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기후정책 1).jpg

베를린에 기반을 둔 ‘NewClimate Institute’가 지난해 12월 마드리드에서 개최된 유엔 기후변화 회의에 앞서 내놓은 ‘2020 Climate Change Pergormance Index’ 결과 호주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이 전 세계 조사 대상 57개 국가 중 최악으로 평가됐다. 사진은 가뭄으로 물이 말라가는 농장의 저수 댐. 사진 : NSW Environment Protection Authority

 

호주의 기후변화 관련 정책, 전 세계 57개 국가 중 최악

‘Climate Change Performance Index 2020’, 호주 정책 평가 ‘0점’

 

국민당 부대표이자 모리슨(Scott Morrison) 정부에서 농업부 장관에 임명된 브리짓 맥켄지(Bridget McKenzie) 의원은 최근 빅토리아 주의 한 총기클럽(Gun club)에 대한 스포츠 지원금 승인 문제와 불법 논란이 벌어져 금주 초 모리슨 총리가 그녀의 장관직 사임을 발표했는데, 그녀는 그동안 호주 정부가 기후변화에 대응한 정책적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줄곧 주장해 온 바 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2째 주 국제적 기후 관련 기구가 내놓은 한 조사 자료는 그녀의 일관된 주장을 무색하게 한다. 베를린에 기반을 둔 ‘NewClimate Institute’의 ‘2020 Climate Change Performance Index’는 호주의 기후 관련 정책에 대해 전 세계 57개 국가 중 최악으로 평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NewClimate Institute’는 ‘Climate Action Network’, ‘Germanwatch’, ‘Climate Action Network International’ 등 기후변화 관련 싱크탱크와 함께 △온실가스 배출, △재생에너지 활용, △에너지 사용, △기후변화 정책 등 4가지 정책적 행동을 점수로 집계하고 있는데, 올해 평가에서 호주가 받은 점수는 0점이었다. 온실가수 배출 및 재생에너지 활용 부문에서 호주는 ‘낮은 수준’, 에너지 사용 및 기후 정책에서도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보고서는 “모리슨 정부가 국제 기후변화 정책 협상에서 퇴보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며 “유엔의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보고서 묵살, 지난해 9월 개최된 유엔 ‘Climate Action Summit’ 불참, ‘Green Climate Fund’ 철회 등은 전반적인 기후변화 정책에 대한 낮은 평가를 뒷받침한다”고 비난했다.

한편, 같은 평가에서 포르투갈은 가장 높은 순위를 보였으며 핀란드, 모로코, 스웨덴, 리투아니아, 덴마크가 뒤를 이었다.

 

종합(기후정책 2).jpg

세계 각국의 기후 관련 정책 및 대응 정도를 평가하는 ‘Climate Change Performance Index’의 올해 호주 평가와 관련, 정부의 입장을 묻는 국내 미디어의 질문에 대해 스콧 모리슨 총리는 이번 보고서의 신뢰성을 언급하면서 “믿을 만한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사진은 ABC 방송화면 캡쳐

 

시드니모닝헤랄드 및 ABC 등 ‘Climate Change Performance Index’와 관련, 정부의 입장을 묻는 호주 미디어의 질문에 대해 모리슨 총리는 이번 보고서의 신뢰성을 언급하면서 “믿을 만한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또한 이번 평가 보고서가 공개된 직후 마드리드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 회의에 참석한 앵거스 테일러(Angus Taylor) 호주 연방정부 에너지성 장관은 주요 연설에서 현재까지 270만 헥타르를 전소시킨 올해 호주 산불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이번 기후정책 지수는 호주가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처 목표를 달성하고자 수치상의 속임수를 사용했다는 비난을 받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호주 탄소배출의 15%에 이르는, 농업 부문을 감독하는 당시 맥켄지 장관은 수치상의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해 이월 크레딧(carry-over credits)이라는 편리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은 것.

 

종합(기후정책 3).jpg

산불이 기승을 부리던 지난 1월 초 NSW와 빅토리아 주의 산불 발생 지역을 보여주는 산불 지도. 당시 NSW 주 동부 해안 및 해안 인근 내륙의 산불 발생 지역은 130여 곳에 이르렀다.

 

호주는 지난 1997년 교토의정서에서 명시한 온실가스 배출 제한 수준을 초과하여 국내외적으로 논란을 빚고 있다. 하지만 맥켄지 전 장관은 지난해 12월 11일(수) 국내 미디어 컨퍼런스에서 “정부는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면서 “국민들은 정부가 하는 방식을 좋아하지 않을 수 있겠지만 정부가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는다고 말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맥켄지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그러나 NSW 자유당 의원들 사이에 기후변화에 대한 확연한 시각 차이와도 비교되는 대목이다. 전날인 12월 10일(화), NSW 주 정부 환경부를 담당하는 매트 킨(Matt Kean) 장관은 올해의 전례 없는 산불에 대해 “기후변화를 종교적 문제로 치부하는 것을 중단하고 과학적 문제로 보아야 한다”고 일침을 가했다. 교육부 사라 미첼(Sarah Mitchell) 장관이 “산불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에 대한 것은 철학적 논쟁”이라고 말한 것에 대해 킨 장관은 올해 특히 강력해진 산불 등 자연재해가 기후변화에 기인한 것임을 주장한 것이다.

킨 장관은 “과학계의 의견은 보다 강력해진 산불이 기후변화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탄소배출 감소라는 우리가 할 수 있는 방법만으로도 지구 온난화를 2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올 여름 들어 전국을 강타한 가뭄 및 예년보다 일찍 시작된 대규모 산불 사태로 인해 엄청난 피해 지역 및 규모가 확대되는 가운데, 국내 각계에서는 이 같은 자연재해들이 기후변화에 기인한 것이라며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을 촉구하는 상황이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기후정책 1).jpg (File Size:86.3KB/Download:15)
  2. 종합(기후정책 2).jpg (File Size:42.6KB/Download:18)
  3. 종합(기후정책 3).jpg (File Size:30.6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601 호주 NSW 주 정부, 전력망의 49% 민간에 임대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0 호주 NSW 교통부장관, “시드니 고속철도 건설, 3년 내 착수” 호주한국신문 14.06.12.
6599 호주 ‘Y 세대’ 수요증가로 시드니 지역 아파트 건설 붐 호주한국신문 14.06.12.
6598 호주 한인회, 일본 및 중국정원 탐방 호주한국신문 14.06.12.
6597 호주 지난 주 부동산 경매 낙찰률 75.6%, 다소 낮아져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6 호주 한국현대미술전, 카나본 골프클럽서 개막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5 호주 NSW 주 고교연합, 세월호 피해자 ‘위로 메시지 북’ 제작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4 호주 ‘행복을 전하는 한국민화’, 이번엔 어번 시에서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3 호주 텔스트라(Telstra), ‘홈 번들-글로벌’ 상품 출시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2 호주 “전 세계 시민단체와 논의, ‘G20’ 의제 결정할 것”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1 호주 신종 마약 ‘스냅챗’ 복용으로 병원 치료 호주한국신문 14.06.20.
6590 호주 시드니 이너 시티 및 다윈, 실업률 가장 낮아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9 호주 온라인 데이트 사기, “돈 잃고 마음 다치고...”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8 호주 비만, 폭음 등으로 젊은 층 심장질환자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7 호주 “길거리 스마트폰 문자 사용, 사고위험 높다” 경고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6 호주 도심 및 유흥지구 대상 강화된 음주법 관련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5 호주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카운셀러들, ‘업무 과다’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4 호주 호주의 검은 심장 ‘The Block’ 철거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3 호주 NSW 주 예산안, 취약 계층을 위해 10억 달러 사용 호주한국신문 14.06.20.
6582 호주 달링스퀘어(Darling Square) 1차 분양, 하루 만에 ‘완판’ 호주한국신문 14.06.26.
6581 호주 “세월호 참사를 잊는 순간이 바로 제2의 참사입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6580 호주 “언어 학습은 가정에서 시작됩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9 호주 김봉현 주호주대사 빅토리아 주 공식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8 호주 조선시대 화가들의 작품, ‘현대’로 재탄생되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7 호주 “평화헌법 입법 취지와 진정성 유린 말라”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6 호주 한국문화원, ‘한식요리 경연’ 시드니 예선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5 호주 연방 정부, 테러 방지 위해 새 여권 도입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4 호주 불법 바이키 갱 ‘헬스엔젤스’ 조직원 습격당해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3 호주 ‘초이스’(choice), 아이들 인기 간식 영양 평가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2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새 열차라인 계획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1 호주 주 정부의 부동산 매입 보상금, 현실성 떨어져 호주한국신문 14.06.26.
6570 호주 법원, 론 울프 바이키 갱 살해범에 징역 20년 구형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9 호주 이집트 법원, 호주인 기자 등에 징역 7년형 선고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8 호주 항우울제 등 신경치료제 복용 아동 크게 증가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7 호주 서방국가들, 아랍계 자국민의 ISIS 합류로 ‘골치’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6 호주 ISIS는 어떤 세력인가...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5 호주 호주인들, 수명 길어진 반면 만성질환도 많아 호주한국신문 14.06.26.
6564 호주 시드니, 새 아파트 수요 높아... 주택시장 활기 입증 호주한국신문 14.07.03.
6563 호주 6월 마지막 주 부동산 경매 낙찰률 74.1%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7.03.
6562 호주 “한인 동포를 비롯한 은행 고객들에게 감사...” 호주한국신문 14.07.03.
6561 호주 ‘코윈’ 호주지회, ‘건강’ 주제의 정기 세미나 마련 호주한국신문 14.07.03.
6560 호주 한인회, ‘문화 예술의 전당’ 순조로운 진행 기원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9 호주 한국문화원, ‘Good Food & Wine Show 2014’ 참가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8 호주 인종차별법을 둘러싼 조지 브랜디스와 ‘IPA’의 오류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7 호주 UTS, 최신 영어교육 프로그램 한국 보급키로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6 호주 퀸즐랜드 한인회, 영사관 민원업무 대행 협약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5 호주 캠시 주민들과 만난 봅 카 전 NSW 주 수상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4 호주 NSW 공정거래부, 비승인 USB 충전기 판매 조사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3 호주 “다민족 사업자 지원 위한 산업자문관 임명 계획” 호주한국신문 14.07.03.
6552 호주 어번타운센터, 업그레이드 공사 마치고 공식 ‘오픈’ 호주한국신문 14.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