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IMF, 2003년 사스 이후 최대 구제책
 

2.png

▲ 신종 폐렴 바이러스로 인하여 홍콩 내 소매매출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어 많은 소매점들이 문을 닫고 있다. (사진=scmp)


신종 코로나 확산으로 도시 경제가 추가적인 타격받게 되자 HSBC, 스탠다드 차타드 등 홍콩 은행들이 개인 및 중소기업 고객들에 대한 구제책들을 서둘러 내놓고 있다. 신종 코로나는 이미 수개월 동안 홍콩 시위와 미중 무역전쟁으로 침체될대로 된 홍콩 경제에 추가 경제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요식업, 소매업, 관광업 등이 가장 많은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되면서 은행들이 수수료 면제, 대출 원금 상환 면제 등 다양한 구제책들을 마련하고 있다. 이처럼 은행들이 대규모 구제책을 내놓은 것은 1998년 IMF, 2003년 사스 이후 3번째이다.

 

중국은행(홍콩)은 홍콩 은행 중 가장 먼저 구제책을 발표한 은행으로, 주택 담보 대출 고객에게 최고 1년까지 대출 이자만 상환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또한 중소기업에 대해서 5년 상환, 최고 2백만 홍콩 달러 저이자 대출 승인 절차를 간소화했다. 이밖에도 바이러스 방지를 위한 마스크 및 기타 의료 장비를 생산하는 기업에 대해서 은행 계좌 개설, 송금 및 지불 등 절차를 용이하게 해주고 모든 수수료를 면제한다고 발표했다. HSBC, 스탠다드 차타드도 중국은행(홍콩)과 비슷한 행보를 걷고 있다.

 

동아은행은 고객에게 담보대출 이자만 상환하도록 허용하며, 기업 또는 개인 대출에 대해서 부채를 재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동아은행 대변인은 “코로나바이러스 발발로 개인 및 기업 고객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고객들을 돕기 위해 적극적으로 구제책들을 마련할 것이며, 고객 개별 상황에 따라 다양한 구제책들을 제공할 것이다”고 말했다.

 

항생은행 대변인은 담보 대출 고객뿐 아니라 모든 고객들에게 무역 금융, 기업 대출, 부동산 대출에 대하여 원금을 제외하고 대출 이자만 상환할 수 있도록 한다고 밝혔다. 또한 6월 30일 이전까지 온라인으로 대출 신청을 한 중소기업들에게는 대출 신청 수수료를 면제한다. 홍콩주택금융공사(Hong Kong Mortgage Corporation)의 중소기업 금융보증제도(SME Financing Guarantee Scheme)에 가입하는 고객에 대해서는 최초 1년의 보증 비용(guarantee fee)을 대납해준다. 중소기업 금융보증제도는 중소기업들이 매년 보증 비용만 지불하면 최대 1,500만 홍콩 달러까지 저금리로 대출받을 수 있다.

 

홍콩 시위와 신종 코로나로 인한 경제 이중고를 겪고 있다. 바이러스 확산 이전, 홍콩 정부는 이미 2019/20년에 15년 만에 재정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폴 찬 모포 재무장관은 지난 2일, 2019년 홍콩 경제 성장률이 1.2%로 감소했으며 이번 신종 코로나 확산으로 관광객 및 소비가 감소해 2020년에 추가적인 경제 성장 위축을 보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뤄 치퀑 노동복지부 장관은 지난 달 실업률이 기존 3.3%에서 올해 4~5%로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중소기업들은 이번 은행들의 구제책에 대하여 환영했지만 모든 구제책들이 도움이 될지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했다. 침사추이에서 일본식 바비큐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아이반 웡 대표는 “코로나바이러스는 홍콩 시위보다 훨씬 심각하다. 시위 때는 최소한 시위 일정이 없는 날이면 사람들이 외식을 했지만 바이러스 확산으로 사람들이 외부활동을 최소화하고 집에만 머물고 있다”고 말하며 “이번 은행들의 구제책들을 통해 현금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저이자 대출 제도를 찾아볼 것이다. 저이자 대출 자체는 큰 도움이 되겠지만, 이자만 상환하는 구제책이 과연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다”고 밝혔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2.png (File Size:817.1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416 홍콩 치솟은 홍콩 부동산 가격... 20년 만에 최고치 홍콩타임스 17.07.08.
1415 홍콩 홍콩에도 위안부 넋 달래는 소녀상 설치...홍콩일본대사관 철거 요구 홍콩타임스 17.07.10.
1414 홍콩 세계 최장 해상대교 강주아오 대교...해저터널 공사 끝나 홍콩타임스 17.07.14.
1413 홍콩 중국 민주화의 아버지... 류샤오보 사망 홍콩타임스 17.07.14.
1412 홍콩 홍콩 한류상품박람회... 성황리에 폐막 홍콩타임스 17.07.17.
1411 홍콩 케이팝 월드 페스티벌 홍콩 예선... 현지 한류 인기 실감 홍콩타임스 17.07.17.
1410 홍콩 한여름의 독감... 홍콩 당국 개선에 힘써 홍콩타임스 17.07.24.
1409 홍콩 홍콩 고등법원... 범민주 입법위원 4명 자격 박탈 홍콩타임스 17.07.24.
1408 홍콩 7호 태풍 로키 홍콩 상륙...큰 피해 없이 지나가 홍콩타임스 17.07.24.
1407 중국 “중미 사이에 낀 문재인, 실용적 대외전략으로 전환” 코리아위클리.. 17.07.26.
1406 중국 노동당, 의문의 중국계 담배수입자로부터 거액의 정치자금 수령 톱뉴스 17.08.01.
1405 홍콩 홍콩 행정부, 서구룡역 중국에 임대...일국양제 침해받나 홍콩타임스 17.08.04.
1404 중국 중국인민해방군 창군 90주년... 이례적 열병식 홍콩타임스 17.08.04.
1403 중국 북핵 문제...미국과 중국 입장 뚜렷한 차이 [1] 홍콩타임스 17.08.04.
1402 홍콩 세법개정안 발표... '거주자 판정' 완화 홍콩타임스 17.08.05.
1401 중국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2371호' 채택 홍콩타임스 17.08.10.
1400 중국 쓰촨성 7.0 지진... 19명 사망... 247명 부상 홍콩타임스 17.08.10.
1399 중국 ‘북미전쟁? 중국때문에 불가능’ file 뉴스로_USA 17.08.13.
1398 홍콩 홍콩 힝탁초등학교, 정부지원금 예산 삭감 막으려 학생 수 허위보고 의혹 홍콩타임스 17.08.17.
1397 홍콩 홍콩 경찰, IS 관련 가사도우미 신원확보 및 철저한 감시 홍콩타임스 17.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