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격차 1).jpg

호주 전역에서 NSW 주의 소득 불평등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분석된 가운데 특히 시드니의 경우 특정 지역의 상위 1% 부자가 전체 소득의 2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시드니 고소득층이 많이 거주하는 하버 사이드(harbour-side)의 한 지역.

 

상위 1%가 전체 소득 22% 차지, NSW 10.5%보다 두 배

 

광역 시드니 상위 1%의 부자들이 전체 소득의 11%를 차지하는 등 시드니가 호주 주요 도시들 가운데 가장 심각한 소득 불평등 도시로 부상하고 있다.

금주 월요일(1일)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의 최근 분석을 인용한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시드니 하버 사이드(harbour-side) 지역 거주민들의 수입이 시드니 전체 수입보다 많은, 현격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하버 사이드 지역의 더블 베이(Double Bay), 벨뷰 힐(Bellevue Hill), 로즈 베이(Rose Bay), 버클루즈(Vaucluse), 그리고 시드니 CBD(Central Business District) 지역의 상위 1%가 시드니 지역 전체 수입의 22%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아울러 도심 인근 레드펀-치펜데일(Redfern-Chippendale) 또한 상위 1%가 이 지역 전체 소득의 19%를 점유하는 등 소득 불평등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2-13 회계연도 자료를 기준으로 NSW 주 전체적으로도 상위 1% 부자들이 모든 소득의 10.5%를 독점하고 있으며, 이는 다른 주 및 테러토리 가운데 가장 불평등한 비율이다.

또한 상위 10%의 부자들이 거둬들이는 수입도 다른 주(테러토리 포함)에 비해 차이가 많아 이들이 NSW 주 전체 수입의 34.9%를 차지하고 있으며, 호주 전체적으로 상위 10%가 독점하는 부 33.7%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소득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는 결과는 호주와 같은 선진국에서 1980년대 초부터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특정 상위 계층의 국민소득 점유 비율 상승 양상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1%의 부자들이 전체 소득의 상당 비율을 점하고 있는 이 같은 양상은 미국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노동당 소속 의원이자 경제학자인 앤드류 레이(Andrew Leigh) 교수의 연구 또한 상위 1% 부자들의 소득 비율이 전체 평균의 두 배에 달하며 최상위라 할 수 있는 0.1%의 부자들이 차지하는 소득 비율은 지난 30년 사이 세 배로 늘어났을 보여주고 있다.

레이 의원은 “불평등은 우리 시대의 가장 큰 경제적 이슈 중 하나”라면서 “호주 최상의 부자 3명이 가진 자산은 저소득층 100만 명 이상이 소유한 부와 같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불평등은 공평 사회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며 빈곤계층에서 태어난 아이들의 중산층 진입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며 “우리는 지역사회에서 소득 불평등을 겪는 이들이 행복감을 덜 느끼고 있다는 강력한 증거도 있다”고 덧붙였다.

통계청 분석 결과 호주 각 주와 작은 지역간 소득 불평등을 나타내는 지니계수(Gini Co-efficient)는 큰 차이를 보였다. 지니계수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는데, 수치가 0에 가까울수록 소득 분배는 균등하다는 것을, 1에 가까우면 특정 소수가 상당 부분의 부를 독차지함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지니계수 0.4가 넘으면 소득 분배가 매우 불평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NSW 주의 지니계수는 0.491로, 다른 주보다 불평등이 심각한 상태이다. 통계청은 또한 각 주내 지역별 지니계수도 분석했는데, 시드니 지역에서 이 수치가 가장 높은 곳은 동부 로즈 베이, 버클루즈, 왓슨 베이였다. 이는 이 지역의 소득 불평등이 가장 심화상태임을 의미한다.

특히 시드니는 NSW 주의 다른 지역과의 비교에서도 불평등 수준이 높았다. 2012-13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광역 시드니의 경우 상위 1%의 부자들이 전체의 15% 소득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NSW 주 전체로 볼 때 상위 1%가 7.4%의 부를 차지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수치이다.

ACT(Australian Capital Territory)는 호주 전체에서 소득 불평등이 가장 낮아 상위 1%가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부는 6.4%였다.

비록 발메인 지역의 연간 평균 소득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지만 지난 2012-13 회계연도 기간 중 서부 호부 광산 지역으로 작은 도시에 불과한 애쉬버튼(Ashburton)의 중간 소득 9만3,920달러와는 비교할 수 없는 만큼 적었다.

2012-13년 호주 전국적으로 가구당 중간소득은 4만4,940달러였으며, 평균 소득은 5만8,389달러인 것으로 집계됐다. ACT의 중간소득은 5만8,613달러로 NSW 주보다 높았으며, 타스마니아가 가장 적은 4만3.524달러였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1. 종합(소득격차 1).jpg (File Size:45.4KB/Download:3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01 호주 증가하는 사립학교 입학생... 공립학교 교육에 비해 나은 것이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00 호주 “영주비자 처리 과정상의 문제로 임시 숙련기술 인력 이탈할 수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599 호주 NSW 경찰청, 주 전역서 가정폭력 가해 고위험자 대상의 합동작전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598 호주 주택가격 하락세 ‘둔화’... 일부 도시에서는 부동산 시장 안정 추세 드러내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597 호주 ABS 공식 소비자 물가, 지난 한해 7.8% 상승... 금리인상 가능성 높아져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596 호주 2019-2022년 사이, 급격한 인구증가 기록한 교외-지방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595 호주 2022년 출생한 NSW 주 신생아 부모가 가장 많이 선택한 이름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594 호주 남부호주 ‘스톡스 베이’, 호주정부관광청 선정 ‘2023 최고의 해변’에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593 호주 심각한 도박 손실... NSW 주, 지난해 92일 만에 포커머신으로 21억 달러 날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592 호주 재미로 보는 호주 이야기- 호주에 들어온 낙타, 건조한 지역에서 가치 입증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591 호주 사립학교 학비 높은 광역시드니, 두 자녀 교육비 100만 달러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590 호주 텍스트 생성 인공지능 ‘ChatGPT’ 등장, 이를 활용한 학업 부정행위 ‘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589 호주 연방 기술훈련부, ‘Australian Apprenticeships Priority List’ 업데이트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588 호주 캔터베리-뱅스타운, 불법 폐기물 투기 단속 강화... 적발 건수 크게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587 호주 올해 ‘Australia's best beach’로 선정된 ‘SA3’ 지역의 주택가격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586 호주 블루마운틴 카운슬, 일부 타운 및 관광 사이트 ‘유료주차’ 도입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585 호주 2022년, 주택가격이 크게 치솟은 NSW 주 ‘tree-change’ 타운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584 호주 NSW 경찰, ‘커뮤니티 온라인 포털’ 이용한 성폭력 신고 옵션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583 호주 2023 Women's World Cup 개막 경기, ‘Stadium Australia’로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582 호주 ‘Hi Mum 사기’와 함께 구직자 노린 ‘Recruitment Scams’ 주의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581 호주 NSW 주 하이스쿨, 교내 휴대전화 ‘사용 제한’ 확대... 전년대비 60%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580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3.35%로... 로우 총재, “추가인상 필요” 언급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579 호주 호주 ‘민주주의 수준’ 평가... 8.71점으로 전 세계 167개 국가 중 15위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578 호주 NSW 주 정부, 도박 산업 개혁 위해 향후 3억4천만 달러 투자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577 호주 COVID-19의 ‘세계적 공공보건 비상사태’ 선포 3년... 향후 바이러스 예상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576 호주 시드니 학부모들, 자녀의 공립 Boys' High School 등록 기피 ‘뚜렷’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575 호주 시드니 거주자들, ‘삶의 만족도’ 회복 중... 생활비 고통은 ‘uncharted waters’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9.
574 뉴질랜드 저신다 아던 총리 사임 후임총리 '크리스 힙킨스' 당선 확정 일요시사 23.02.10.
573 뉴질랜드 아던총리 욕설파문 속기록, 옥션에 붙여 10만불 기부 일요시사 23.02.10.
572 뉴질랜드 오클랜드 홍수복구와 대청소 주간 일요시사 23.02.10.
571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 속, 주택가격 하락-상승한 광역시드니 교외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570 호주 런던 자연사박물관 주관, 팬들이 뽑은 ‘올해 최고의 야생동물’ 이미지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569 호주 모든 성인에 5차 COVID-19 접종 제공... 감염사례 없는 이들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568 호주 NSW 주 경찰의 마약 관련 수색 대상, 청소년-원주민 비율 더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567 호주 심각한 교사부족 상황... 사립학교들, 높은 연봉 내세워 공립 교사들 ‘유혹’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566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은 이성간 데이트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켰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565 호주 NSW 주 2022-23 회계연도 전반기 예산 검토... 적자 규모 크게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564 호주 임금상승 계속되고 있지만... “향후 몇 개월간은 인플레이션에 묻힐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563 호주 호주 현지에서 태어난 이들, 대부분 이민자 그룹 비해 ‘만성질환’ 가능성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562 호주 인터넷-자본주의-왜곡된 진실... 이 시대에서 ‘풍자’는 어떻게 변하고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561 호주 시드니 각 교외지역, 파트너 없이 홀로 거주하는 인구 비율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560 호주 “더 오래도록 보고 싶게 만드는 흥미롭고 매력적인 공연... 아름답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559 호주 올해 ‘Sydney Children's Festival’, 달링하버서 개최 확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558 호주 “학교 내 휴대전화 전면 금지, 학업 측면에서 학생에게 불이익 준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557 호주 하루 약 100만 달러에 이르는 SMS 사기, 방지할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556 호주 올 1월 호주 실업률, 전월 3.5%에서 계절조정기준 3.7%로 소폭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555 호주 팬데믹 이후의 가격 성장, 지난해 시장 침체로 상당 부분 사라졌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554 호주 블루마운틴의 인기 여행 명소 중 하나 Zig Zag Railway, 조만간 재개통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553 호주 Google-Microsoft가 내놓은 AI 검색 챗봇, 아직 ‘완벽’하지 않은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552 호주 NSW 주 학부모들, 자녀 공립학교 등록 기피... 15년 만에 최저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