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매거진 0).jpg

2019-20 여름 시즌, 사상 최악이라는 산불은 호주 전역에 엄청난 타격을 주었다. 특히 6개월 이상 이어진 이번 산불은 인명과 재산피해는 물론 야생동물에 직접적 피해를 입혔으며 관광업 분야 등으로 확대됐다. 사진은 NSW 주의 한 산불 지역에서 방어막을 구축하고 있는 NSW RFS 소방대원들. 사진 : NSW RFS

 

1,260만 헥타르 소실-1,130만 명 매연 피해-야생동물 10억 마리 사망

 

지난여름 시즌 호주 산불은 역사상 최대 규모였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예전보다 일찍(여름 시즌도 아닌 9월에 시작) 시작되었으며, 거의 6개월이나 이어진 것이다.

매년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던 것과는 달리 지난여름 산불은 호주 전역에서 발생됐고, 일부 지역의 경우 상상하기 어려운 속도로 확산돼 인명 피해를 낳았으며 짧은 시간에 타운 전체가 화마에 초토화되기도 했다. 산불을 피하지 못한 야생동물 피해 규모 또한 사상 최대 규모이다.

2019-20년 여름 시즌의 산불이 남긴 피해를 5개의 통계로 알아본다.

 

▲ 호주 전역 1천260만 헥타르 소실= 산불 피해 규모를 파악하고 다른 산불과 비교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불에 타 버린 면적을 확인하는 것이다.

내무부(Department of Home Affairs)에 따르면 지난여름 산불로 호주 전역에서 1천260만 헥타르가 소실됐다. 산불이 가장 먼저 시작되고 마지막까지 이어졌던 NSW 주에서만 540만 헥타르가 황폐화 됐다는 게 NSW 지방소방당국(NSW Rural Fire Service)의 집계이다.

NSW RFS의 벤 셰퍼드(Ben Shepherd) 조사관은 “NSW 주에서 발생되는 산불 피해 규모는 매년 평균 30만 헥타르”라고 말했다. 이와 비교하면, 이번 산불은 20배 가까운 피해를 발생시킨 것이다.

NSW RFS 및 각 주(State)의 지방소방청은 산불과 싸운 지역에 대한 초정밀 지도를 만든다. 셰퍼드 조사관은 “정밀 지도를 제작하는 것은, 얼마나 많은 면적을 잃어버린 것인지에 대한 수치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단 정보가 매핑(mapping)되면 향후 보다 나은 산불 관리를 가능케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지도는 산불 규모에 따라 지상에서 화마와 싸우는 일선 소방관, 헬리콥터의 산불 감시대원, 또는 특정 시점에서 산불의 열 이미지를 촬영하는 열 감지 항공기에 의해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들이 각각 수집한 모든 데이터는 RFS 본부로 전송되어 광범위하게 공유된다.

셰퍼드 조사관은 “‘Fires Near Me’ 사이트(NSW 주의 경우 rfs.nsw.gov.au)에서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그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수집된 정보는 산불 지도가 최대한 정확한지 2중, 3중으로 확인하는 데 활용된다. 이는 산불 지역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한 결정에서 필수적인 자료가 된다.

 

종합(매거진 1).jpg

매년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던 이전의 산불과 달리 지난여름에는 호주 전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이어졌다. NSW 주의 경우 산불로 인한 피해 면적은 대략 매년 평균 30만 헥타르에 달한다. 하지만 지난여름 산불은 NSW 주에서만 540헥타르를 불태웠으며 호주 전체 소실 규모는 1천260만 헥타르이다. 사진은 NSW 주의 한 산불피해 지역. 사진 : 인스타그램 / NSW RFS

 

 

▲ 이산화탄소 배출량 4억3,400만 톤= 지난여름 산불은 2019년 9월 초 NSW 주에서 처음 발생됐으며, 올 2월 23일까지 이어졌다. 이 장기간의 산불로 4억3,400만 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 이는 2018-19 회계연도, 호주 전역의 산업시설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 양의 4분의 3 이상에 달하는 규모이다.

이 수치는 유럽연합(EU)의 지구관측 프로그램(Earth Observation Program)인 영국 소재 ‘Copernicus Atmosphere Monitoring Service’(CAMS)의 수석 과학자 마크 패링턴(Mark Parrington) 박사가 계산한 것이다.

CAMS는 ‘Sentinels’라는 위성 네트워크를 이용, 모든 종류의 대기오염을 추적한다.

패링턴 박사에 따르면 CAMS는 전 세계 오염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며 또한 산불이 발생한 지역은 위성을 통해 실시간 감시한다.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라는 위성의 NASA 센서는 지구 표면 가운데 주변 지역보다 온도가 훨씬 높은 지역의 열원을 찾는다.

산불의 강도를 계산하기 위해 화산이나 가스 분출기둥(gas flares) 등 관계가 없는 열원을 제거하면 화재의 발열 강도(fire radiative power)라는 측정치가 남는다.

패링턴 박사는 “과거 과학적 문헌을 보면 화재의 발열 강도와 이로 인해 불에 타는 식물 사이의 관련성을 다룬 많은 연구가 있다”고 언급하면서 “그런 다음, 이산화탄소 또는 탄소가스,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및 기타 오염물질이 얼마나 배출되는지를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패링턴 박사는 이어 “놀랍게도 이 탄소배출은 호주 산불에서 기록적인 것은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그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과 올 1월 초 NSW 주 남부 해안 지역 및 빅토리아 주 화재는 CAMS가 기록한 다른 어느 해의 산불보다 몇 배나 많은 이산화탄소를 한순간에 배출했다.

 

종합(매거진 2).jpg

유럽연합(EU)의 지구관측 프로그램(Earth Observation Program)인 영국 소재 ‘Copernicus Atmosphere Monitoring Service’(CAMS)의 수석 과학자 마크 패링턴(Mark Parrington) 박사에 따르면 지난여름 시즌 산불 당시 배출된 이산화탄소는 4억3,400만 톤 규모이다.

 

 

▲ 1천130만 명의 호주 성인, 산불로 인한 오염 공기 영향 받아= 산불로 인한 공기 오염은 호주 동부 해안 지역 수많은 거주민들에게 즉각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호주국립대학교(ANU) ‘Centre for Social Research and Methods’의 니콜라스 비들(Nicholas Biddle) 교수는 지난 1월 실시됐던 산불 관련 조사의 수석 연구원으로, 그의 조사에 따르면 1천130만 명의 호주 성인이 오염된 공기에 의해 물리적 영향을 받았다. 이는 호주 성인 인구의 57%에 달하는 수치이다.

당시 조사는 3천249명의 표본을 추출, 직접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들의 응답 결과는 호주 전체 성인 가운데 영향을 받은 비율을 제시하는 데 무리가 없다는 평가이다.

 

종합(매거진 3).jpg

산불로 인한 공기오염은 피해지역뿐 아니라 대도시 거주자들에게도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해 전체적으로 1천130만 명의 호주 성인이 오염된 공기에 의해 물리적 영향을 받았다. 사진은 스트라스필드에서 바라본 시드니 도심 방향. 뿌연 미세먼지로 200미터 전방은 확인할 수 없을 정도이다. 사진 : 김지환 / 한국신문 기자

 

 

▲ 1천60만 명, 산불피해 지역민 안전 ‘우려’= 지난 산불은 호주의 ‘마이트십’(mateshio)를 보여주었다. ANU의 비들 교수팀 조사에 따르면 산불이 호주 전역으로 확대되고 피해 주민이 속출하자 호주인 1천60만 명이 ‘해당 지역민의 안전이 걱정된다’는 반응이었다. 호주인 절반 이상이 친구, 친척 및 산불지역 거주민의 피해를 염려한 것이다.

이런 ‘우려’에는 인명 및 재산피해 위협, 대피는 신속하게 했는지 등의 걱정은 물론 휴가계획에 영행을 미치는 것에 대한 염려, 산불로 인한 공기오염 노출에 대한 불안감 등이 포함된다.

 

종합(매거진 4).jpg

호주국립대학교(ANU) ‘Centre for Social Research and Methods’가 호주 성인 3,249명의 표본을 추출해 진행한 조사 결과, 1천60만 명이 산불 피해지역 주민은 물론 친척, 친구를 우려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사진은 산불을 피하지 못한 NSW 주의 한 농가. 사진 : 인스타그램 / NSW RFS

 

 

▲ 야생동물 10억 마리 이상 사망= 가장 참혹한 수치는 지난여름 산불로 33명이 목숨을 잃었다는 것이다. 인명 상실 다음으로 안타까운 것은 수많은 야생동물이 입은 피해이다. 시드니대학교 생태학자인 크리스 딕맨(Chris Dickman) 교수는 “지난 산불로 또 하나의 감정적 영향을 주는 통계는, 10억 마리 이상의 동물이 화재로 사망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딕맨 교수와 동료들은 NSW 주의 다양한 포유류, 조류, 파충류 집단의 평균 밀도를 추정하기 위해 이미 출판된 과학 문헌과 다른 자료들을 확인했다. 그런 다음 산불로 영향 받은 동물의 수치를 얻기 위해 이 추정치를 불탄 지역과 곱했다.

딕맨 교수는 “초기, 불에 탄 삼림지대 300만 헥타르를 계산했을 때 피해 동물 수는 약 4억8천만 마리로 추산됐다”면서 “하지만 지난해 12월 말에서 올 1월 초, 산불 범위가 더욱 확대되면서 피해 수치는 NSW 주에서만 최대 8억 마리가 되었다”고 설명했다.

딕맨 교수팀은 NSW 주 경계와 인접한 빅토리아(Victoria) 주, 이스트 깁스랜드(East Gippsland)에서 새로운 산불이 시작, 확산되면서 NSW 주의 야생동물 밀도를 빅토리아 주의 동물 서식지에도 그대로 추정했다.

 

종합(매거진 5).jpg

산불은 인명 및 재산피해는 물론 10억 마리 이상의 야생동물을 죽음으로 몰아갔다. 이 수치에는 조류, 파충류, 포유류가 포함되지만 박쥐와 개구리, 물고기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여기에 무척추 생물까지 포함하면 약 2천400억 마리의 생물이 피해를 입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은 산불로 털이 모두 탄 채 간신히 구조된 코알라. 사진 : 인스타그램 / portmacquariekoalahospital

 

딕맨 교수는 “이렇게 하면 625만 헥타르가 불에 탄 지역이 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이 수치는 분명 과소평가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호주 전역에서 1천260만 헥타르가 소실된 것으로 파악됐기 때문이다.

딕맨 교수의 야생동물 피해 규모에는 조류, 파충류, 포유류가 포함되지만 박쥐와 개구리, 물고기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 밀도 추정치가 없기 때문이다.

딕맨 교수는 “만약 피해 규모에 무척추 생물을 포함한다면... NSW 주와 빅토리아 주에서만 2천400억 마리의 생물이 불에 타 죽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매거진 0).jpg (File Size:66.2KB/Download:21)
  2. 종합(매거진 1).jpg (File Size:66.6KB/Download:22)
  3. 종합(매거진 2).jpg (File Size:133.4KB/Download:29)
  4. 종합(매거진 3).jpg (File Size:55.4KB/Download:24)
  5. 종합(매거진 4).jpg (File Size:120.7KB/Download:26)
  6. 종합(매거진 5).jpg (File Size:65.4KB/Download:2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651 호주 호주 크리켓의 전설 돈 브래드먼의 배트, 6만 달러에 호주한국신문 14.05.22.
6650 호주 NSW 정부, 연방 예산감축으로 병실 축소 불가피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9 호주 배우자 이민 프로그램, 인신매매 수단으로 악용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8 호주 머레이강, 지난 10년간 최다 익사사고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7 호주 NATSEM, “이번 예산안은 ‘공정-고통분담’과는 거리 멀어”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6 호주 와해된 아시리아계 폭력조직 ‘Dlasthr’는... 호주한국신문 14.05.22.
6645 뉴질랜드 [Voice of Community - 굿데이신문 교민 설문조사 결과] 굿데이뉴질랜.. 14.05.23.
6644 뉴질랜드 한눈에 보는 '2014 NZ정부 예산안' file 굿데이뉴질랜.. 14.05.23.
6643 호주 시드니 부동산 경매 낙찰률, 79.3%로 다시 반등 호주한국신문 14.05.29.
6642 호주 카나본 골프클럽서 선보이는 한국 현대미술 호주한국신문 14.05.29.
6641 호주 총영사관, ‘찾아가는 범죄예방 홍보 활동’ 전개 호주한국신문 14.05.29.
6640 호주 ‘인보케어’사, 한인 추모공원 조성 계획‘ 설명회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9 호주 ‘2014 캠시 푸드 페스티벌’, 금주 토요일(31일)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8 호주 시드니, 2031년까지 1인 가구 비율 크게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7 호주 ‘2015 AFC 아시안컵 대회’ 티켓 판매 시작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6 호주 시드니 도심 ‘달링스퀘어’ 재개발 건설 계획 승인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5 호주 호주인 행복지수, 전 세계 국가 중 18번째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4 호주 테드 베일류 전 VIC 수상, “결혼지참금 금지” 촉구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3 호주 실업수당 수령자들, ‘생존’ 문제 절박하다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2 호주 호주 남성, 마약소지 협의로 인도네시아서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1 호주 가짜 경찰, 10대 소녀 성추행 및 절도 행각 호주한국신문 14.05.29.
6630 호주 경찰 불명예... 전 수사관 살인혐의로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9 호주 시드니 도심 유흥업소 대상 주류 판매 규정 ‘강화’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8 호주 호주 비만율 급증, 지난 33년간 80% 늘어나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7 호주 “정부의 200억 달러 의료연구 기금은 과장된 것” 호주한국신문 14.05.29.
6626 호주 본다이 정션 아파트, 분양 4시간 만에 완판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5 호주 대한민국 금속공예 조성준 명장, 시드니서 전시회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4 호주 재외동포재단, 인터넷 사이트 ‘한상넷’ 보완 개편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3 호주 한국문화원, ‘캠시 푸드 페스티벌’ 주역으로 참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2 호주 2013년 APSA 최고배우 선정 이병헌, 뒤늦게 수상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1 호주 ATO, ‘분기별 사업활동 보고서’ 빠른 제출 당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20 호주 케언즈 순회영사 및 한인 워홀러 안전 강좌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9 호주 시드니 한인회 접수 가능 민원업무 재공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8 호주 5월 시드니 주택가격 1.1% 하락, 08년 12월 이후 최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7 호주 대학 졸업생 6만5천명, 졸업 후 구직 힘들 듯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6 호주 시드니 교통체증, 주중 최악의 하루는 '수요일'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5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2.5%) 유지 결정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4 호주 시드니 유흥가 폭력 줄고 가정폭력은 늘어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3 호주 NSW 주 수상, 의료 목적의 마리화나 사용 검토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2 호주 시드니 여성, 200만 달러 온라인 데이트 사기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1 호주 2022 카타르 월드컵 유치 부정 의혹은... 호주한국신문 14.06.05.
6610 호주 가정폭력 관련, 경찰의 현장 처리권한 강화 호주한국신문 14.06.05.
6609 호주 Queen's Birthday 연휴 불구, 경매 낙찰률 73.3%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8 호주 NSW 스토너 부수상, “한인 사업자 지원에 최선 다할 것”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7 호주 한국문화원, QLD 광산도시서 한국문화 선보여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6 호주 “한국 주류매체, 평통 호주협의회 활동상 조명”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5 호주 2014 브라질 월드컵 새벽 4시 개막식, 6시 개막전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4 호주 C20 정상회담, 20-21일 멜번대학에서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3 호주 킹스크로스 유흥업소들, 오늘(13일)부터 ID 스캔 호주한국신문 14.06.12.
6602 호주 연방 정부, 휴면 계좌 3억6천만 달러 정부로 귀속 호주한국신문 14.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