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호주관광 광고).jpg

호주 정부 관광청(Tourism Australia)이 이번 산불 및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연속 타격을 받고 있는 관광업계 지원의 일환으로 영국 여행자들을 대상으로 한 캠페인을 재개했다. 이번 캠페인은 그래픽 광고물로 제작해 런던 지하철, 버스 등에 게시하게 된다. 사진은 영국인을 대상으로 제작된 ‘The coldest of beers’ 제목의 그래픽 광고.

 

카일리 미노그 앞세운 동영상 대신 지하철-버스 등 옥외 그래픽 광고로

‘The coldest of beers’ 타이틀로 제작, 감소한 영국 방문객 유치 본격화

 

이번 여름 시즌 발생한 최악의 산불, 이어진 코로나 바이러스 비상사태로 각 산업계와 함께 직접적 타격을 받고 있는 호주 관광업계를 북돋기 위한 영국인 대상 관광 캠페인이 재개된다.

호주 정부 관광청(Tourism Australia)에 따르면 1천500만 달러를 들인 영국 여행자 대상의 동영상 광고 캠페인이 산불 사태로 일시 중단된 이후 새로 제작된 옥외 그래픽 광고를 런던 지하철 및 버스 승강장 등에 배치하기로 했다.

 

‘The coldest of beers’라는 제목으로 제작된 이 광고는 ‘영국에 있는 친구들에게’라는 타이틀로 호주가 전 세계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독특한 곳임을 알리고 있다. “거기에는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열대우림, 여유 넘치는 라이프스타일, 가장 거대한 단일 바위, 3만5천 마일에 이르는 멋진 해안, 아주 시원한 맥주가 있으며, 셀피(selfie)로 인기 있는 쿼카(quokka. 호주 남서부에 서식하는 캥거루과의 작은 동물)를 볼 수 있고, 또한 그대들을 만나고자 하는 수백 만 명의 친구들이 기다리고 있다”는 선전 문구를 담고 있으며, “여전히, 호주만큼 좋은 곳은 없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방 관광부 사이먼 버밍엄(Simon Birmingham) 장관은 “이번 산불로 피해를 입은 관광업계를 위해 정부가 마련한 6천700만 달러 지원 패키지 일부로 영국 여행자 대상의 관광 마케팅을 다시 시작하기로 했으며, 이번 옥외 광고물은 호주가 안전한 목적지로 개방되어 있음을 전하기 위해 기획되었다”고 설명했다.

장관은 또한 “산불에 대한 잘못된 정보와 함께 현재의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는 호주 관광산업 전반에 막대한 타격을 주고 있다”는 말로 이번 캠페인 재개의 배경이 관광업계를 북돋기 위함임을 시사했다.

이에 앞서 관광청은 지난해 하반기, 호주 출신의 세계적 팝스타 카일리 미노그(Kylie Minogue)를 모델로 동영상 광고를 제작해 크리스마스 직전 영국에서 방영을 시작했으나 연말의 극심한 산불로 일시 중단한 바 있다.

총 3분 길이로 제작된 이 영상에서 미노그는 영국인들에게 “(브렉시트로 골치 아픈) 뉴스는 끄고 뒤뜰(호주)에 나가 크리켓을 즐기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영상은 호주 뮤지션 에디 퍼펙트(Eddie Perfect)가 작곡한 ‘Matesong’ 노래와 가사 내용에 맞춰 각 여행지로써 호주가 내세우는 다양한 장면들을 담아냈으며 미노그를 중심으로 코미디언 아담 힐스(Adam Hills), 테니스 스타 애슐리 바티(Ashleigh Barty), 크리켓의 셰인 완(Shane Warne), 수영의 이안 소프(Ian Thorpe), 인기 모델 조던 바렛(Jordan Barrett)과 맥 스텐마크(Zac Stenmark), 요리사 대런 로버트슨(Darren Robertson), 호주 원주민 출신의 ‘Comedy Allstars’ 등이 등장한다.

연방 관광부가 영국 여행자를 대상으로 한 광고 캠페인을 기획한 것은 브렉시트(Brexit)의 불안감으로 호주를 방문하는 영국인 방문자가 크게 감소한 때문이다. 매년 호주를 방문하는 영국인 여행자는 70만 명에 이르고 있다. 이는 국가별 호주 방문자 수에서 네 번째이다. 호주 관광청에 따르면 영국 여행자들은 호주에서 평균 32일을 체류하며 각 여행자들이 지출하는 금액은 5천 달러에 달한다. 이들 가운데 약 4분의 1은 다른 여행자들에 비해 2배에서 3배 이상 지출이 많은 ‘주요 여행자’로 구분된다.

이에 따라 호주 관광청은 1천500만 달러를 들여 동영상 광고를 제작, 영국 내 매체를 통해 집행을 시작했으나, 국내 산불 사태가 급격히 확산되고 주요 관광지역에 피해를 입히자 동영상 광고 방영을 잠정 중단했었다.

 

종합(호주관광 광고)2.jpg

애초 관광청은 카일리 미노그(Kylie Minogue)를 모델로 동영상 광고물을 제작, 지난해 크리스마스 직전 방영을 시작했다가 산불 확산으로 일시 중단한 바 있다. 사진은 호주를 선전하는 해당 유투브 동영상 캡쳐.

 

“관광업 성수기에

예상 못한 악재들 연이어”

 

관광업계 상황과 관련, 호주 관광수출협의회(Australian Tourism Export Council)의 피터 쉘리(Peter Shelley) 회장은 “호주 관광업계의 가장 중요한 시기에 산불이 닥쳤다”며 안타까움을 전했다. 협의회는 올해 1월 호주 방문자 수가 20%가량 감소함으로써 수십억 달러의 매출 손실을 입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 산불로 인한 관광업 피해 지원을 위해 영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 주요 호주 관광시장을 대상으로 한 캠페인에 2천만 달러를, 코로나 바이러스로 침체를 겪고 있는 주요 항공사 및 여행사에도 2천만 달러를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정부의 이 같은 지원에는 신문-잡지 광고, 디지털 및 소셜미디어에 대한 지출, 항공사의 공동 프로모션 캠페인, 새로운 TV 광고 등이 포함된다.

한편 호주 관광청이 지난해 하반기, 카일리 미노그를 모델로 제작한 ‘친구노래’(Matesong) 캠페인 영상은 영국에서 방영을 중단한 상태지만 유튜브 사이트(youtube.com/watch?v=QMAq8F8N2Fg)를 통해서 볼 수 있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호주관광 광고).jpg (File Size:74.4KB/Download:19)
  2. 종합(호주관광 광고)2.jpg (File Size:38.6KB/Download:1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401 호주 호주 중앙은행, “토지개발 제한이 집값 40% 상승 요인” file 호주한국신문 18.03.15.
6400 호주 호주 중앙은행, ‘10달러’ 새 디자인 지폐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6399 호주 호주 중앙은행, 8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현금 이자율 3.1%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398 호주 호주 중앙은행, 6개월 연속 금리 인상... 이달 상승폭은 0.25%포인트 file 호주한국신문 22.10.06.
6397 호주 호주 중앙은행, 5달러 새 지폐 디자인 공표 file 호주한국신문 16.04.14.
6396 호주 호주 중앙은행, 5개월 만에 기준금리 인상 단행... 모기지 보유자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6395 호주 호주 중앙은행, 10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3.6%로 11년 만에 최고치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6394 호주 호주 중립 금리 3.5% 설 파장…RBA 부총재 긴급진화 나서 톱뉴스 17.07.25.
6393 호주 호주 중년 여성 21%, '폭음' 수준의 음주... 2001년 대비 거의 두 배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6392 호주 호주 주택위기 지속... “2041년까지 100만 채의 커뮤니티 주택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391 호주 호주 주택위기 심화... 구입 경제성, 3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9.08.
6390 호주 호주 주택시장 사상 첫 1억 달러 대저택 거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8.12.19.
6389 호주 호주 주택시장 붐… 가격 상승 속도, 전 세계에서 일곱 번째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6388 호주 호주 주택시장 둔화를 무색케 하는 지방 핫스폿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2.06.16.
6387 호주 호주 주택대출 부채 사상 최고 file 한호일보 16.03.30.
6386 호주 호주 주택가격, 세계 1위 홍콩에 버금 file 호주한국신문 16.01.28.
6385 호주 호주 주택가격, ‘가을 침체’ 이후 회복세로 호주한국신문 14.08.07.
6384 호주 호주 주택가격 하락 가능성? 국내 전문가들, “위험 수준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6383 호주 호주 주택가격 다시 오름세 조짐 톱뉴스 17.08.01.
6382 호주 호주 주택 시장- 호바트, 홀해도 주택시장 상승세 이어질까? file 호주한국신문 19.01.10.
6381 호주 호주 주택 시가 총액 6조 달러…증권 거래소 및 퇴직연금 적립액 2배 톱뉴스 17.07.23.
6380 호주 호주 주택 거래량 반등했지만 판매 규모는 20년 전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9.10.17.
6379 호주 호주 주택 가격, 6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 전국 -0.4% file 호주한국신문 18.06.07.
6378 호주 호주 주요 복지 단체들, “법인세 인하 막아달라”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18.03.29.
6377 호주 호주 주요 도시의 지역별 인구성장 격차 두드러져 file 호주한국신문 19.04.04.
6376 호주 호주 주거용 부동산 총 가치, 올해 말 9조 달러 이를 듯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6375 호주 호주 주 총리(Premier)들, 세계적 전염병 사태 속 ‘SNS 스타’로 부상 file 헬로시드니 20.08.14.
6374 호주 호주 젯스타·제주항공, 12월 인천∼골드코스트 취항…’파격적 항공료’ 톱뉴스 19.10.30.
6373 호주 호주 정치인, 노조 관계자도 ‘세월호 특별법’ 청원 동참 호주한국신문 14.07.17.
6372 호주 호주 정치권, 황화론 재연 공방 가열 톱뉴스 19.12.10.
6371 호주 호주 정부의 총기환매 이후 자살-살인율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6370 호주 호주 정부, 중국 이어 이란도 ‘입국제한’ 대상 국가에...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6369 호주 호주 정부, 인공지능(AI) 가이드라인 만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6368 호주 호주 정부, 구글·페북 등 공룡 플랫폼 조준 ‘공정 경쟁 지침’ 도입 톱뉴스 19.12.17.
6367 호주 호주 정부, “코로나19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 할 것” …확진 368명 사망 6명 호주브레이크.. 20.03.17.
6366 호주 호주 정부, “코로나 19 완전 폐쇄 거부”vs전문가들, “폐쇄 안하면 사망자 증가 할 것” 호주브레이크.. 20.03.26.
6365 호주 호주 정부, "입국 제한 국가에 한국 포함" 호주한국신문 20.03.05.
6364 호주 호주 정부 이민 정책, “뉴질랜드인 받고, 아시아인 줄이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04.19.
» 호주 호주 정부 관광청, 영국 여행자 대상 ‘관광 캠페인’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0.03.12.
6362 뉴질랜드 호주 정당인, NZ 출신 의원에게 뉴질랜드 돌아가라고 말해 NZ코리아포.. 18.09.04.
6361 호주 호주 정규직 여성 평균 임금, 남성 대비 87%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7.10.12.
6360 호주 호주 정규직 여성 임금, 남성 동료에 비해 연간 약 13,200달러 적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6359 호주 호주 정계, 대중국 외교 관계에서는 ‘여-야 한목소리’ file 헬로시드니 20.09.04.
6358 호주 호주 젊은층에서 불법 ‘아이스’ 복용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6.03.03.
6357 호주 호주 젊은이들의 K-Pop 댄스 실력은... 호주한국신문 14.08.14.
6356 호주 호주 젊은이들에게 ‘평생 직업’ 개념 사라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2.25.
6355 호주 호주 젊은이들, 말레이시아서 ‘국기모독’으로 체포 file 호주한국신문 16.10.06.
6354 호주 호주 젊은이들 자살비율, 지난 10년 이래 ‘최고’ file 호주한국신문 16.12.08.
6353 호주 호주 젊은이들 3명 중 1명, “외롭지만 친구 사귀기 힘들어” file 호주한국신문 19.11.07.
6352 호주 호주 젊은 수학자, 런던 왕립학회 최연소 회원에 file 호주한국신문 18.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