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코로나불안감)1.jpg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불안감이 식료품 및 가정용품 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 시점에서 필요 이상의 물품 구입은 적절하지 않다며 다만 공급망 차질을 대비해 약간의 음식물 등을 비축해 놓은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사진은 시드니 지역 한 울워스(Woolworths) 매장의 텅 빈 가정용품 진열대.

 

‘코로나 바이러스’ 불안감, 바이러스처럼 확산되나

식료품 ‘사재기’ 현상 ‘꿈틀’… 대형 슈퍼마켓, “공급망 이상 없다” 강조

 

시드니 서부 지역에 거주하는 주부 밀리(Milly)씨는 최근 여분의 방을 식료품 저장실로 만들며 ‘마치 최후의 심판일 같은 기분’을 느낀다고 말한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고, 호주에서도 확진 환자가 늘어나면서 그녀는 통조림 콩과 야채 및 과일, 화장지, 고양이 먹이, 반려견 사료 등 식료품들과 생활필수품들을 집에 비축해 놓기 시작했다.

5살짜리 아들이 천식을 앓고 있기에 그녀가 미리 준비하는 물품 중에는 관련 의약품도 있다. 그녀의 아들은 지금 아동병원에 입원 중이다. “이번 바이러스가 특히 신경 쓰인다”는 밀리씨는 “병원을 방문하다 보면 아들이 감염될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현재 밀리씨의 아들은 두 가지 종류의 천식 예방제와 매주 2회 구강 스테로이제를 복용하고 있다. 또 매일 4-6시간마다 호흡기를, 또 거의 매일 밤 의료용 분무기(nebuliser)를 사용해야 한다.

밀리씨가 필요 물품을 비축하기 시작한 것은 이런 불안감 때문인지도 모른다. 실제로 호주 국내에 코로나 바이러스 공포가 커져가면서 식품 및 생필품을 비축해 놓으려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울워스(Woolworths), 콜스(Coles) 등 대형 슈퍼마켓의 식료품 및 생필품 진열대 물품들이 금세 동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는 60개 이상 국가에 전파됐으며, 호주의 경우 3월 4일(목) 현재 41명의 확진자들이 나온 상태이다. NSW 주에는 60대 한인 여성을 포함하여 총 16명을 기록했다.

 

종합(코로나불안감)2.jpg

콜스(Coles) 슈퍼마켓의 가정용품 진열대에 붙어 있는 공지문. “수요 급증에 따라 항박테리아 손 세정 제품이 동이났다“는 안내문 내용은 소비자들이 관련 제품들을 가장 많이 사재기(panic-buying) 하고 있음을 짐작케 한다.

 

전문가들 대다수,

“‘사재기’ 할 필요는 없다”

 

퀸즐랜드대학교(University of Queensland) 바이러스 전문가인 이안 맥케이(Ian Mackay) 교수는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는 앞으로도 최소 몇 주에서 수개월가량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맥케이 교수는 “하지만 현 시점에서 필요 물품을 사재기(panic-buying) 할 필요는 없다”며 “단지 쇼핑을 할 때 평소와 달리 트롤리에 약간의 물품을 추가하는 정도가 현명하다”고 강조했다. “약간의 건조식품류, 말린 과일 등을 비축해 놓는 정도가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또한 그는 “만약 의약품 처방전이 있다면 미리 구매해 놓을 것”을 권했다. 맥케이 교수는 이어 “이 같은 ‘준비’는 식료품 공급망에 차질이 발생하는 경우(예를 들어 식료품 트럭 기사의 감염으로)를 대비하는 수준”이라며 “다만 이런 ‘준비’가 너무 앞서가는 것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같은 전문가들의 조언과는 달리 일반 시민들의 바이러스 불안감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울워스에 따르면 일부 장기 보관이 가능한 식품류 및 가정용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크게 늘어났다. 이와 관련, 울워스 대변인은 “유통업체의 재고 수준은 양호하며, 공급회사와 긴밀하게 협력해 식료품 및 생활용품 공급은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필수품을 대량으로 구매하는 현상은 콜스 슈퍼마켓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콜스 측 대변인은 “현재 일부 항박테리아 손 세정제 및 손 소독제 등이 부족한 상황”이라면서 “소비자들의 불안을 덜어주고자 매장 품목들의 진열 양을 늘렸으며, 향후 원활한 물품 공급을 위해 유통회사와도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NSW 주 북부, 알디(Aldi) 슈퍼마켓의 한 직원은 손 세정제와 화장지를 진열대에 놓자마자 금세 동이 나는 목격담을 전하기도 했다.

 

천식환자는 필요 약품

사전 준비 ‘중요’

 

브리즈번 북부 교외의 GP인 마리아 불턴(Maria Boulton) 박사 또한 자신이 돌보는 환자나 친구들로부터 “많은 이들이 필요한 물품들을 비축하기 시작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불턴 박사는 “아직은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없다”면서 “더 중요한 것은 천식을 앓는 환자들”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의 경우 늘 사용해야 하는 흡입기와 관련 약품이 있으며, 이것들이 제대로 공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독감 시즌이 다가오면서 환자들은 충분한 흡입기가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게 그녀의 조언이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코로나불안감)1.jpg (File Size:89.9KB/Download:14)
  2. 종합(코로나불안감)2.jpg (File Size:59.4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401 뉴질랜드 편안한 노후를 위해서는 키위세이버에 얼마를 예금해야 할까 굿데이뉴질랜.. 15.11.10.
6400 뉴질랜드 2015 Turn Toward Busan(부산을 향하여) 추모 묵념 오클랜드에서도 거행 돼 file 굿데이뉴질랜.. 15.11.12.
6399 호주 한국문화원, 현대미술 세미나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1.12.
6398 호주 힘내라 청춘, 당신의 꿈을 응원합니다! 호주한국신문 15.11.12.
6397 호주 광복회, 국정교과서 ‘왜곡’ 부분 적극 대응 천명 호주한국신문 15.11.12.
6396 호주 “북한 인권 개선은 통일의 로드맵” 호주한국신문 15.11.12.
6395 호주 지난 10년간 주택가격 상승 톱 10 시드니 지역은... 호주한국신문 15.11.12.
6394 호주 지난 주말 시드니 경매 낙찰률, 60% 이하로 호주한국신문 15.11.12.
6393 호주 섹스산업 관련 조폭 단속 요구 목소리 높아져 호주한국신문 15.11.12.
6392 호주 경찰, 200만 달러 규모 대마초 재배지 적발 호주한국신문 15.11.12.
6391 호주 유엔 사무총장의 꿈을 키워가는 케빈 러드 호주한국신문 15.11.12.
6390 호주 이민부 장관, 시리아 난민 수용 확대 가능성 남겨 호주한국신문 15.11.12.
6389 호주 대학 졸업 후 정규직 찾는 데에 5년 걸린다 호주한국신문 15.11.12.
6388 호주 호주 10대 청소년 출산 여성 수치, 크게 낮아져 호주한국신문 15.11.12.
6387 호주 가톨릭 여학교 학생들, 대학진학 가능성 가장 높아 호주한국신문 15.11.12.
6386 호주 시리아-이라크 지역 호주인 테러리스트 수치 ‘감소’ 호주한국신문 15.11.12.
6385 호주 중앙은행, “경제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필요” 호주한국신문 15.11.12.
6384 호주 호주 최대 두 도시가 직면한 문제, “너무 크다” 호주한국신문 15.11.12.
6383 호주 턴불 정부, 의료보험 제도 과감한 개혁 예정 호주한국신문 15.11.12.
6382 호주 호주 사상 최대 미스테리 중 하나, ‘누간핸드 은행’ 호주한국신문 15.11.12.
6381 뉴질랜드 아메리칸 항공 뉴질랜드 노선 개설 소식에 에어 뉴질랜드 항공권 가격 인하 굿데이뉴질랜.. 15.11.14.
6380 뉴질랜드 존 키, "노동당은 성폭행∙살인 범죄자 지지자들” 굿데이뉴질랜.. 15.11.16.
6379 호주 이휘진 총영사, 한인 입양아 한글학교 학생 격려 호주한국신문 15.11.19.
6378 호주 12월 퀸즐랜드(골드코스트, 브리즈번) 순회영사 호주한국신문 15.11.19.
6377 호주 ‘호주 한글학교의 날’ 기해 학생들 격려 호주한국신문 15.11.19.
6376 호주 재외동포재단, 내년도 지원 사업 수요 조사 호주한국신문 15.11.19.
6375 호주 총영사관, 호주 참전용사 초청 오찬행사 개최 호주한국신문 15.11.19.
6374 호주 광복회 호주지회, 순국선열 기념 행사 마련 호주한국신문 15.11.19.
6373 호주 시드니 재외선관위, 선거인등 신고-신청 시작 호주한국신문 15.11.19.
6372 호주 6개국 확대, 2015 베넬롱컵 국제 탁구대회 성료 호주한국신문 15.11.19.
6371 호주 시드니 한인회관 무단 침입 사건 발생 호주한국신문 15.11.19.
6370 호주 봄 시즌 경매시장 둔화 ‘뚜렷’... 일부 지역 여전히 ‘강세’ 호주한국신문 15.11.19.
6369 호주 연말까지 시드니 지역서 6천여 채 경매 예정 호주한국신문 15.11.19.
6368 호주 마틴 플레이스 크리스마스 트리, 26일(목) 점등 호주한국신문 15.11.19.
6367 호주 학업-인격형성 등 교육 성취를 일궈낸 학교들 ‘화제’ 호주한국신문 15.11.19.
6366 호주 부유층 중국인 구매자, 멜번 부동산 시장으로 호주한국신문 15.11.19.
6365 호주 파리 테러 관련, “호주도 적극적 대비 필요” 호주한국신문 15.11.19.
6364 호주 커먼웰스 은행, 시드니 서부 기반 비즈니스 축소 호주한국신문 15.11.19.
6363 호주 호주인들, 일부 부문 세금 인하하면 GST 인상 찬성 file 호주한국신문 15.11.19.
6362 뉴질랜드 오클랜드 평균 주당 렌트비 500달러 돌파 육박 file 굿데이뉴질랜.. 15.11.22.
6361 뉴질랜드 망가진 핸드폰 케이스 때문에 피부에 2도 화상 입어 굿데이뉴질랜.. 15.11.23.
6360 뉴질랜드 노인에게 의료서비스 제공할 수 있는 로봇 개발 중 file 굿데이뉴질랜.. 15.11.24.
6359 뉴질랜드 마운트 헛 스키장, 뉴질랜드 최고 스키 리조트로 선정 file 굿데이뉴질랜.. 15.11.25.
6358 뉴질랜드 '성노예 피해자를 위한 국제의원연합'(IPCVSS) 구성 file 굿데이뉴질랜.. 15.11.26.
6357 뉴질랜드 뉴질랜드, IS 선전영상에 등장 file 굿데이뉴질랜.. 15.12.01.
6356 뉴질랜드 ASB∙웨스트팩 “내년 기준금리 2%까지 하락할 것” 예상 file 굿데이뉴질랜.. 15.12.01.
6355 호주 김봉현 대사, 대양주 한국학 총회 참석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6354 호주 호주 한국어 교사들, 전국 단위 연합회 창립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6353 호주 “장애인도 커뮤니티 일원으로 장벽 없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
6352 호주 주시드니 총영사관, 한인 차세대들 격려 file 호주한국신문 15.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