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적 조치 취할 준비 되어 있어

 

news_img1_1585152155.png

 

월요일 트뤼도 총리는 집에 머물라는 정부의 권고를 무시하고 잠재적으로 지역사회에 코비드-19를 퍼뜨리는 사람들에 대해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를 것을 강력하게 주문했다.
"그만하면 충분해. 집에 가서 있어. 그게 우리 모두가 할일"이라고 자가 격리 중인 총리는 관저 앞에서 성명을 발표했다.
전국의 보건 당국자들은 캐나다인들에게 밖에 나가지 말고 대규모로 모이는 것을 피하라고 경고했다. 식당과 술집이 문을 닫았고 많은 업종의 종업원들이 재택근무 중이다.
이러한 제한에도 불구하고, 소셜 미디어는 주말에 대규모 파티를 열고, 해변과 공원에 모여 스포츠를 하고, 정부의 권고를 무시한 사람들의 영상으로 가득 찼다.
총리는 그 사람들을 꾸짖으며 메시지가 그들에게 적용되었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 "우리 모두는 온라인에서 자신들을 무적이라고 생각하는 듯한 사람들의 사진을 본 적이 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월요일 자국을 봉쇄하는 등 다른 세계 지도자들도 비슷한 성명을 발표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규제 완화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총리는 연방정부가 직장폐쇄, 주 정부 통제, 인원 징집, 여행을 제한을 명령할 수 있는 포괄적인 '비상대권' 발동을 주저해 왔으나 화요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광고 캠페인을 시작한다고 발표했고 '비상대권' 같은 공격적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위험에 대해 사람들에게 더 많은 교육을 시키거나, 필요하다면 규칙을 시행함으로써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겠다. 도움이 될 만한 것은 무엇이던지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총리는 일부 사람들이 자신들을 위험에 빠뜨릴 뿐만 아니라 기족, 이웃까지도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총리가 비상대권 발동을 꺼려온 한 가지 이유는 그것이 주 정부 규정을 대신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월요일 아침 기자 회견에서 주 수상들과의 예정된 전화 회의 전에, 그는 어느 주 수당도 비상대권 시행을 요청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온타리오 주 수상 더그 포드와 앨버타 주 총리 제이슨 케니 모두 주 정부 규정을 선호한다고 그날 늦게 말했다.
연방 보건부 장관은 특히 여행자들이 캐나다로 돌아가 14일간의 자기 격리 기간에 들어갈 때 집으로 바로 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는 사람들이 이것을 심각하게 받아들였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장관은 정부가 다양한 더 엄격한 조치를 검토하고 있으며 경찰이 명령을 집행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검역 명령이 시행될 수 있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러한 방법에는 무작위 검사가 포함될 수 있으며, 핫라인도 포함될 수 있다"고 그녀는 말했다.
퀘벡과 온타리오 둘 다 질병의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모든 비필수적인 사업의 의무적 폐쇄를 발표했다.
온타리오의 규제는 화요일 저녁 시작되어, 사업체들이 문을 닫을 수 있는 날을 제공하고, 퀘벡은 가능한 한 빨리 문을 닫으라고 기업들에게 말했다.
약국, 식료품점, 그리고 다른 필수 서비스들은 계속 개방될 것이지만, 두 주 모두 필수적인 것이 아닌 것은 모두 폐쇄될 것이며, 두 주 정부는 경찰이 그러한 폐쇄를 시행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 (오충근 기자)

  • |
  1. news_img1_1585152155.png (File Size:76.4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397 캐나다 트랜스마운틴 확장 공사, 빠르면 9월초부터 재개 file CN드림 19.07.03.
4396 캐나다 텅 비어가는 캘거리 다운타운, 비즈니스가 사라진다. file CN드림 19.07.03.
4395 캐나다 주정부, “연방 탄소세, 주정부 자치권 침해” file CN드림 19.07.03.
4394 캐나다 밴쿠버 ,민주평통 지원자 차고 넘쳐 인물난 우려 불식 밴쿠버중앙일.. 19.07.03.
4393 캐나다 도대체 밴쿠버 홍역공포는 언제 끝나나? 밴쿠버중앙일.. 19.07.03.
4392 캐나다 공립한인요양원, 첫 운영기금 5만불 전달 밴쿠버중앙일.. 19.07.03.
4391 캐나다 천둥 정기공연 전석 매진 사례 밴쿠버중앙일.. 19.06.29.
4390 캐나다 캐나다데이 황금연휴 어디서 무엇을 하며 즐기나? 밴쿠버중앙일.. 19.06.29.
4389 캐나다 마마키쉬 아카데미, 밴쿠버를 북미 한류중심지로 밴쿠버중앙일.. 19.06.29.
4388 캐나다 BC한인실업인, 한인미래 위해 힘모아 밴쿠버중앙일.. 19.06.28.
4387 캐나다 밴쿠버 모의선거는 7월 8일 밴쿠버중앙일.. 19.06.28.
4386 캐나다 스카이트레인 주말 철야운행 난망 밴쿠버중앙일.. 19.06.28.
4385 미국 다양한 치즈, 도대체 뭐가 다르지? 코리아위클리.. 19.06.27.
4384 미국 미국에서 드론 배송, 본격 시행 움직임 코리아위클리.. 19.06.27.
4383 미국 누구에게나 지는 트럼프, 이번에도 역전 가능할까 코리아위클리.. 19.06.27.
4382 미국 더 뜨거워진 플로리다의 6월… 정치의 계절이 시작됐다 코리아위클리.. 19.06.27.
4381 미국 론 드샌티스 주지사, '피난처 도시 금지 법안'에 서명 코리아위클리.. 19.06.27.
4380 미국 온라인 부동산업체 질로우, 올랜도서 주택구입 서비스 시작 코리아위클리.. 19.06.27.
4379 캐나다 영어 안 쓰는가정 BC 이민 2세 임금 최악 밴쿠버중앙일.. 19.06.27.
4378 캐나다 버나비마운틴에 나타났던 곰 사살 밴쿠버중앙일.. 19.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