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예방조치 1).jpg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한 정부의 여러 조치들이 나오는 가운데 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는 지난 일요일(15일) 국가안보위원회 회의를 갖고 호주로 입국하는 모든 이들을 대상으로 16일(월) 0시부터 14일간의 ‘자가 격리’ 조치를 시행키로 했다. 아울러 호주로 입항하는 크루즈 선도 이날(16일)부터 30일간 금지했다. 사진은 이번 결정을 발표하는 스콧 모리슨 총리. 사진: ABC 뉴스 화면 캡쳐

 

모리슨 총리, 15일 국가안보위원회서 결정... 16일(월) 0시부터 시행

NSW, 자가 격리 위반하면 1만1천 달러 벌금 및 6개월 감옥 처벌

 

호주 정부가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확산 방지 차원에서 해외에서 호주로 입국하는 이들에 대해 선별적으로 시행해 오던 ‘자가 격리’(self isolate) 조치를 모든 입국자들에게 적용키로 했다. 이에 따라 시드니 한인들의 한국을 포함한 해외여행도 크게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금주 일요일(15일)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가 “오늘 국가안보회의에서 새로운 조치들이 합의됐다”고 밝힌 이 조치는 다음날인 월요일(16일) 자정부터 시행됐으며, 아울러 해외에서 들어오는 크루즈 선박의 입항도 이날(16일)부터 30일간 금지됐다.

모리슨 총리는 “호주로 입항하려는 크루즈 선에 호주 국적의 시민이 승선해 있다면 호주 국경수비대 지휘 하에 적절한 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총리는 ‘악수(handshake) 하지 않기’를 포함해 보다 많은 ‘사회적 거리’(social distancing, 개인 또는 집단 간 교제 범위)를 유지할 것을 강하게 권고했다.

 

‘자가 격리’ 위반, 주-테러토리 정부서 결정할 것= 호주 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는 모든 이들에 대한 자가 격리 조치는 1주일 앞서 뉴질랜드 정부의 결정을 반영한 것이다. 모리슨 총리는 15일 안보위 회의에 앞서 뉴질랜드 자신다 아덴(Jacinda Arden) 총리에게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방지 관련 정보 교환을 제안했다.

모리슨 총리는 이날 ‘자가 격리’ 결정과 관련, “전 세계적으로 감염자가 늘어나는 시점에서 새로운 조치들이 필요하다”면서 “최근 몇 주 동안 우리가 확인한 것은 점차 더 많은 국가에서 바이러스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호주에서의 전염은 여러 국가에서 입국하는 이들로 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총리는 “경찰이 새로운 조치 시행의 임무를 맡지는 않을 것이지만, 모든 이들이 이를 따라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한 연방 정부 차원의 조치를 위반하는 사례에 대한 처벌은 각 주 및 테러토리(states and territories) 정부에서 결정하게 된다. 현재 각주에서 발표한 처벌 조항을 보면 NSW 주는 벌금 1만1천 달러에 더해 6개월 감옥 형을 받을 수 있고, 남부 호주(SA)는 벌금 2만5천 달러, 퀸즐랜드 벌금 1만3천345 달러, 타스마니아 벌금 8천400 달러, 그리고 서부 호주(WA)가 벌금 5만 달러에 12개월 감옥 형으로 처벌 수위가 가장 높다.

이번 ‘자가 격리’ 조치에 항공기 승무원은 해당되지 않는다. 또한 호주를 경유하는 태평양 도서국가 여행자도 이 조치에서 제외된다.

 

종합(예방조치 2).jpg

연방 보건부 최고 의료책임자인 브렌단 머피(Brendan Murphy) 박사는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한 모든 조치가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사진은 ABC 방송 뉴스프로그램(ABC Insiders)에서 정부 조치를 설명하는 그렉 헌트(Greg Hunt. 오른쪽) 장관과 머피 박사(가운데). 사진: ABC 뉴스 화면 캡쳐

 

바이러스 전파 막기 위한 모든 조치 고려되어야...= 이날 국가안보회의 후 연방 보건부 최고 의료책임자인 브렌단 머피(Brendan Murphy) 박사는 ABC 방송 뉴스 프로그램 ‘ABC Insiders’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한 모든 조치가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날 머피 박사는 ‘유럽 일부 국가들과 같은 봉쇄 조치 고려 여부’에 대한 진행자의 질문에 “그런 조치가 내려질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그것이 (바이러스 확산 차단을 위한) 초점이 될 수도 있다”면서 “감염자 발생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 중 하나는 감염이 한 국가의 한 부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다른 부분까지 영향을 주지는 못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드니와 같은 대도시의 봉쇄 가능성’에 대해서도 머피 박사는 “잠재적 가능성”을 부인하지 않으면서, “감염자 확산 방지를 위해서 (봉쇄 조치를) 고려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대도시 거주민들이 불가피하게 이용할 수밖에 없는 대중교통 수단에 대해 머피 박사는 “이 또한 바뀔 수 있다”면서 “현재 대중교통 이용을 중단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며, 다만 감염자 발생 현황을 계속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사안도 시간이 지나며 (보다 강력한 자제 등으로) 변할 수 있음을 언급한 머피 박사는 “이 같은 조치에서 호주는 다른 국가들보다 앞서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 ‘악수 자제’ 강하게 권고=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차단을 위한 조치들 가운데 또 하나 권장된 것은 악수 자제이다. 가능한 호주머니에 손을 넣고 다니며 타인과는 최소 1.5미터 떨어져 있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이는 국내 최고 의료책임자들이 국가안보회의에 제시한 내용이다.

모리슨 총리는 “Australian Health Protection Principal Committee(호주 보건-예방 위원회)에서 다양한 내용의 ‘사회적 거리’ 행동들이 제시되었으며, 점진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정부 내각 또한 이전과 달리 화상회의로 업무를 논의, 결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모리슨 총리는 “의원(MP)들도 업무 방식을 바꾸어 각 지역 거주민들과의 상호 활동을 줄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16일부터 500명 이상 집회도 ‘금지’= 앞서 연방 정부는 지난 주말(13일) 호주 정부협의회(Council of Australian Governments. COAG) 회의에서 ‘500명 이상이 모이는 행사나 집회 금지’를 결정했다. 이 또한 호주 최고 의료책임자들이 “많은 이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행사는 취소되어야 한다”고 제안한 데 따른 것이다.

다만 모리슨 총리는 이번 조치가 초중등학교, 대학, 대중교통 및 공항, 쇼핑센터로 확대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함께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해외여행을 자제하라고 촉구했다. 모리슨 총리는 “정부는 모든 호주인들에게 목적지나 나이, 건강상태에 관계없이 현재의 상황을 감안해 해외여행 재고를 권고한다”며 “지금이 해외여행의 적절한 시기인지를 신중하게 고려해 달라”고 당부했다.

연방 정부의 이번 결정과 함께 멜번(Melbourne)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던 포뮬러 1 그랑프리(Formula 1 Grand Prix)가 취소됐으며, 크리켓 경기는 무관중으로 치러질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NSW 주의 대표적 행사들도 연이어 취소됐다. 4월 이스터 최대 행사인 호주 최대 농산물 경진대회 ‘시드니 로얄 이스터 쇼’와 매년 5월 말부터 6월 초까지 2주간 펼쳐지는 ‘Sydney Vivid’ 행사도 개최가 취소됐다.

이날(13일) 연방 정부 결정을 발표하는 자리에서는 호주 럭비리그(National Rugby League), 호주 풋볼리그(Australian Football League) 및 축구경기(A리그 등)에 대한 질문도 나왔는데, 연방 보건부 최고 의료책임자인 브랜단 머피(Brendan Murphy) 박사는 “보건 당국자들은 불필요한 행사가 금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했다”면서 “이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조기대응”이라고 강조했다.

모리슨 총리는 또한 교회 주일 행사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재적 교인이 많은 교회의 경우 500명 미만의 종교 집회를 유지하기 위해 횟수를 추가로 늘리는 방안(미사나 예배를 한 차례 더 갖는)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더 많은 조치 있을 것= 모리슨 총리는 당장 학교들의 임시 휴교 계획은 없지만 향후 몇 주, 또는 몇 달간 여러 추가 조치들이 이어질 것임을 인정했다.

총리는 “우리는 앞으로 6개월 정도, 기존의 삶의 방식이 변화되는 데 익숙해져야 한다”면서 “(바이러스 확산 차단을 위한) 추가 조치들과 함께 시민들의 일상에 많은 제한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건 당국은 고령자 보호시설을 방문하는 이들에 대해서도 제한을 둘 계획이며, 밀폐된 공간에서 열리는 집회 등에 대한 추가 조치를 고려하고 있다. 이와 함께 연방 및 주 정부는 은퇴자들이 많이 모이는 각 주 RSL 클럽들과도 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안작데이(ANZAC Day. 4월 25일) 기념행사에 대한 지침도 조만간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김지환 객원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예방조치 1).jpg (File Size:29.2KB/Download:16)
  2. 종합(예방조치 2).jpg (File Size:50.6KB/Download: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651 호주 호주 크리켓의 전설 돈 브래드먼의 배트, 6만 달러에 호주한국신문 14.05.22.
6650 호주 NSW 정부, 연방 예산감축으로 병실 축소 불가피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9 호주 배우자 이민 프로그램, 인신매매 수단으로 악용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8 호주 머레이강, 지난 10년간 최다 익사사고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7 호주 NATSEM, “이번 예산안은 ‘공정-고통분담’과는 거리 멀어”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6 호주 와해된 아시리아계 폭력조직 ‘Dlasthr’는...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5 뉴질랜드 [Voice of Community - 굿데이신문 교민 설문조사 결과] 굿데이뉴질랜.. 14.05.23.
6644 뉴질랜드 한눈에 보는 '2014 NZ정부 예산안' file 굿데이뉴질랜.. 14.05.23.
6643 호주 시드니 부동산 경매 낙찰률, 79.3%로 다시 반등 호주한국신문 14.05.29.
6642 호주 카나본 골프클럽서 선보이는 한국 현대미술 호주한국신문 14.05.29.
6641 호주 총영사관, ‘찾아가는 범죄예방 홍보 활동’ 전개 호주한국신문 14.05.29.
6640 호주 ‘인보케어’사, 한인 추모공원 조성 계획‘ 설명회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9 호주 ‘2014 캠시 푸드 페스티벌’, 금주 토요일(31일)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8 호주 시드니, 2031년까지 1인 가구 비율 크게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7 호주 ‘2015 AFC 아시안컵 대회’ 티켓 판매 시작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6 호주 시드니 도심 ‘달링스퀘어’ 재개발 건설 계획 승인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5 호주 호주인 행복지수, 전 세계 국가 중 18번째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4 호주 테드 베일류 전 VIC 수상, “결혼지참금 금지” 촉구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3 호주 실업수당 수령자들, ‘생존’ 문제 절박하다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2 호주 호주 남성, 마약소지 협의로 인도네시아서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1 호주 가짜 경찰, 10대 소녀 성추행 및 절도 행각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0 호주 경찰 불명예... 전 수사관 살인혐의로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9 호주 시드니 도심 유흥업소 대상 주류 판매 규정 ‘강화’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8 호주 호주 비만율 급증, 지난 33년간 80% 늘어나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7 호주 “정부의 200억 달러 의료연구 기금은 과장된 것”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6 호주 본다이 정션 아파트, 분양 4시간 만에 완판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5 호주 대한민국 금속공예 조성준 명장, 시드니서 전시회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4 호주 재외동포재단, 인터넷 사이트 ‘한상넷’ 보완 개편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3 호주 한국문화원, ‘캠시 푸드 페스티벌’ 주역으로 참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2 호주 2013년 APSA 최고배우 선정 이병헌, 뒤늦게 수상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1 호주 ATO, ‘분기별 사업활동 보고서’ 빠른 제출 당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0 호주 케언즈 순회영사 및 한인 워홀러 안전 강좌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9 호주 시드니 한인회 접수 가능 민원업무 재공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8 호주 5월 시드니 주택가격 1.1% 하락, 08년 12월 이후 최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7 호주 대학 졸업생 6만5천명, 졸업 후 구직 힘들 듯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6 호주 시드니 교통체증, 주중 최악의 하루는 '수요일'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5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2.5%) 유지 결정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4 호주 시드니 유흥가 폭력 줄고 가정폭력은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3 호주 NSW 주 수상, 의료 목적의 마리화나 사용 검토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2 호주 시드니 여성, 200만 달러 온라인 데이트 사기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1 호주 2022 카타르 월드컵 유치 부정 의혹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0 호주 가정폭력 관련, 경찰의 현장 처리권한 강화 호주한국신문 14.06.05.
6609 호주 Queen's Birthday 연휴 불구, 경매 낙찰률 73.3%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8 호주 NSW 스토너 부수상, “한인 사업자 지원에 최선 다할 것”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7 호주 한국문화원, QLD 광산도시서 한국문화 선보여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6 호주 “한국 주류매체, 평통 호주협의회 활동상 조명”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5 호주 2014 브라질 월드컵 새벽 4시 개막식, 6시 개막전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4 호주 C20 정상회담, 20-21일 멜번대학에서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3 호주 킹스크로스 유흥업소들, 오늘(13일)부터 ID 스캔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2 호주 연방 정부, 휴면 계좌 3억6천만 달러 정부로 귀속 호주한국신문 14.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