하지만 근래 기억이 쇠약해진 쿡씨에게 있어 이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파이틴은 종종 쿡씨를 보며 이렇게 말하곤 한다. “할머니, 그건 이미 말한 거잖아.”
이제 불과 54세인 쿡씨는 2년 전 초기 치매 진단을 받았다. 쿡씨는 자신의 증상에 대해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몽롱한 디스코 조명’(disco haze)과 같은 질병”이라고 표현했다.
초기 치매 진단 후 쿡씨는 빅토리아 주의 작은 도시 벤디고(Bendigo)에 있는 딸 렉시(Lexie), 손녀 파이틴과 함께 살며 기억상실에 대처하기 위한 실질적인 변화를 꾀하고 있다. 쿡씨 입장에서 하루하루는 복잡한 상황이다. 하지만 치매 질병 연구원들은 치매 환자들에게 희망이 없는 게 아니라고 말한다.
지난 11월27일(수) ABC 방송 뉴스 프로그램 중 하나인 ‘7.30’는 현재 진행 중인 치매-알츠하이머 관련 약물의 임상시험 진행 소식을 전해 눈길을 끌었다.
멜번(Melbourne)에 기반을 둔 의료 전문 서비스 기관 ‘Austin Health’의 마이클 우드워드(Michael Woodward) 박사는 더 나은 치료를 위한 노력의 효과가 조속한 시일 내에 이루어지지는 않을 것이지만 현재 입장에서는 낙관적임을 감추지 않는다.
우드워드 박사는 치매 진단을 받는 호주인 수가 급증할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현재 기후변화 상황에서 사람들은 지구 온난화, 쓰나미, 테러 위협 등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현실에서 치매와 알츠하이머(Alzheimer) 질병은 슬프게도 우리 사회에 이미 닥친 쓰나미”라면서 “이제 우리는 이 치매라는 쓰나미에 맞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현재 쿡씨에게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에 면역측정기로 사용되는 단세포항체 ‘gantenerumab’이라는 새로운 약물이 임상시험 형태로 제공된다. 이는 체내 물질에 결합하는 단일 클론 항체(실험실에서 제조한 단백질)이다. 의사들은 이 약물에 대해 “낙관적”이라며 “그 동안 의료진들이 기다려왔던 치매 관련 약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는 이 약물 임상시험에는 수천 명이 참여했다. 쿡씨는 멜번의 ‘Austin Hospital’에서 임상시험 치료를 받는 21명의 치매 환자 가운데 한 명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 약물은 치매 환자의 뇌에서 발견되는 독성 단백질 아밀로이드(amyloid)에 달라붙어 이를 제거하도록 설계된 단백질이다.
카렌 쿡씨의 금붕어 어항에 붙여 놓은 표식. 이런 표시를 하지 않을 경우 카렌씨는 하루에도 여러 번 먹이를 주곤 한다고 털어놓았다.
멜번의 ‘Austin Hospital’에서 진행하는 치매 치료 약물 임상시험에 참여한 카렌씨가 'gantenerumab’ 약물을 투여 받고 있다.
애초 ‘Austin Health’가 시작한 초기 시험 결과는 실망스러웠다. 하지만 연구진은 복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알츠하이머 환자의 기능저하 속도를 늦추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현재 진행되는 시험을 통해 치매 환자의 기억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알기까지 적어도 2년은 소요될 것이라고 말한다.
우드워드 박사는 “우리는 이 약물이 임상적으로 이로운지 확인하고 싶다”며 “만약 환자의 기억력이 향상된다면 이 약물은 일상적인 기능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실 우리는 치매 질병이 느리게 진행되는 것을 보여줄 수도 있다”며 희망을 드러냈다.
치매 환자 가족을 돌본 적이 있는 린다 잭슨(Linda Jackson)씨 또한 “치매로 어려움을 겪는 어머니를 보는 게 정말 고통스러웠다”고 회상했다. “누군가 치매를 ‘기나 긴 작별 인사’라고 표현한 것처럼, 실제로 그런 시간이었다”는 잭슨씨는 “어머니는 다른 모든 기억을 잃어버렸음에도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우리 가족은 알아보았다”고 말했다.
서부 호주 퍼스(Perth, WA)의 마운트 플레즌트(Mt Pleasant)에 거주하는 잭슨씨(69)는 아직 치매 증상을 보이지 않지만 가족 병력은 그녀를 조심스럽게 하고 있다. “우리 가족 누구도 치매를 겪지 않았으면 한다”는 게 그녀의 바람이다.
잭슨씨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cortisol)의 신체 내 생성을 차단함으로써 알츠하이머 발병을 막고자 하는 새 약물 ‘Xanamem’ 임상시험을 마친 상태이다. 그녀는 “이 약이 실제로 효과적이고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필요한 경우를 대비해 10년 내 사용이 가능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의료 전문가들은 코티솔 수치가 장기간 상승할 경우 기억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고 있다. 우드워드 박사는 “스트레스 및 기타 과정과 관련된 높은 수준의 코티솔은 인체 건강에 전반적으로 좋지 않지만, 특히 뇌에 치명적이며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인다”고 설명했다.
치매 어머니를 돌보며 그 고통을 이해하게 되었다는 린다 잭슨(Linda Jackson/ 69)씨는 가족 병력인 치매를 사전에 막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현재 진행 중인 약물 시험에 희망을 걸고 있다. 사진은 기억회복 훈련을 하고 있는 잭슨씨.
‘Xanamem’을 만들어낸 ‘Actinogen’ 제약회사의 빌 케텔비(Bill Ketelbey)씨는 “초기 연구는 (치매 차단에) 유망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가장 최근의 연구에서 우리는 건강한 노인들에게 매일 20밀리그램을 투여했고, 이를 통해 그들의 인지 능력이 빠르게 향상, 지속됐음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치매 관련 약품의 최근 임상시험 결과는 낙관적이지만 이 약이 널리 처방되기 위해서는 알츠하이머 환자들에게 효과가 있다는 더 많은 증거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이제 다음 단계에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시험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12주의 임상시험에서 이 약물을 복용한 잭슨씨는 “치매, 알츠하이머 환자들이 어떤 종류의 치료 방법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며 이 약물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벤디고의 카렌 쿡씨는 지금, 치매 증상을 위해 기적을 바라는 것 이상을 하고 있다. 그녀는 활동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뇌를 예민하게 유지하는 길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의료 전문가들에 따르면 그녀의 이 확신은 틀리지 않다. 그녀는 매일 탁구를 하고 매일 최대 20km를 걸으며, 체육관에도 간다.
쿡씨는 “이처럼 힘들게 운동을 하지 않고도 하나의 문장을 잘 묶을 수 있다면 다행”이라며 “지금 나는 상당히 힘든 과정을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운동을 하면서 뇌에 산소가 충분히 공급됨에 따라 ‘정상’이라는 느낌을 받기도 한다”며 “요양원으로 가기를 원치 않기에 현재 최대한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알츠하이머-치매 관련 포인트
- 알츠하이머는 사고, 행동 및 일상 업무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치매의 한 형태이다.
- 치매는 40만 명 이상의 호주인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현재 두 번째로 큰 사망 원인이다.
- 현재 호주는 인구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2028년 알츠하이머 환자는 58만9천 명 이상, 2058년에는 100만 명 이상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치매 관련 정부의 의료비용 부담은 현재 연간 140억 달러 이상에 달한다.
- 현재 이에 대한 치료 방법은 없지만 전문가들은 약물 및 라이프스타일 기반의 예방 및 치료방법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 종합(치매 1).jpg (File Size:63.2KB/Download:33)
- 종합(치매 2).jpg (File Size:50.3KB/Download:31)
- 종합(치매 3).jpg (File Size:63.8KB/Download:24)
- 종합(치매 4).jpg (File Size:49.9KB/Download: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