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대금·실직·가족 부양에 압박 가중

 

5.png

(사진=scmp)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하면서 홍콩 내 외국인 가사도우미들이 경제적 위기에 더욱 내몰렸다.

 

홍콩에는 약 40만 명의 외국인 가사도우미가 거주하고 있으며 필리핀, 인도네시아 출신이 대다수이다. 외국인 가사도우미들의 최저시급은 월 4,630 홍콩 달러로, 가사도우미들의 대출 문제는 오랫동안 사회적 문제로 여겨졌다.

 

이들 대부분은 가사도우미 중개료 때문에 홍콩에 도착했을 때부터 이미 빚을 진 상태이다. 이들은 월급 대부분을 고향으로 보내 가족의 학비, 월세, 병원비 등을 책임지고 있다.

 

그러나 코비드19 확산으로 인한 경제 타격으로 사회취약계층인 가사도우미들이 더욱 위태로운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코비드19 확산 방지를 위해 필리핀, 인도네시아, 홍콩이 봉쇄령을 내리면서 고향을 방문했다가 홍콩으로 돌아오지 못해 고용 계약이 파기되거나 고향의 가족들이 일자리를 잃으면서 가족 부양 압박이 가중되고 있다.

 

일자리를 잃으면서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하거나 고용주가 외출을 막아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하는 일도 발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홍콩 내 사설 대출업체들이 이러한 특수 상황을 조금도 배려해주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고리대금 등 약탈적 대출업자들로 인해 피해 받는 가사도우미들을 위해 산업에 대한 추가적인 규제와 통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비영리단체 HELP는 “재정 문제를 겪고 있는 가사도우미들이 늘고 있다. 직업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이들은 코비드19 타격에 더욱 취약하다. 많은 가사도우미들이 급작스러운 계약 파기로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하거나 고향에 송금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언제 다시 소득이 발생할지 알 수가 없어 대출업체와의 상환 조정 협상도 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HELP에 따르면, 가사도우미들의 대출금은 보통 4천~1만5천 홍콩 달러다.

 

HELP는 최근 재정적 문제로 자문 상담 요청하는 사람이 늘었다고 말했다. 이들 대부분이 고용주가 외출을 허락하지 않으면서 대출금 상환을 제때에 지급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환 기일을 놓치면 대출업체로부터 지속적인 전화와 위협을 받게 되고 이들을 정신적으로 더욱 피폐하게 만든다. 지난 4월 21일, 한 필리핀 가사도우미가 재정적 어려움 때문에 스스로 목숨을 끊은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졌다.

 

인도네시아 가사도우미들은 필리핀 출신보다 더 취약한 상태에 놓였다. 이들 대부분은 영어나 중국어를 읽지 못해 계약서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 채 서명하기 일쑤이며, 도움받 을 수 있는 곳도 상대적으로 더 적다.

 

대출업체들의 수법은 매우 공격적이다. 대출업체는 가사도우미들이 은행에서 대출을 못 받고 사설 대출업체를 이용할 수밖에 없고 급전이 급하다는 점을 이용해 고리대금, 협박, 여권 갈취 등 불법적 약탈 전략도 서슴지 않는다.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한 가사도우미들의 사진과 개인신상을 SNS에 공개하기도 한다.

 

홍콩대 회계법률 전문가 데이비드 비숍(David Bishop)은 “대출 계약서 상의 이자 계산이 정확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대부업 법적 최고금리는 60%이지만, 48% 이상은 일반적으로 폭리로 간주된다. 하지만 60% 이상의 불법 고리대금이 쉽게 목격되고 있어 대부업에 대한 추가적인 규제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홍콩 등록대부업 협회(Hong Kong Licensed Money Lenders Association) 대변인은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으로 고객들에게 상환 기간 연장, 원금 상환 연기 등 완화 정책을 고객들에게 제공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협회의 요청은 강제성이 없으며 회원의 판단과 결정에 따라 제공된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5.png (File Size:774.1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616 중국 로홍군, 훈춘 경산릉원에 안치 연변방송국 15.09.16.
1615 중국 무지개길 2015연변공익활동 가동식 연변박물관서 연변방송국 15.09.20.
1614 중국 연변 홍기민속촌 전국각지의 관광객들로 붐벼 연변방송국 15.09.22.
1613 중국 “장춘은 이제부터 연변에서 '가까운' 도시...” 연변방송국 15.09.23.
1612 중국 연변 태양광발전산업의 시대 열리나?! 연변방송국 15.09.25.
1611 중국 2015갑급리그 순위표 연변방송국 15.09.26.
1610 중국 <렬사기념일> 맞아 혁명선렬 추모 연변방송국 15.10.01.
1609 중국 연변의 금강산-선경대 연변방송국 15.10.07.
1608 중국 훈춘 맹령사과 판매호황을 연변방송국 15.10.10.
1607 중국 연변장백산축구구락부에 보내는 연변주당위와 주정부의 축하편지 연변방송국 15.10.19.
1606 중국 훈춘 "야거얼"국제복장성 공사, 순조롭게 진행 연변방송국 15.10.20.
1605 홍콩 분노하는 홍콩 공립병원 의사들 옥자 15.10.22.
1604 홍콩 홍콩인 영어 구사력, 아시아 12개 국가 중 9위 홍콩타임스 15.11.11.
1603 홍콩 홍콩 aT, 호텔 아이콘과 함께 한식 세계화·대중화 앞장서 홍콩타임스 15.11.12.
1602 중국 황소담보 대출..연변황소사양업의 융자난 해결 file 연변방송국 15.11.16.
1601 홍콩 홍콩, 새로운 바람은 불 것인가? 홍콩타임스 15.11.26.
1600 홍콩 마카오에서 엑소가 뭉쳤다! ‘엑소 플래닛 #2-디 엑솔루션’ 성료 홍콩타임스 15.11.28.
1599 홍콩 홍콩에서 바라본 '2015 MAMA'..."한류바람 이용 마케팅 성공" vs "팬 서비스 아쉬움 커" 홍콩타임스 15.12.04.
1598 홍콩 美서 대유행 '푸드트럭’... 홍콩서도 볼 수 있을까 홍콩타임스 15.12.10.
1597 홍콩 홍콩쇼핑센터 ‘CTF HOKO’ 선전 첸하이에 개장... 중국 본토 첫 진출 홍콩타임스 15.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