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브레이크뉴스=유하림 기자>

 

▲ 최근 호주 신문 NT뉴스는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화장지 부족 현상이 심화되자 ‘화장지 대용 신문’이라는 묘수를 내놨다.sky news Australia 캡처  © 호주브레이크뉴스

 

세계 각국에서 코로나19로 인한 화장지 대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호주의 한 신문이 기막힌 홍보에 나서고 있어 화제다. 골자는 화장지 대신 신문을 사용하라는 것.

 

최근 호주 신문 NT뉴스는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화장지 부족 현상이 심화되자 ‘화장지 대용 신문’이라는 묘수를 내놨다.  

 

이 신문사의 맷 윌리엄스 편집국장은“화장실 휴지가 없으시다구요. 걱정을 마세요. 저희 신문사는 8개 페이지를 추가로 발행했습니다. 이 페이지들은 부드러운 재질에 잘 뜯어지도록 절개선도 박혀 있습니다”라며  “화장지용 8개 페이지는 신체 부분과 닿는 만큼 뻣뻣한 재질의 종이가 아님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다”고 자랑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불티나게 팔리는 3대 제품으로 마스크, 손 소독제, 두루마리 화장지가 꼽힌다. 마스크와 손소독제는 바이러스 퇴치를 위한 예방품이지만 화장지가 왜 구매 수위를 다투는지에 대해서는 의학전문가들도 고개를 갸우뚱하고 있다고 CNN은 9일 보도했다. 화장지가 귀해지자 1롤을 구하기 위해 원거리 슈퍼마켓을 찾아 헤매는 ‘화장지 노마드족’까지 등장했다.

 

최근 홍콩 도심의 대형 슈퍼마켓에 침입한 3인조 강도는 다른 상품들은 그대로 두고 화장지만 가져갔다. 비싸게 되팔기 위해 600롤을 훔쳐갔다.

 

▲ 시드니의 한 대형마트에서 화장지 구매를 놓고 싸움을 벌이고 있는 현지인들의 모습이 SNS에서 인기 동영상으로 공유되고 있다. Facebook 캡처     ©호주브레이크뉴스

 

호주 슈퍼마켓에서는 마지막 화장지 롤을 서로 차지하기 위해 육탄전을 벌이는 여성 3명의 동영상이 인기를 끌고 있다.

 

비교적 화장지 여유가 있던 미국의 콜스, 영국의 테스코 등 대형 슈퍼마켓들은 화장지를 서로 차지하려는 고객들의 난투극이 빈번해지자 1인당 5롤로 구매제한을 두기 시작했다.

 

일각에서는 화장지가 마스크의 재료가 되기 때문에 덩달아 품귀현상을 빚는다고 지적이 나온다. 그러나 화장지 재료는 펄프인 반면 마스크 재료는 폴리에틸렌으로 엄연히 다르다. 또 중국이 코로나 사태 때문에 화장지 생산 수출을 멈췄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대부분의 나라에서 화장지는 수입품이 아니라 국내에서 자체 생산된다.

 

CNN은 “화장지의 폭발적 인기는 의학이 아니라 심리학적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리적 공포와 군중심리 때문이라고 것이다. 다른 사람이 사면 내 것은 없을 것이라는 공포와 남들이 하면 무조건 따라해야 한다는 떼거리 정신이 이유로 꼽힌다.

 

화장지는 꼭 필요한 생필품이니 만큼 미국에서는 다량 보관의 연구가 진행돼 왔다. 연방전략화장지보관소 설립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수억 개의 화장지를 부패 방지 기술을 이용해 땅속에 묻어둔 뒤 재난 발생 시 꺼내 쓸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 중이다.

 

news2020@aubreaknews.com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451 호주 호주 실업률 6.4%, 12년래 최고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8.14.
6450 호주 ‘Islamic State’의 소셜 미디어, 호주 내 테러 위협 높여 호주한국신문 14.08.14.
6449 뉴질랜드 현경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오클랜드 통일강연회 개최 file 굿데이뉴질랜.. 14.08.15.
6448 호주 시드니 부동산, 전년 동기간의 ‘활황기’ 돌아오나...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7 호주 스트라스필드 봄 축제, 한국계가 메인 무대 장식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6 호주 한국관광공사, 명예 홍보대사로 임다미 위촉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5 호주 이휘진 총영사, 한인 워홀러들 작업장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4 호주 한국 ‘장애청년드림팀’, 한인회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3 호주 외곽 오지 지역 센터링크에서도 시민권 시험 가능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2 호주 “모든 고용주, 차별금지법 숙지해야...”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1 호주 ‘나플란’ 시험 쓰기 과목, “너무 어렵다” 지적 이어져 호주한국신문 14.08.21.
6440 호주 이민부, 난민 아동에 임시보호비자 발급 계획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9 호주 그린필드 파크서 칼에 찔린 남성 사망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8 호주 캔버라 지역, 호주에서 평균 임금 가장 높아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7 호주 ‘국제적 비난’ 칼레드 샤로프, 그는 누구인가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6 호주 애보트 수상, 테러가담 관련 법안 추진 설명 호주한국신문 14.08.21.
6435 호주 부동산 투자 비자 정책으로 주택가격 상승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4 호주 취재수첩-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총회?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3 호주 텔스트라 ‘콜센터’, 5년 이내 사라질 것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2 호주 클리브 팔머 대표, 중국 정부에 대한 ‘막말’ 사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1 호주 시드니 시티, ‘인종차별 규탄안’ 만장일치로 통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6430 호주 “아시안컵 성공 개최 위해 한인사회 적극 협력...”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9 호주 “이너 시드니 아파트, 공급 과잉 불러올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8 호주 ‘크리스마스 섬 난민신청자 처우’에 집단소송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7 호주 애보트 수상, 테러 억제 위해 6천400만 달러 배정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6 호주 정부법률가, 총기소지 및 마약거리 혐의로 기소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5 호주 “마리화나, 젊은 층 정신질환 치료 이용 가능”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4 호주 NSW 새 음주법 도입 6개월, 뚜렷한 변화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4.08.28.
6423 뉴질랜드 아시아권 언어교육에 1천만 달러 투자 굿데이뉴질랜.. 14.09.01.
6422 뉴질랜드 국민당, 소득 중하층 첫 집 구매 시 최고 2만 달러 지원 예정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1.
6421 뉴질랜드 슈퍼마켓 주인, 3년간 매주 유치원에 과일 상자 기부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2.
6420 뉴질랜드 남극지하 생태계는 외계 생명체 존재 시사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2.
6419 뉴질랜드 NZ언론 초청- 공중보건 협회 주관 포럼 개최 file 굿데이뉴질랜.. 14.09.03.
6418 호주 올 겨울 기간, 시드니 부동산 가격 5% 급등 호주한국신문 14.09.04.
6417 호주 소비자 보호기관, 휴가예약시 주의사항 권고 호주한국신문 14.09.04.
6416 호주 한국문화원, 2014 한국어도서 독후감대회 성료 호주한국신문 14.09.04.
6415 호주 캐나다베이 카운슬 ‘페라고스토 축제’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9.04.
6414 호주 어번 카운슬, ‘Festival of All Abilities’ 공동 주관 호주한국신문 15.11.05.
6413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낙찰률, 올 들어 최저 호주한국신문 15.11.05.
6412 호주 10월 마지막 주말 경매, 1840년대 코티지 화제 호주한국신문 15.11.05.
6411 호주 시드니 주말시장의 상징, ‘로젤 마켓’ 종료 호주한국신문 15.11.05.
6410 호주 시드니 도심 초등학교, 교실 부족 사태 직면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9 호주 네드 켈리 수감됐던 빅토리아 주 감옥, 매물로 나와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8 호주 올해 멜번컵, 예상치 못한 ‘Prince Of Penzance’ 우승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7 호주 NSW 주 정부, 강화된 대테러 정책 발표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6 호주 노틀담 대학 시드니 캠퍼스, IB 교수 과정 도입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5 호주 50세 이상 호주 고령층, 단독주택 거주비율 높아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4 호주 카운슬 합병, “확고한 계획 없다는 게 이상하다”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3 호주 턴불 수상의 세제개혁안에 일부 자유당 의원들 ‘반발’ 호주한국신문 15.11.05.
6402 호주 투자의 귀재, 호주판 ‘워렌 버핏’은 누구일까 호주한국신문 15.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